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중국의 의복문화
Ⅱ. 중국의 체면중시문화
Ⅲ. 중국의 소비문화
1. 꿔칭(國情)
2. 소비자 행동
3. 중국인의 상관습
Ⅳ. 중국의 식사문화(음식문화)
Ⅴ. 중국의 차문화
1. 중국의 명차
2. 중국차의 분류
1) 찻잎의 색깔에 의한 분류법
2) 발효 정도에 따른 분류
3) 차의 채엽시기에 따라
4) 차엽의 제조된 형태에 따라
3. 좋은 차 고르기
1) 찻잎의 외형 보기
2) 찻잎 향맡기
3) 찻물의 색깔과 맛보기
4) 우려낸 찻잎 보기
5) 차사는 방법
Ⅵ. 중국의 결혼문화
1. 전통적 결혼풍속
2. 현대적 결혼풍습
3. 중국결혼 풍속의 변화
4. 혼례(婚禮)
1) 납체(納采)
2) 문명(問名)
3) 납길(納吉)
4) 납징(納徵)
5) 청기(請期)
6) 친영(親迎)
참고문헌
Ⅱ. 중국의 체면중시문화
Ⅲ. 중국의 소비문화
1. 꿔칭(國情)
2. 소비자 행동
3. 중국인의 상관습
Ⅳ. 중국의 식사문화(음식문화)
Ⅴ. 중국의 차문화
1. 중국의 명차
2. 중국차의 분류
1) 찻잎의 색깔에 의한 분류법
2) 발효 정도에 따른 분류
3) 차의 채엽시기에 따라
4) 차엽의 제조된 형태에 따라
3. 좋은 차 고르기
1) 찻잎의 외형 보기
2) 찻잎 향맡기
3) 찻물의 색깔과 맛보기
4) 우려낸 찻잎 보기
5) 차사는 방법
Ⅵ. 중국의 결혼문화
1. 전통적 결혼풍속
2. 현대적 결혼풍습
3. 중국결혼 풍속의 변화
4. 혼례(婚禮)
1) 납체(納采)
2) 문명(問名)
3) 납길(納吉)
4) 납징(納徵)
5) 청기(請期)
6) 친영(親迎)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확대(擴大)하는 가장 강력(强力)한 방법이다.
3. 중국인의 상관습
우리 나라 사람이 중국인과 무역을 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실무 담당자를 통해 교섭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사람은 일반적으로 책임자를 만나 인사를 하고 승낙을 받아 내는 것으로 끝을 보려 하지만 중국인과의 거래에서는 실무 담당자의 승낙을 얻어야만 한다. 그들의 체면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중국인과 무역에서 교섭이 어려워 실패한다는 이유로 이런 것을 모르기 때문인데, 중국인은 모두 하나 하나가 공무원이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상사의 명령으로 모든 일이 된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리고, 중국인은 인정을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에 초조해 하지 그리고 그들은 돈벌이를 선(禪)이라 생각하고 돈 버는 것을 인생에서 가장 즐거운 것으로 안다.
Ⅳ. 중국의 식사문화(음식문화)
자연 조건은 그 지역사람들의 식생활을 결정한다. 중국 대륙은 지역마다 지형, 기후, 토양 등 자연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되는 물산도 다르고 지역마다 먹거리가 다르다. 중국인들은 우리나라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일찍부터 농경생활을 시작하여 곡물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으로는 채소와 육류를 먹었다. 먹거리의 종류가 지역마다 다양한 만큼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다양한 요리법이 이용되었고 각 지역에는 지역을 대표하는 맛이 있다.
먹는 일은 단순히 본능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국인들은 그들의 영양학인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으로 음식 역시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고 대부분의 중국요리가 육류와 야채가 어우러져 있는데 이것도 이러한 사고 방식의 반영일 것이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뿐 아니라 일상 행동거지에서도 형식과 예절을 중시하는 유교에서는 음식 예절이 매우 까다롭다. 또, 살생을 죄악시하는 불교에서는 음식을 꺼리고 채식 위주의 생활을 한다. 특이하게 도교에서는 음식을 부정하고 불로장생의 한 방법으로 보았다.
