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비극의 개념
Ⅱ. 비극의 분류
1. 운명비극
2. 성격비극
3. 상황비극
4. 운명비극(運命悲劇)
Ⅲ. 레싱의 비극론
1. 레싱이 비극론에서 핵심을 이루는 개념 : 동정심(Mitleid)과 공포(Furcht)
2. 레싱의 비극에 나오는 주인공의 성격
3. 개연성의 법칙
4. 레싱의 비극론이 갖는 계몽주의적 성격
1) 문학은 자연의 모방(개연성)
2) 비극의 목표
3) 비극의 정의
Ⅳ. 셰익스피어의 비극론
Ⅴ. 쉴러의 비극론
참고문헌
Ⅱ. 비극의 분류
1. 운명비극
2. 성격비극
3. 상황비극
4. 운명비극(運命悲劇)
Ⅲ. 레싱의 비극론
1. 레싱이 비극론에서 핵심을 이루는 개념 : 동정심(Mitleid)과 공포(Furcht)
2. 레싱의 비극에 나오는 주인공의 성격
3. 개연성의 법칙
4. 레싱의 비극론이 갖는 계몽주의적 성격
1) 문학은 자연의 모방(개연성)
2) 비극의 목표
3) 비극의 정의
Ⅳ. 셰익스피어의 비극론
Ⅴ. 쉴러의 비극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말하여보면 셰익스피어비극은 높은 신분의 인물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특수한 재난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적 의미에서 비극의 재난들은 단순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또 어디서 오는 것도 아니다.
어떠한 환경에 처한 인간들이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 성격이 합치되어 발생하는 행동의 연속, 즉 이러한 일련의 내적으로 관련된 행동들이 명백히 불가피한 인과적 연쇄에 의해 대재난으로 치닫는다. 이 재난은 주로 액션에서 비롯되며 그러한 행동은 인간들의 행동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등장인물들은 우리에게 기본적으로 행위자들 즉 그들 스스로가 그들 본연의 공포를 낳는 장본인들로 보인다. Shakespeare 비극의 스토리또는액션은 인간의 행동 혹은 행위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배적인 요소로서 행동이 포함된다. 비극의 중심은 성격에서 발생하는 행동 또는 행동에서 유래되는 성격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비극이 그 종국으로 진행됨에 따라 우리가 강렬히 느끼게 되는 것은 재난과 대재난이 불가피 하게 인간의 행동에서 유래하고 이런 행동의 주된 근원은 성격이라는 사실이다. 이와 같이 셰익스피어에게 성격이 운명이다란 단언은 절대과장이 아니며, 중대한 진리인 것이다. 이러한 진리는 몇 가지 자질(qualifications)과 더불어 더욱 명료하게 나타날 것이다.
우선 셰익스피어는 비정상적인 정신 상태(정신이상, 몽유병, 환각상태 등)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상태들은 어떤 극적 순간의 행위의 근원으로서 결코 도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셰익스피어는 자신의 몇몇 비극작품속에 초자연적인 것을 도입하고 있다. 초자연적인 것은 확실히 행동의 원인이 되며 여러 경우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일면이다. 그리고 항상 성격과 가장 밀접한 관계 속에 놓여있다.
마지막으로 셰익스피어는 대부분의 비극작품에서 우연 또는 돌발사건을 소개하고 있다. 돌발사고의 작용은 하나의 사실이며 인간 생활에 현저한 사실이다.
이에 대해서 작가는 거의 모든 현저한 돌발 사건들은 액션이 잘 진행되고 원인이 되는 연속의 인상이 너무나 확고히 고정되어 손상될 수가 없게 되는 때에 발생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액션에 있어서 위와 같은 세 가지 요소들은 부수적이고 한편 지배적 요인은 성격에서 발생하는 행위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여기서 행동을 갈등으로 서술함으로서 보다 더 잘 이야기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갈등은 두 등장인물 사이에 놓여 있는 것으로 간주 되며 갈등이 양집단 사이에 놓일 경우 이 양집단 중에서 주인공이 그 지도적 인물이다. 게다가 우리의 흥미를 독점하고 우리들의 기억속에 자리 잡는 것은 인물들(주인공)의 내부에 존재하는 갈등이다. 대체로 주인공은 자신의 운명적인 길을 추구하지만, 적어도 액션의 어느 지점에서 또 때로는 여러 지점에서 내적갈등에 찢겨진다. 이런 곳에서 셰익스피어의 가장 비범한 능력이 보인다. 그리고 다만 갈등으로서의 비극적 개념은 액션이 그 스토리의 중심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또 한편 좀더 위대한 작품들에서는 내적 투쟁에 대한 관심의 집중은 이러한 액션이 본질적으로 성격의 표현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제부터는 관심을 행동으로부터 그러한 행동을 하는 그 중심 인물로 돌리고 그들이 비극적 효과에 본질적인 것으로 보이는 어떤 공통된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자. 우선 이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주인공은 높은 지휘 혹은 국민 대중의 중요성을 띤 인물이며 그의 행동과 고통은 특수한 종류의 것이고 셰익스피어의 비극적 인물들은 우리들 자신속에서 그리고 우리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내에서 발견되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그들이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인생의 강렬화에 의해서 다른 사람들 보다 특출해진다.
