목차
Ⅰ. 스페인의 축제
1. 스페인 산 페르민 축제
2. 스페인 토마토 축제
Ⅱ. 스페인의 전통음식
Ⅲ. 스페인의 문학
1. 헤라르도 디에고, 만년 시인 견습생
2. 펠릭스 그란데, 여채만이 나의 조국
3. 안또니오 마차도의 사랑의 뮤즈
4. 프란시스꼬 데 께베도의 인간적 실존의 절규
5. 셀라의 소설세계와 실존적 글쓰기
Ⅳ. 스페인의 바로크 연극
Ⅴ. 스페인의 민속무용
Ⅵ. 스페인의 교육
참고문헌
1. 스페인 산 페르민 축제
2. 스페인 토마토 축제
Ⅱ. 스페인의 전통음식
Ⅲ. 스페인의 문학
1. 헤라르도 디에고, 만년 시인 견습생
2. 펠릭스 그란데, 여채만이 나의 조국
3. 안또니오 마차도의 사랑의 뮤즈
4. 프란시스꼬 데 께베도의 인간적 실존의 절규
5. 셀라의 소설세계와 실존적 글쓰기
Ⅳ. 스페인의 바로크 연극
Ⅴ. 스페인의 민속무용
Ⅵ. 스페인의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레스 자신의 몰락을 자초한 무덤이 되었다는 지적을 빼놓지 않는다.
올리바레스의 운명이 보여준 것은 수사와 실제 사이에 얼마나 쉽게 균열이 벌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의 체제가 근대적 정치선전 양식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했던 것만큼 올리바레스 자신이 판 신뢰의 空洞化라는 무덤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 못지않게 근대적인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극의 대중화는 정치권력의 선무 수단인 동시에 바로 그 권력 실체의 정치적 거품 현상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국민극(Comedia Nacional)의 역사성은 진지하게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로뻬와 깔데론으로 이어지는 국민극의 융성은 유럽 정치 무대에서 스페인이 권력의 정점으로부터 추락하는 몰락과정과 궤를 같이 했다. 민중의 연극에의 열광은 그러한 정치적 몰락과 정신적 공동화에서 비롯된 허무와 우수를 보상받으려는 반사적 행위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상의 연극화는 가치의 공동화와 사유의 비현실화를 의미하며 스페인 사회의 생동감의 고갈을 반영하는 것이다.
Ⅴ. 스페인의 민속무용
플라멩코는 스페인의 독특한 민속무용이다. 5세기 초 안달루시아 지방에 들어온 집시(스페인에서는 \'히타노\'라고 한다)의 춤과 노래가 안달루시아의 전통적인 춤과 어울려 형성되었다고 한다. 플라멩코는 춤과 사바티아드(발을 구르며 내는 소리), 팔마(손뼉 소리), 기타 반주 및 슬픈 노래로 이루어진다. 이 플라멩코에는 삶의 기쁨과 괴로움, 사랑과 미움, 그리고 애수와 정열이 담겨 있다. 기타 반주에 맞추어 리드미컬하게 발구르는 소리와 손뼉 소리를 내면서 정열적으로 춤을 추고 노래 부르는 플라멩코를 단 한번만이라도 본 사람은 누구나 그 기묘한 매력에 사로잡히고 만다. 어둠 속에서 불길이 갑자기 솟아오르는 것 같은 정열, 신들린 사람처럼 춤을 추는 무희의 요염한 몸놀림, 구원을 갈구하는 듯한 애절한 노랫소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주되는 높고 낮은 기타의 음률 등 플라멩코는 뿌듯한 정열과 애수의 감정을 가슴으로 느끼게 해준다.
플라멩코는 타블라오(Tablao)에서 상연된다. 마드리드와 안달루시아 지방에는 쇼스테이지가 있는 레스토랑식 타블라오와 극장식 타블라오가 있다. 레스토랑식 타블라오에서는 식사를 하며 플라멩코를 관람할 수 있지만, 극장식 타블라오에서는 입장료에 포함된 음료수를 마시며 감상한다.
Ⅵ. 스페인의 교육
의무 교육 기간은 8년(E.G.B. 과정)이다. 학제는 다음과 같다.
○ 구아르데리아(Guarder ):유아원, 탁아소로 5세 미만의 어린이가 다닌다.
○ 파르볼로스(P vulos):유치원으로 4~5세 미만의 어린이가 다닌다. 공립 초등학교 가운데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사설 유치원이 대부분이다.
○ 초등 학교(E.B.G.):6~14세로 8년 과정의 의무 교육 기간을 다니게 된다. 에두까시용 바시까 헤네랄(Educaci B ica General)의 약자로 E.B.G.라 부르는데 `종합 기본 교육\'으로 해석된다. 보통 콜레히오(Colegio)라고 부른다.
