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물학 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Ⅱ.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Ⅳ. 실험(Experiment)

Ⅴ. 결과

Ⅵ. 고찰

본문내용

훨씬 관찰하기 어려웠다. 세포의 배열이 규칙적이지 못하고 군데군데 뭉쳐있어서 현미경으로 상을 찾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관찰이 어려웠던것 같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는 모두 핵과 세포질,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식물세포는 동물세포가 가지고 있지 않은 세포벽이 있어서 두 세포의 모양이 크게 차이가 난다. 식물세포의 경우, 세포막 밖을 셀룰로오스와 펙틴, 리그닌으로 구성된 세포벽이 둘러싸고 있어 형태가 규칙적이고 다각형모양인 반면,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존재하지 않아 불규칙적이고 구형모양이다. 세포를 관찰하기 이전에 염색을 하게 되는데 구강세포의 경우 염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관찰이 불가능하며, 식물세포의 경우도 세포소기관은 관찰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염색이 되는 이유는 동물세포는 진핵세포이다. 진핵세포는 핵막이 있어 세포질과 핵이 서로 구분되어 있는데, 핵 안에는 염색체가 들어있다. 염색체는 생물체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가 무수히 꼬이고 뭉쳐 있는 것으로, 염료에 의해 염색이 잘 되는 성질 때문에 염색체라고 부른다. 염색체가 염색이 잘 되는 것은 DNA 구조 때문이다. DNA는 당과 염기와 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인산기가 음전하를 띠고 있어 DNA는 전체적으로 음전하를 띤다. 그래서 색깔이 있는 양이온을 넣어주면 양이온이 인산기 주위로 끌려가 마치 염색체가 색깔을 띠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메틸렌블루가 용액 속에서 이온화되고 나면 황(S)원자에 양전하가 생기게 된다. 이 양이온이 푸른색을 띠기 때문에 메틸렌블루 용액을 세포에 떨어뜨리면 음전하를 띠고 있는 세포의 핵이 푸르게 염색된다. 동물 세포의 경우 붉은색의 세포가 많기 때문에 아세트산카민 용액보다는 주로 메틸렌블루 용액을 쓴다. 그리고 구강상피세포를 염색 할 때는 메틸렌블루용액을 사용하였고 양파표피세포를 염색 할 때는 요오드용액을 사용하였다. 두 세포의 염색약이 다른 이유는 요오드 용액 속에는 붉은색을 띠고 있는 염색체에 끌려가게 되어 염색체 전체가 붉게 물든 것처럼 보이게 된다. 그리고 염색체가 핵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핵이 염색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녹색을 띠는 식물세포에 주로 사용한다. 반면, 메틸렌블루 용액 속에서 푸른색을 띠고 있는 양이온이 음전하를 띠고 있는 염색체에 끌려가게 되어 염색체 전체가 푸르게 물든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메틸렌블루 용액은 붉은색을 띠는 세포가 많은 동물세포에 주로 사용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