밥은 국가의 흥망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곡물, 그 중에서도 쌀을 주식으로 했다는 사실이 자급 자족적 농경사회를 오랫동안 지속시킨 중요한 원인의 하나였다는 것만으로도 식생활의 중요성은 결코 예사롭지 않다.
황하유역의 중국인들이 초기에 주식으로 삼았던 곡물들은 건조지역에 적합한 밭작물이었다. 오곡 중에서도 가장 으뜸이 되는 것은 조였다. 보리도 일찍부터 중국인의 주식중 하나였으나 밀이 보편화된 이후에는 그다지 애용되고 있지 않다.
밀은 분식의 형태로 먹기 때문에 다양한 요리법을 개발할 수 있었다. 대개 밀가루를 재료로 한 음식들은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또 휴대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다.쌀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작물이면서도 동시에 손길이 많이 필요한 노동 집약적 작물이다. 쌀은 이러한 특성으로 강남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에 가장 적합한 작물이 되었고 점성도 도입으로 쌀 생산량이 유래 없이 증가하자 중국의 경제의 중심은 이제 화북지역에서 장강이남지역으로 완전히 옮겨가게 되었다.
쌀 생산 지역의 사람들은 쌀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쌀이 주식으로 애용됨에 따라 비타민 B1의 결핍으로 많은 병이 생겨나기도 했다. 중국인들은 차를 즐겨 마신다. 중국인들이 뜨거운 음료인 차를 마시는 것은 그들의 오랜 숙식 전통과 관련이 있다. 중국의 물 사정은 그리 좋지 않다 그래서 반드시 끓여 먹어야 하기 때문에 중국이 차문화가 발달한 것이다. 처음에 차는 왕에게 보내는 공품이나 귀족들이 연회에서나 사용되는 상류사회의 기호품이었다. 그러나 송대에 이르러 대도시의 번화가는 물론 향촌에도 차를 마시는 다관이 생겨나면서 차는 귀족들이 마시는 사치품에서 일반 백성들도 마시는 대중적인 음료가 되었다. 차가 대중적이 됨에 따라 차의 생산지가 늘어나고 차의 맛과 향이 중시되어 차의 제조기술에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을 뿐 아니라 차의 종류와 품질도 다양해졌다. 중국인들이 차를 마시는 것은 밥을 먹는 것과 같았다. 최초의 차는 약재로 간주되었다. 중국인들의 일상음료인 차는 중국의 정치, 외교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차의 생산, 유통을 독점할 권한을 가진 차상인들이 부와 권력을 획득하기도 하였고 풍류를 즐기는 사태부나 문인들은 차맛을 음미하며 인생과 문학을 논하였다. 중국에서의 차는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도 변함없이 중국인들과 생활을 함께 해 온 것임이 틀림없다.
중국 사람들도 술 잘 마시기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술은 공적, 사적 회합에서 자리를 부드럽게 해주는 훌륭한 교제 수단으로 생각되어 왔다. 술을 마시는 사람이 날로 늘어가자 술 만드는 기술도 날로 정교해졌으며 술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또한 고급술집에서 선술집에 이르기까지 많은 주점이 발달하였다.
소금은 인류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물품이다. 소금은 간을 맞출 수 있고 음식의 부패를 방지해 준다. 땅이 넓고 기후와 토양조건이 다양한 중국에서는 바다뿐만 아니라 내륙 호수에서도 소금을 채취할 수 있었다. 중국의 여러 왕조들은 일찍부터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소금의 생산과 판매를 독점하고 그것을 국가의 중요한 수입원으로 삼으려 하였다. 그러나 사실 국가가 소금을 관리하기란 매우 번거롭다. 그래서 국가는 특정한 상인에게 생산과 판매를 맡기고 그 대가로 세금을 받았다. 소금의 판매권을 얻은 특허 상인들은 독점권을 배경으로 엄청난 부를 이뤘다. 그러한 부를 배경으로 때로 권력자와 결탁하기도 하고 권력의 핵심에 서기도 하였다.