○ 중학교 및 인문계 고교 과정(B.U.P.):3년 과정으로 바치예라또 우니피까도 뽈리발렌떼(Bachillerato Unificado Polivalente)의 약자로 B.U.P.로 표기한다. 흔히 `인스티투토(Instituto)\'라고 부른다.
○ 실업계 고교 과정(F.P.):4년 과정으로 직업 교육을 주목적으로 2년으로 구성된 두 개의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포르마씨용 쁘로페씨오날(Formaci Profesional)의 약자로 F.P.로 쓴다. `인스티투토\'라고 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공업, 상업, 간호, 교사 등 여러 가지 직업 훈련 교육을 받는다.
○ 대학교 진학 과정(C.O.U.):1년 과정으로 B.U.P.의 수료 후 대학 진학을 위해서 거쳐야 하는 단계로 동과정을 수료해야 셀렉띠비닫(Selectividad)이라고 불리는 대학 입학 예비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시험은 우리 나라의 수학 능력 시험과 유사한 것으로 10점 만점에 5점 이상이면 통과되며, 5점 미만은 낙제로 처리된다. 시험은 매년 정부에서 추첨을 통해 2~3개 과목을 정하여 실시하며 동 점수로 대학과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 대학(Universidad):학사 과정(Diplomado)은 최소 3년이 소요되며 에스꾸엘라 우니베르씨따리아(Escuela Universitaria)라는 우리나라의 전문 대학과 유사한 기관을 졸업하는 경우 및 일반 대학에서의 3년 과정 수료 후 받는 학위이다.
최소 5년이 소요되며 일반 대학 과정으로 3년만 수료시는 디쁠로마도(Diplomado)를 받으며, 과정 수료 후 거의 논문을 통과해야 한다. 에스꾸엘라 우니베르씨따리아(Escuela Universitaria) 수료 후 편입이 가능하나, 운 꾸르소 뿌엔떼(Un curso Puente)라고 불리는 유관 학과만 편입할 수 있다. 박사 과정(Curso Doctorado)은 최소 2년이 소요된다. 그리고 박사 논문 과정(Tesis Doctoral)의 기간은 무제한이다.
9월에 개강해서 이듬해 8월에 종강한다. 대학은 별도의 입학식 및 졸업식 행사가 없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제1외국어로 프랑스어를 가르쳤으나, 현재는 영어로 바뀌었다. 영국 문화원을 비롯한 각종 영어 학원이 영어 교육의 붐을 타고 성업중이며, 외국인 상대의 스페인어 교육 기관은 콤플루센세(Complutence)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부가 사설 기관이다. 외국어에 대한 관심과 사용 가능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젊은층을 중심으로 영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으며 컴퓨터 사설 강습 기관도 성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강석영, 스페인 현대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 김혜영 외 4명,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pp. 127~134, 1998
◎ 김천호, 지구촌 음식문화, 수학사, 2002
◎ 윤준식·권은희, 돈키호테를 따라간 스페인, 성하출판
◎ 안영옥, 스페인문화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3부-chapter9~10, 2000
◎ 재르맹바쟁, 바로크와 로코코, 시공아트, 1판1쇄, 1998
올리바레스의 운명이 보여준 것은 수사와 실제 사이에 얼마나 쉽게 균열이 벌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의 체제가 근대적 정치선전 양식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했던 것만큼 올리바레스 자신이 판 신뢰의 空洞化라는 무덤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 못지않게 근대적인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극의 대중화는 정치권력의 선무 수단인 동시에 바로 그 권력 실체의 정치적 거품 현상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국민극(Comedia Nacional)의 역사성은 진지하게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로뻬와 깔데론으로 이어지는 국민극의 융성은 유럽 정치 무대에서 스페인이 권력의 정점으로부터 추락하는 몰락과정과 궤를 같이 했다. 민중의 연극에의 열광은 그러한 정치적 몰락과 정신적 공동화에서 비롯된 허무와 우수를 보상받으려는 반사적 행위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상의 연극화는 가치의 공동화와 사유의 비현실화를 의미하며 스페인 사회의 생동감의 고갈을 반영하는 것이다.
Ⅴ. 스페인의 민속무용
플라멩코는 스페인의 독특한 민속무용이다. 5세기 초 안달루시아 지방에 들어온 집시(스페인에서는 \'히타노\'라고 한다)의 춤과 노래가 안달루시아의 전통적인 춤과 어울려 형성되었다고 한다. 플라멩코는 춤과 사바티아드(발을 구르며 내는 소리), 팔마(손뼉 소리), 기타 반주 및 슬픈 노래로 이루어진다. 이 플라멩코에는 삶의 기쁨과 괴로움, 사랑과 미움, 그리고 애수와 정열이 담겨 있다. 기타 반주에 맞추어 리드미컬하게 발구르는 소리와 손뼉 소리를 내면서 정열적으로 춤을 추고 노래 부르는 플라멩코를 단 한번만이라도 본 사람은 누구나 그 기묘한 매력에 사로잡히고 만다. 어둠 속에서 불길이 갑자기 솟아오르는 것 같은 정열, 신들린 사람처럼 춤을 추는 무희의 요염한 몸놀림, 구원을 갈구하는 듯한 애절한 노랫소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주되는 높고 낮은 기타의 음률 등 플라멩코는 뿌듯한 정열과 애수의 감정을 가슴으로 느끼게 해준다.
