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월대보름의 유래
Ⅱ.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1. 부럼 깨물기
2. 귀밝이술 마시기
3. 오곡밥
4. 복쌈
5. 진채식 먹기
6. 약식
7. 원소병
Ⅲ. 정월대보름에 먹는 나물
1. 첫 번째 나물 : 콩나물
2. 두 번째 나물 : 도라지나물
3. 세 번째 나물 : 고사리나물
4. 네 번째 나물 : 취나물
5. 다섯 번째 나물 : 무나물
6. 여섯 번째 나물 : 시래기나물
7. 일곱 번째 나물 : 고구마순나물
8. 여덟 번째 나물 : 호박고지나물
9. 아홉 번째 나물 : 가지고지나물
Ⅳ. 정월대보름에 하는 민속놀이
1. 다리밟기
2. 연 날려 보내기
3. 더위팔기
4. 굿
5. 복토(福土) 훔치기
6. 지신밟기
7. 달맞이
참고문헌
Ⅱ.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1. 부럼 깨물기
2. 귀밝이술 마시기
3. 오곡밥
4. 복쌈
5. 진채식 먹기
6. 약식
7. 원소병
Ⅲ. 정월대보름에 먹는 나물
1. 첫 번째 나물 : 콩나물
2. 두 번째 나물 : 도라지나물
3. 세 번째 나물 : 고사리나물
4. 네 번째 나물 : 취나물
5. 다섯 번째 나물 : 무나물
6. 여섯 번째 나물 : 시래기나물
7. 일곱 번째 나물 : 고구마순나물
8. 여덟 번째 나물 : 호박고지나물
9. 아홉 번째 나물 : 가지고지나물
Ⅳ. 정월대보름에 하는 민속놀이
1. 다리밟기
2. 연 날려 보내기
3. 더위팔기
4. 굿
5. 복토(福土) 훔치기
6. 지신밟기
7. 달맞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스럼\"의 준말로 피부에 생기는 종기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요즘은 먹을 것도 다양하고 좋은 음식도 많아 부스럼이 나지 않지만 옛날에는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 보니 피부에 버짐이 피기도 했다. 그런데 땅콩이나 호두 같은 열매에는 그런 부스럼을 막아주는 영양소가 쌀보다 수십 배나 많이 들어있어 아이들에게 이것을 미리 먹여 일 년 동안 피부병에 걸리지 않게 하려고 했으니 정말 지혜롭지 않은가? 옛날 우리 조상들은 달이 밝은 밤을 신비롭게 여겼다. 특히 보름날 밤에는 둥근 달을 보며 더욱 흥겨워했다. 그래서 일 년 중에서도 첫 번째 찾아오는 정월 보름은 더욱 소중히 여겨서 \"대보름\" 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Ⅱ.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한 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소망이 가득 담긴 대보름 음식으로 오곡밥, 약밥 등을 들 수 있는데, 대보름에는 나물명절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많은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
1. 부럼 깨물기
아침 일찍 일어나 부럼이라고 하는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소리 나게 깨물어 먹으면 1년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을 뿐 아니라 이가 단단해 진다고 한다.
2. 귀밝이술 마시기
이른 아침에 청주를 데우지 않고 마시는데 이를 귀밝이술 이라고 하며 귀가 밝아지고 귓병이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1년 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3. 오곡밥
쌀, 콩, 팥, 보리, 수수, 조 들 중에서 반드시 5가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안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주로 여러 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또한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는데 평상시에는 하루 세 번 먹지만 이 날만큼은 틈틈이 먹어서 9번을 먹는다.
4. 복쌈
밥을 김이나 취에 싸서 먹는데 이것을 복쌈이라고 한다. 이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볏단 쌓듯이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있다고도 전한다.
5. 진채식 먹기
취, 호박, 고비, 고사리, 가지, 시래기 등을 가을에 말려 두었다가 보름날 삶아 먹었는데 이를 진채식이라고 하며, 이 진채식을 먹으면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6. 약식
대보름에 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먹는 음식으로 14일 밤이나 15일에 찹쌀, 대추, 밤, 꿀, 잣 등을 섞어 쪄서 만든다
7. 원소병
작고 동그란 떡이라는 뜻으로 찹쌀가루를 여러 가지 색으로 반죽하여 소를 넣고, 경단 모양으로 빚어서 삶아 내어 오미자국물이나 꿀물에 띄워 낸 화채이다.
Ⅲ. 정월대보름에 먹는 나물
1. 첫 번째 나물 : 콩나물
① 콩나물은 줄기가 희고 짤막하고 통 통하면서 잔뿌리가 없는 것이 맛이 있고 좋다. 먼저 벌레 먹은 부분과 뿌리 부분을 떼어낸 후 깨끗이 씻어 준비한다.
② 냄비에 콩나물을 넣고 물 5큰 술과 소금 약간을 넣어 삶는다. 삶을 때는 뚜껑을 덮어 10분 정도 끓인다. 절대로 도중에 뚜껑을 열지 말아야 한다. 이유는 도중에 뚜껑을 열면 콩 비린내가 나기 때문이다.