그리고 위대한 인물의 천재성 또는 열정과 의지가 그들 내부에서 몸서리 칠 힘을 지탱해줌을 알게 되고 거의 모든 인물들 속에서 우리는 어떤 특수한 방향으로만 쏠리는 성향, 어떤 환경에서 이러한 방향으로 끌고 가는 힘에 저항하지 못하는 무능력 등과 같은 하나의 뚜렷한 일방성을 알 수 있다. 셰익스피어에게는 이러한 것이 본질 적인 비극적 특성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에서 그의 비극적 특성은, 역시 그의 위대성인 동시에 그에게 운명적임을 보게 된다. 주인공은 행동 또는 행동의 태만으로 말미암아 과오를 범하여 그의 과오는 다른 원인과 결합되어 그에게 파멸을 초래시킨다.
셰익스피어에게 비극적 주인공은 반드시 선량할 필요가 없으나 그는 그의 실수와 몰락에 있어서 우리가 생생하게 인간성의 가능성들을 의식하게 할 만큼 충분한 위대성을 지니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hakespeare의 비극이란 결코 울적하지 않다. 인간은 처참 할 수도 있지만 비열하지 않고 운명은 비통하고 신비로울 수도 있지만 경멸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주인공의 위대성은 비극적 느낌의 중심이라는 것과 관련된다고 지은이는 이야기 한다. 여기서 앞의 중심적 감정은 황폐의 인상이라고 역시 이야기 한다.
셰익스피어에게서 어느 정도 비극적 이야기로 야기된 연민과 공포는 이러한 황폐의 느낌 때문에 생긴 비애와 신비의 심오한 감정과 결합되고 심지어 거기에 몰입되는 것 같다.
그렇지만 개인이 제아무리 위대하고, 그들의 행동이 결정적으로 보인다 할지라도, 너무도 명백하게 궁극적인 힘이 될 수 없는 이러한 비극의 세계에서, 그런 궁극적 힘은 무엇인가 ?
이렇게 지은이는 질문을 던지고 또 많은 다양성과 난해성을 지니고 있다고도 하였고 주의할 점을 말해준다. 그에 대해서 우선 종교적인 언어로 답을 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신들, 하나님, 악령, 사탄 등의 등장인물이 비극의 신비에 빛을 던져 주기위해 이용되지는 않는 다. 셰익스피어는 실질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비신학적 관찰과 사고의 세계에 국한 시켰다. 그리고 그의 위대성은 대체로 비범한 힘을 지닌 정신 내부에 깃든 박진감 때문이다. 다음으로 비극의 세계에서 궁극적인 힘은 우리가 정의롭고 유익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법칙 또는 질서로 즉, 그러한 의미에서 어떤 도덕적 질서로 기술하기가 적당치 않으며 이러한 궁극적 힘은 인간의 행복과 선에 대해 심술
어떠한 환경에 처한 인간들이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 성격이 합치되어 발생하는 행동의 연속, 즉 이러한 일련의 내적으로 관련된 행동들이 명백히 불가피한 인과적 연쇄에 의해 대재난으로 치닫는다. 이 재난은 주로 액션에서 비롯되며 그러한 행동은 인간들의 행동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등장인물들은 우리에게 기본적으로 행위자들 즉 그들 스스로가 그들 본연의 공포를 낳는 장본인들로 보인다. Shakespeare 비극의 스토리또는액션은 인간의 행동 혹은 행위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배적인 요소로서 행동이 포함된다. 비극의 중심은 성격에서 발생하는 행동 또는 행동에서 유래되는 성격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비극이 그 종국으로 진행됨에 따라 우리가 강렬히 느끼게 되는 것은 재난과 대재난이 불가피 하게 인간의 행동에서 유래하고 이런 행동의 주된 근원은 성격이라는 사실이다. 이와 같이 셰익스피어에게 성격이 운명이다란 단언은 절대과장이 아니며, 중대한 진리인 것이다. 이러한 진리는 몇 가지 자질(qualifications)과 더불어 더욱 명료하게 나타날 것이다.
우선 셰익스피어는 비정상적인 정신 상태(정신이상, 몽유병, 환각상태 등)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상태들은 어떤 극적 순간의 행위의 근원으로서 결코 도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셰익스피어는 자신의 몇몇 비극작품속에 초자연적인 것을 도입하고 있다. 초자연적인 것은 확실히 행동의 원인이 되며 여러 경우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일면이다. 그리고 항상 성격과 가장 밀접한 관계 속에 놓여있다.
마지막으로 셰익스피어는 대부분의 비극작품에서 우연 또는 돌발사건을 소개하고 있다. 돌발사고의 작용은 하나의 사실이며 인간 생활에 현저한 사실이다.
