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생동물][해양에 사는 원생동물][수인성 전염병원 원생동물]원생동물의 분류, 원생동물의 정의, 원생동물의 영양방식, 원생동물의 생식, 원생동물의 체계, 해양에 사는 원생동물, 수인성 전염병원 원생동물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생동물][해양에 사는 원생동물][수인성 전염병원 원생동물]원생동물의 분류, 원생동물의 정의, 원생동물의 영양방식, 원생동물의 생식, 원생동물의 체계, 해양에 사는 원생동물, 수인성 전염병원 원생동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원생동물의 분류

Ⅱ. 원생동물의 정의

Ⅲ. 원생동물의 영양방식

Ⅳ. 원생동물의 생식

Ⅴ. 원생동물의 체계
1. 편모충류
1) 식물성편모충류
2) 동물성편모충류
2. 육질충류 : 아메바, 태양충, 방산충, 유공충
1) 근족충류
2) 이형충류
3) 방사족충류
3. 포자충류와 극낭포자충류
4. 유모충류(섬모충류)

Ⅵ. 해양에 사는 원생동물
1. 나팔벌레
2. 야광충
3. 유공충

Ⅶ. 수인성 전염병원 원생동물
1. 크립토스포리디움
2. 지아디아
3. 기타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생물중 하나라고 한다. 11cm 이르는 것도 있다고 하는데 나팔벌레나 야광충에 비하면 아주 큰 편이다.
Ⅶ. 수인성 전염병원 원생동물
1. 크립토스포리디움
구충류(Coccidia)의 하나로 6종이 알려져 있으며, 사람에 감염성이 있는 것은 Cryptosporidium parvum이다. 크립토스포리디움의 포낭을 oocyst라 하며 직경이 46㎛인 구형으로 원생동물 중에서는 가장 작다. 살아있는 포낭은 내부에 바나나모양의 sporozoite를 4개를 갖고 있다. 크립토스포리디움에 의한 질병을 cryptosporidiosis라 하며, 감염자의 8090%가 발병할 정도로 발병률이 높아 수인성발병이 일어날 경우 규모가 크고 범위가 넓은 특징을 갖는다. 크립토스포리디움에 감염되면 설사가 일어나 하루평균 3L의 수분손실이 일어나고, 복통, 메스꺼움, 구토, 발열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이런 증상은 감염 후 평균 36일 후 시작되며 이때 포낭을 배출한다.
2. 지아디아
편모충류의 하나로 사람에게 감염성을 갖는 Giardia lamblia가 수돗물과 관련하여 중요성이 있다. 지아디아의 포낭을 cyst라 하며 길이 812㎛, 폭 710㎛의 계란형이다. 성숙한 포낭은 4개의 핵과 1쌍의 axonemes, 발톱모양의 median body 1쌍을 가진다. 지아디아에 의한 질병을 giardiasis라 하며, 감염된 사람의 약 24%만이 발병한다. 보통 감염 후 510일의 잠복기간 후 설사, 복부 팽만, 장내 가스 팽만으로 인한 불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사람에 따라서는 아무런 증상이 없거나 단기간 증상이 나타나나 쇠약한 사람들은 장기간에 걸쳐 증상이 나타난다.
3. 기타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Naegleria fowleri, 설사병을 일으키는 Cyclospora cayetanensis 및 Entamoeba histolytica, Balantidium coli, Acanthamoeba, Isospora belli, Microsporidia 등이 있으나 크립토스포리디움과 지아디아가 수인성 질병발병을 일으키는 주된 원생동물이다.
참고문헌
김정흠 외(1997), 현대과학대사전, 한국과학문화재단
김훈수·이창언·노분조(1988), 동물분류학, 집현사
동물분류학(2002), 한국동물분류학회, 집현사
송해범·조익환(2002), 동물과 환경, 대구대학교 출판부
이종욱·김창환·문태영(1993), 동물계통분류학, 출판사 형설출판사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