Ⅴ. 중국의 차문화
1. 중국의 명차
중국은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으며 지역간 격차가 심하여 차의 종류는 수백여 종이나 되기 때문에 각 지방의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종류와 습관도 각기 다르다. 차의 종류를 보면 대체로 화차(花茶), 뤼차(綠茶), 홍차(紅茶), 우롱차(烏龍茶), 진야차(緊壓茶)의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차의 주요 산지로는 저장(浙江), 장쑤(江蘇), 안휘(安徽), 허난(河南), 푸젠(福建), 꾸이저우(貴州), 윈난(雲南) 등지가 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십대명차(十大名茶)는 롱징차(龍井茶; 杭州), 삐루어춘(碧螺春; 太湖 洞庭山), 티에
3. 중국인의 상관습
우리 나라 사람이 중국인과 무역을 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실무 담당자를 통해 교섭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사람은 일반적으로 책임자를 만나 인사를 하고 승낙을 받아 내는 것으로 끝을 보려 하지만 중국인과의 거래에서는 실무 담당자의 승낙을 얻어야만 한다. 그들의 체면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중국인과 무역에서 교섭이 어려워 실패한다는 이유로 이런 것을 모르기 때문인데, 중국인은 모두 하나 하나가 공무원이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상사의 명령으로 모든 일이 된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리고, 중국인은 인정을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에 초조해 하지 그리고 그들은 돈벌이를 선(禪)이라 생각하고 돈 버는 것을 인생에서 가장 즐거운 것으로 안다.
Ⅳ. 중국의 식사문화(음식문화)
자연 조건은 그 지역사람들의 식생활을 결정한다. 중국 대륙은 지역마다 지형, 기후, 토양 등 자연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되는 물산도 다르고 지역마다 먹거리가 다르다. 중국인들은 우리나라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일찍부터 농경생활을 시작하여 곡물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으로는 채소와 육류를 먹었다. 먹거리의 종류가 지역마다 다양한 만큼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다양한 요리법이 이용되었고 각 지역에는 지역을 대표하는 맛이 있다.
먹는 일은 단순히 본능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국인들은 그들의 영양학인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으로 음식 역시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고 대부분의 중국요리가 육류와 야채가 어우러져 있는데 이것도 이러한 사고 방식의 반영일 것이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뿐 아니라 일상 행동거지에서도 형식과 예절을 중시하는 유교에서는 음식 예절이 매우 까다롭다. 또, 살생을 죄악시하는 불교에서는 음식을 꺼리고 채식 위주의 생활을 한다. 특이하게 도교에서는 음식을 부정하고 불로장생의 한 방법으로 보았다.
밥은 국가의 흥망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곡물, 그 중에서도 쌀을 주식으로 했다는 사실이 자급 자족적 농경사회를 오랫동안 지속시킨 중요한 원인의 하나였다는 것만으로도 식생활의 중요성은 결코 예사롭지 않다.
황하유역의 중국인들이 초기에 주식으로 삼았던 곡물들은 건조지역에 적합한 밭작물이었다. 오곡 중에서도 가장 으뜸이 되는 것은 조였다. 보리도 일찍부터 중국인의 주식중 하나였으나 밀이 보편화된 이후에는 그다지 애용되고 있지 않다.