플라멩코는 타블라오(Tablao)에서 상연된다. 마드리드와 안달루시아 지방에는 쇼스테이지가 있는 레스토랑식 타블라오와 극장식 타블라오가 있다. 레스토랑식 타블라오에서는 식사를 하며 플라멩코를 관람할 수 있지만, 극장식 타블라오에서는 입장료에 포함된 음료수를 마시며 감상한다.
Ⅵ. 스페인의 교육
의무 교육 기간은 8년(E.G.B. 과정)이다. 학제는 다음과 같다.
○ 구아르데리아(Guarder ):유아원, 탁아소로 5세 미만의 어린이가 다닌다.
○ 파르볼로스(P vulos):유치원으로 4~5세 미만의 어린이가 다닌다. 공립 초등학교 가운데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사설 유치원이 대부분이다.
○ 초등 학교(E.B.G.):6~14세로 8년 과정의 의무 교육 기간을 다니게 된다. 에두까시용 바시까 헤네랄(Educaci B ica General)의 약자로 E.B.G.라 부르는데 `종합 기본 교육\'으로 해석된다. 보통 콜레히오(Colegio)라고 부른다.
○ 중학교 및 인문계 고교 과정(B.U.P.):3년 과정으로 바치예라또 우니피까도 뽈리발렌떼(Bachillerato Unificado Polivalente)의 약자로 B.U.P.로 표기한다. 흔히 `인스티투토(Instituto)\'라고 부른다.
○ 실업계 고교 과정(F.P.):4년 과정으로 직업 교육을 주목적으로 2년으로 구성된 두 개의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포르마씨용 쁘로페씨오날(Formaci Profesional)의 약자로 F.P.로 쓴다. `인스티투토\'라고 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공업, 상업, 간호, 교사 등 여러 가지 직업 훈련 교육을 받는다.
○ 대학교 진학 과정(C.O.U.):1년 과정으로 B.U.P.의 수료 후 대학 진학을 위해서 거쳐야 하는 단계로 동과정을 수료해야 셀렉띠비닫(Selectividad)이라고 불리는 대학 입학 예비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시험은 우리 나라의 수학 능력 시험과 유사한 것으로 10점 만점에 5점 이상이면 통과되며, 5점 미만은 낙제로 처리된다. 시험은 매년 정부에서 추첨을 통해 2~3개 과목을 정하여 실시하며 동 점수로 대학과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 대학(Universidad):학사 과정(Diplomado)은 최소 3년이 소요되며 에스꾸엘라 우니베르씨따리아(Escuela Universitaria)라는 우리나라의 전문 대학과 유사한 기관을 졸업하는 경우 및 일반 대학에서의 3년 과정 수료 후 받는 학위이다.
최소 5년이 소요되며 일반 대학 과정으로 3년만 수료시는 디쁠로마도(Diplomado)를 받으며, 과정 수료 후 거의 논문을 통과해야 한다. 에스꾸엘라 우니베르씨따리아(Escuela Universitaria) 수료 후 편입이 가능하나, 운 꾸르소 뿌엔떼(Un curso Puente)라고 불리는 유관 학과만 편입할 수 있다. 박사 과정(Curso Doctorado)은 최소 2년이 소요된다. 그리고 박사 논문 과정(Tesis Doctoral)의 기간은 무제한이다.
9월에 개강해서 이듬해 8월에 종강한다. 대학은 별도의 입학식 및 졸업식 행사가 없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제1외국어로 프랑스어를 가르쳤으나, 현재는 영어로 바뀌었다. 영국 문화원을 비롯한 각종 영어 학원이 영어 교육의 붐을 타고 성업중이며, 외국인 상대의 스페인어 교육 기관은 콤플루센세(Complutence)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부가 사설 기관이다. 외국어에 대한 관심과 사용 가능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젊은층을 중심으로 영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으며 컴퓨터 사설 강습 기관도 성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강석영, 스페인 현대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 김혜영 외 4명,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pp. 127~134, 1998
◎ 김천호, 지구촌 음식문화, 수학사, 2002
◎ 윤준식·권은희, 돈키호테를 따라간 스페인, 성하출판
◎ 안영옥, 스페인문화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3부-chapter9~10, 2000
◎ 재르맹바쟁, 바로크와 로코코, 시공아트, 1판1쇄,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