이에 대해서 작가는 거의 모든 현저한 돌발 사건들은 액션이 잘 진행되고 원인이 되는 연속의 인상이 너무나 확고히 고정되어 손상될 수가 없게 되는 때에 발생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액션에 있어서 위와 같은 세 가지 요소들은 부수적이고 한편 지배적 요인은 성격에서 발생하는 행위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여기서 행동을 갈등으로 서술함으로서 보다 더 잘 이야기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갈등은 두 등장인물 사이에 놓여 있는 것으로 간주 되며 갈등이 양집단 사이에 놓일 경우 이 양집단 중에서 주인공이 그 지도적 인물이다. 게다가 우리의 흥미를 독점하고 우리들의 기억속에 자리 잡는 것은 인물들(주인공)의 내부에 존재하는 갈등이다. 대체로 주인공은 자신의 운명적인 길을 추구하지만, 적어도 액션의 어느 지점에서 또 때로는 여러 지점에서 내적갈등에 찢겨진다. 이런 곳에서 셰익스피어의 가장 비범한 능력이 보인다. 그리고 다만 갈등으로서의 비극적 개념은 액션이 그 스토리의 중심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또 한편 좀더 위대한 작품들에서는 내적 투쟁에 대한 관심의 집중은 이러한 액션이 본질적으로 성격의 표현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제부터는 관심을 행동으로부터 그러한 행동을 하는 그 중심 인물로 돌리고 그들이 비극적 효과에 본질적인 것으로 보이는 어떤 공통된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자. 우선 이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주인공은 높은 지휘 혹은 국민 대중의 중요성을 띤 인물이며 그의 행동과 고통은 특수한 종류의 것이고 셰익스피어의 비극적 인물들은 우리들 자신속에서 그리고 우리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내에서 발견되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그들이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인생의 강렬화에 의해서 다른 사람들 보다 특출해진다.
그리고 위대한 인물의 천재성 또는 열정과 의지가 그들 내부에서 몸서리 칠 힘을 지탱해줌을 알게 되고 거의 모든 인물들 속에서 우리는 어떤 특수한 방향으로만 쏠리는 성향, 어떤 환경에서 이러한 방향으로 끌고 가는 힘에 저항하지 못하는 무능력 등과 같은 하나의 뚜렷한 일방성을 알 수 있다. 셰익스피어에게는 이러한 것이 본질 적인 비극적 특성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에서 그의 비극적 특성은, 역시 그의 위대성인 동시에 그에게 운명적임을 보게 된다. 주인공은 행동 또는 행동의 태만으로 말미암아 과오를 범하여 그의 과오는 다른 원인과 결합되어 그에게 파멸을 초래시킨다.
셰익스피어에게 비극적 주인공은 반드시 선량할 필요가 없으나 그는 그의 실수와 몰락에 있어서 우리가 생생하게 인간성의 가능성들을 의식하게 할 만큼 충분한 위대성을 지니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hakespeare의 비극이란 결코 울적하지 않다. 인간은 처참 할 수도 있지만 비열하지 않고 운명은 비통하고 신비로울 수도 있지만 경멸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주인공의 위대성은 비극적 느낌의 중심이라는 것과 관련된다고 지은이는 이야기 한다. 여기서 앞의 중심적 감정은 황폐의 인상이라고 역시 이야기 한다.
셰익스피어에게서 어느 정도 비극적 이야기로 야기된 연민과 공포는 이러한 황폐의 느낌 때문에 생긴 비애와 신비의 심오한 감정과 결합되고 심지어 거기에 몰입되는 것 같다.
그렇지만 개인이 제아무리 위대하고, 그들의 행동이 결정적으로 보인다 할지라도, 너무도 명백하게 궁극적인 힘이 될 수 없는 이러한 비극의 세계에서, 그런 궁극적 힘은 무엇인가 ?
이렇게 지은이는 질문을 던지고 또 많은 다양성과 난해성을 지니고 있다고도 하였고 주의할 점을 말해준다. 그에 대해서 우선 종교적인 언어로 답을 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신들, 하나님, 악령, 사탄 등의 등장인물이 비극의 신비에 빛을 던져 주기위해 이용되지는 않는 다. 셰익스피어는 실질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비신학적 관찰과 사고의 세계에 국한 시켰다. 그리고 그의 위대성은 대체로 비범한 힘을 지닌 정신 내부에 깃든 박진감 때문이다. 다음으로 비극의 세계에서 궁극적인 힘은 우리가 정의롭고 유익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법칙 또는 질서로 즉, 그러한 의미에서 어떤 도덕적 질서로 기술하기가 적당치 않으며 이러한 궁극적 힘은 인간의 행복과 선에 대해 심술
추천자료
『Death of a Salesman』연구와 Arthur Miller의 비극관 고찰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비극론
유리동물원과 현대비극
셰익스피어 4대 비극과 그 주제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비극론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에 나타나는 인간의 내면심리 연구
레싱의 문학이론, 레싱의 비극론, 레싱의 시민비극이론, 레싱의 시민비극 Miß Sara Sampson, ...
[레싱][에밀리아 갈로티]레싱의 비극론, 레싱 에밀리아 갈로티의 줄거리, 레싱 에밀리아 갈로...
[비극][비극론][레싱][쉴러][비극 정의][비극 언어표현적 구성][레싱의 비극론][쉴러의 비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