밀은 분식의 형태로 먹기 때문에 다양한 요리법을 개발할 수 있었다. 대개 밀가루를 재료로 한 음식들은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또 휴대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다.쌀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작물이면서도 동시에 손길이 많이 필요한 노동 집약적 작물이다. 쌀은 이러한 특성으로 강남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에 가장 적합한 작물이 되었고 점성도 도입으로 쌀 생산량이 유래 없이 증가하자 중국의 경제의 중심은 이제 화북지역에서 장강이남지역으로 완전히 옮겨가게 되었다.
쌀 생산 지역의 사람들은 쌀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쌀이 주식으로 애용됨에 따라 비타민 B1의 결핍으로 많은 병이 생겨나기도 했다. 중국인들은 차를 즐겨 마신다. 중국인들이 뜨거운 음료인 차를 마시는 것은 그들의 오랜 숙식 전통과 관련이 있다. 중국의 물 사정은 그리 좋지 않다 그래서 반드시 끓여 먹어야 하기 때문에 중국이 차문화가 발달한 것이다. 처음에 차는 왕에게 보내는 공품이나 귀족들이 연회에서나 사용되는 상류사회의 기호품이었다. 그러나 송대에 이르러 대도시의 번화가는 물론 향촌에도 차를 마시는 다관이 생겨나면서 차는 귀족들이 마시는 사치품에서 일반 백성들도 마시는 대중적인 음료가 되었다. 차가 대중적이 됨에 따라 차의 생산지가 늘어나고 차의 맛과 향이 중시되어 차의 제조기술에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을 뿐 아니라 차의 종류와 품질도 다양해졌다. 중국인들이 차를 마시는 것은 밥을 먹는 것과 같았다. 최초의 차는 약재로 간주되었다. 중국인들의 일상음료인 차는 중국의 정치, 외교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차의 생산, 유통을 독점할 권한을 가진 차상인들이 부와 권력을 획득하기도 하였고 풍류를 즐기는 사태부나 문인들은 차맛을 음미하며 인생과 문학을 논하였다. 중국에서의 차는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도 변함없이 중국인들과 생활을 함께 해 온 것임이 틀림없다.
중국 사람들도 술 잘 마시기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술은 공적, 사적 회합에서 자리를 부드럽게 해주는 훌륭한 교제 수단으로 생각되어 왔다. 술을 마시는 사람이 날로 늘어가자 술 만드는 기술도 날로 정교해졌으며 술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또한 고급술집에서 선술집에 이르기까지 많은 주점이 발달하였다.
소금은 인류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물품이다. 소금은 간을 맞출 수 있고 음식의 부패를 방지해 준다. 땅이 넓고 기후와 토양조건이 다양한 중국에서는 바다뿐만 아니라 내륙 호수에서도 소금을 채취할 수 있었다. 중국의 여러 왕조들은 일찍부터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소금의 생산과 판매를 독점하고 그것을 국가의 중요한 수입원으로 삼으려 하였다. 그러나 사실 국가가 소금을 관리하기란 매우 번거롭다. 그래서 국가는 특정한 상인에게 생산과 판매를 맡기고 그 대가로 세금을 받았다. 소금의 판매권을 얻은 특허 상인들은 독점권을 배경으로 엄청난 부를 이뤘다. 그러한 부를 배경으로 때로 권력자와 결탁하기도 하고 권력의 핵심에 서기도 하였다.
Ⅴ. 중국의 차문화
1. 중국의 명차
중국은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으며 지역간 격차가 심하여 차의 종류는 수백여 종이나 되기 때문에 각 지방의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종류와 습관도 각기 다르다. 차의 종류를 보면 대체로 화차(花茶), 뤼차(綠茶), 홍차(紅茶), 우롱차(烏龍茶), 진야차(緊壓茶)의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차의 주요 산지로는 저장(浙江), 장쑤(江蘇), 안휘(安徽), 허난(河南), 푸젠(福建), 꾸이저우(貴州), 윈난(雲南) 등지가 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십대명차(十大名茶)는 롱징차(龍井茶; 杭州), 삐루어춘(碧螺春; 太湖 洞庭山), 티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