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흉곽 및 폐 검사 방법
● 흉부후면 검사
1.시진
2.촉진
3.타진
4.청진
● 흉부 전면검사
1.시진
2.촉진
3.타진
4.청진
● 폐기능의 임상적 평가
● 흉곽의 기형
● 호흡음 및 음성의 변화
● 흉곽검사에서의 우발적인 소리
* 참고문헌
● 흉부후면 검사
1.시진
2.촉진
3.타진
4.청진
● 흉부 전면검사
1.시진
2.촉진
3.타진
4.청진
● 폐기능의 임상적 평가
● 흉곽의 기형
● 호흡음 및 음성의 변화
● 흉곽검사에서의 우발적인 소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l breath sounds)
호기음이 폐포성 호흡음보다 고음이며 더 시끄러움. 호기음이 흡기음과 동일하거나 더 오래 지속함. 음은 기관과 큰 기관지 부위에서는 정상적으로 들리나 폐의 말초 쪽에서는 들리지 않음.
폐경화 때 들리는 성음(egophony)
음성의 여과에 변화하여 음성이 비음으로 되며 “ee”발음이 “ey”처럼 들리게 됨.
기관지성(bronchophony)
고음부가 공기가 없는 폐 조직을 통해 더 잘 전이되므로 음성이 보통 보다 크고 맑게 들림.
섭음 흉성(whispered pectorilopuy)
속삭이는 소리가 정상소리보다 훨씬 크고 더 선명하게 들리는데 이는 공기가 없는 폐 조직을 통한 전이가 증가하기 때문.
● 흉곽검사에서의 우발적인 소리
악설음 : 악설음으로 불리는 분명하고 불연속적인 음은 머리카락 한웅 큼을 손가락 사이에
넣고 귀에 대고 흔들 때 나는 소리와 같음. 비교적 흡기 후반에 들리며, 이는 전에
공기가 빠진 기도가 흡기 시 다시 부풀며 이미 분리되어있던 공기 저장 부 간의 압
력이 갑자기 같아질 때 생김. 흡기, 호기 때 들리는 큰 거품소리는 기관과 큰 기관
지의분비물 때문임. 그런 소리는 폐부종이나 죽어가거나 분비물을 기침해 낼 수 없
는 환자에게서 들을 수 있음.
천명 : 천명은 폐쇄되어 좁아진 기관지로 공기가 빠르게 지나갈 때 나는 소리. 전형적인 호
기성이나 흡기, 호기 모두에서 발생할 수도 있음.
늑막마찰음 : 정상늑막표면은 호흡 중 부드럽게 움직이며 소리가 나지 않음. 늑막표면에 염
증이 생기면 늑막은 증가된 마찰로 인해 순간적이며 반복하여 갑자기 움직이
게 됨. 진동과 수반하여 이러한 운동은 늑막 마찰음이라 불리는 악설음을 내
게 됨. 보통 흡기, 호기 때 동시에 나타나나 가끔 흡기 때만 나타나기도 함.
늑막마찰음은 비록 발병기전은 다르지만 청각상 악설음과 유사함. 특히 흡기
때 만 나타나는 마찰음은 그러므로 폐 악설음 과의 구분이 어려움.
*호흡수와 호흡리듬의 이상
호흡유형을 관찰할 때는 환자의 호흡수, 깊이, 규칙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리고 관찰한 것을 아래와 같은 용어로 기술해야한다.
정상(normal)
성인에서의 호흡속도는 분당 15~22번이며 소아에서는 44번까지 된다.
급속호흡
(tachycardia)
급속호흡의 원인은 제한성 폐 질환, 늑막염성 흉통, 횡격막의 상승 등이다.
과호흡 또는 과도환기
(hyperpnea, hperventilation)
과호흡의 원인은 많은데, 운동, 불안, 대사성 산증이 해당된다. 혼수상태의 환자일 경우, 중뇌나 뇌교에 영향을 주는 경색, 저산소증, 저혈당증을 염두해 두어라. Kussmaul 호흡은 대사성 산증과 연관된 과호흡이다. 그것은 호흡수가 빠를수도, 정상일 수도, 느릴 수도 있다.