③ 냄비뚜껑사이로 김이 나기 시작하고 콩나물 특유의 구수한 냄새가 나면 익기 시작하는 증거다. 불을 끄고 냄비 뚜껑을 열어 콩나물을 건져서 소쿠리에 담아 한 김을 빼며 물기도 뺀다.
④ 콩나물이 뜨거울 때에 그릇에 담고 먼저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다.
⑤ 참기름으로 버무린 콩나물에 다진 파, 다진 마늘, 소금, 깨소금을 넣어 양념한다.
⑥ 콩나물 무친 것을 접시에 담고 실고추, 통 깨를 조금씩 뿌리면 한결 깔끔하고 먹음직스럽다.
2. 두 번째 나물 : 도라지나물
① 도라지는 소금으로 주물러 씻어 헹군 후 찬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다.
② 도라지는 길이 6cm, 폭 0.3cm 되게
Ⅱ.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한 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소망이 가득 담긴 대보름 음식으로 오곡밥, 약밥 등을 들 수 있는데, 대보름에는 나물명절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많은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
1. 부럼 깨물기
아침 일찍 일어나 부럼이라고 하는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소리 나게 깨물어 먹으면 1년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을 뿐 아니라 이가 단단해 진다고 한다.
2. 귀밝이술 마시기
이른 아침에 청주를 데우지 않고 마시는데 이를 귀밝이술 이라고 하며 귀가 밝아지고 귓병이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1년 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3. 오곡밥
쌀, 콩, 팥, 보리, 수수, 조 들 중에서 반드시 5가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안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주로 여러 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또한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는데 평상시에는 하루 세 번 먹지만 이 날만큼은 틈틈이 먹어서 9번을 먹는다.
4. 복쌈
밥을 김이나 취에 싸서 먹는데 이것을 복쌈이라고 한다. 이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볏단 쌓듯이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있다고도 전한다.
5. 진채식 먹기
취, 호박, 고비, 고사리, 가지, 시래기 등을 가을에 말려 두었다가 보름날 삶아 먹었는데 이를 진채식이라고 하며, 이 진채식을 먹으면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6. 약식
대보름에 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먹는 음식으로 14일 밤이나 15일에 찹쌀, 대추, 밤, 꿀, 잣 등을 섞어 쪄서 만든다
7. 원소병
작고 동그란 떡이라는 뜻으로 찹쌀가루를 여러 가지 색으로 반죽하여 소를 넣고, 경단 모양으로 빚어서 삶아 내어 오미자국물이나 꿀물에 띄워 낸 화채이다.
Ⅲ. 정월대보름에 먹는 나물
1. 첫 번째 나물 : 콩나물
① 콩나물은 줄기가 희고 짤막하고 통 통하면서 잔뿌리가 없는 것이 맛이 있고 좋다. 먼저 벌레 먹은 부분과 뿌리 부분을 떼어낸 후 깨끗이 씻어 준비한다.
② 냄비에 콩나물을 넣고 물 5큰 술과 소금 약간을 넣어 삶는다. 삶을 때는 뚜껑을 덮어 10분 정도 끓인다. 절대로 도중에 뚜껑을 열지 말아야 한다. 이유는 도중에 뚜껑을 열면 콩 비린내가 나기 때문이다.
③ 냄비뚜껑사이로 김이 나기 시작하고 콩나물 특유의 구수한 냄새가 나면 익기 시작하는 증거다. 불을 끄고 냄비 뚜껑을 열어 콩나물을 건져서 소쿠리에 담아 한 김을 빼며 물기도 뺀다.
④ 콩나물이 뜨거울 때에 그릇에 담고 먼저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다.
⑤ 참기름으로 버무린 콩나물에 다진 파, 다진 마늘, 소금, 깨소금을 넣어 양념한다.
⑥ 콩나물 무친 것을 접시에 담고 실고추, 통 깨를 조금씩 뿌리면 한결 깔끔하고 먹음직스럽다.
2. 두 번째 나물 : 도라지나물
① 도라지는 소금으로 주물러 씻어 헹군 후 찬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다.
② 도라지는 길이 6cm, 폭 0.3cm 되게
키워드
추천자료
세대별 레크레이션 문화
지역별 고유떡문화
짚으로 만든 인형 제웅에 대해서...
[관례][혼례][호주의 혼례 사례][상례][현대식 상례][제례][관혼상제의 문제점][인사예절]관...
야류 연구 - 수영들놀음을 중심으로
북청사자놀음과 북한연희문화
[세시풍속][세시풍속의 의의][세시풍속의 분류][절기][띠][12간지][술][음주]세시풍속의 의의...
살아 있는 우리의 전통 문화 강릉 단오제
놀이문화(놀이)와 지역별놀이, 놀이문화(놀이)와 본산대놀이, 놀이문화(놀이)와 수수께끼놀이...
[글로벌 마케팅 전략] 약과를 세계로 We enjoy together Honey Pie & Tart.pptx
중국의 춘제/춘절(春節 : 春节 / chūn jié) 및 폭죽.ppt
한국의 축제와 일본의 마츠리 repo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