완서호흡
(bradypnea)
완서호흡은 당뇨성혼수, 약물로 인한 호흡억제, 뇌압증가 등에 수반하녀 2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체인 스트로우크스
(cheyne-strokes)호흡
과호흡과 무호흡이 교차한다. 어린이나 나이든 사람은 잠잘 때 정상적으로 이런 유헝을 보이기도 한다. 다른 원인은 심부전, 요독증, 약물로 인한 호흡억제, 그리고 뇌손상(대뇌반구 양측이나 간뇌의)등이다.
실조성 호흡
(ataxic
breathing)
(Biot씨 호흡)
실조성 호흡의 특징은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성에 있다. 호흡은 얕거나 깊고 짧은 기간동안 멈춘다. 원인은 호흡억제와 연수부위의 뇌손상이다.
한숨호흡
(sighing
respiration)
호흡은 자주하는 한숨으로 강조되며 이것은 과도환기 증후군-호흡곤란과 졸리움의 원인-에서도 나타난다. 때로 하품이 정상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폐쇄호흡
(obstructive
breathing
폐쇄호흡시 기도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호기가 증가한다. 만일 환자이ㅡ 호흡속도가 증가하면 그는 완전한 호기를 할 충분한 시간이 부족되었다. 그의 가슴은 과도하게 확장되었으며 호흡은 보다 더 얕아진다.
▼ 기관지와 폐의 몇가지 이상에 있어서의 신체적 징후
조건
특징
타진소견
촉각성 진탕음소리, 속삭이는 성음
호흡음
첨가음
정상
기관 기관지분지와 폐포는 깨끗하고 늑막은 얇고, 서로 밀착해 있으며 흉곽의 운동성은 손상되지 않았음.
공명
정상
큰 기관 가까이의 기관지 수포소리를 제외하고는 수포음이 들림
없음
좌측심부전증
좌측심부전증에서의 징후는 작은 기도에서의 액체와 때로는 기관지 점막에서의 액체이다.
공명
정상
정상혹은 때로 연장된 호기
폐기저부에서의 수포음;
호기음이 폐포성 호흡음보다 고음이며 더 시끄러움. 호기음이 흡기음과 동일하거나 더 오래 지속함. 음은 기관과 큰 기관지 부위에서는 정상적으로 들리나 폐의 말초 쪽에서는 들리지 않음.
폐경화 때 들리는 성음(egophony)
음성의 여과에 변화하여 음성이 비음으로 되며 “ee”발음이 “ey”처럼 들리게 됨.
기관지성(bronchophony)
고음부가 공기가 없는 폐 조직을 통해 더 잘 전이되므로 음성이 보통 보다 크고 맑게 들림.
섭음 흉성(whispered pectorilopuy)
속삭이는 소리가 정상소리보다 훨씬 크고 더 선명하게 들리는데 이는 공기가 없는 폐 조직을 통한 전이가 증가하기 때문.
● 흉곽검사에서의 우발적인 소리
악설음 : 악설음으로 불리는 분명하고 불연속적인 음은 머리카락 한웅 큼을 손가락 사이에
넣고 귀에 대고 흔들 때 나는 소리와 같음. 비교적 흡기 후반에 들리며, 이는 전에
공기가 빠진 기도가 흡기 시 다시 부풀며 이미 분리되어있던 공기 저장 부 간의 압
력이 갑자기 같아질 때 생김. 흡기, 호기 때 들리는 큰 거품소리는 기관과 큰 기관
지의분비물 때문임. 그런 소리는 폐부종이나 죽어가거나 분비물을 기침해 낼 수 없
는 환자에게서 들을 수 있음.
천명 : 천명은 폐쇄되어 좁아진 기관지로 공기가 빠르게 지나갈 때 나는 소리. 전형적인 호
기성이나 흡기, 호기 모두에서 발생할 수도 있음.
늑막마찰음 : 정상늑막표면은 호흡 중 부드럽게 움직이며 소리가 나지 않음. 늑막표면에 염
증이 생기면 늑막은 증가된 마찰로 인해 순간적이며 반복하여 갑자기 움직이
게 됨. 진동과 수반하여 이러한 운동은 늑막 마찰음이라 불리는 악설음을 내
게 됨. 보통 흡기, 호기 때 동시에 나타나나 가끔 흡기 때만 나타나기도 함.
늑막마찰음은 비록 발병기전은 다르지만 청각상 악설음과 유사함. 특히 흡기
때 만 나타나는 마찰음은 그러므로 폐 악설음 과의 구분이 어려움.
*호흡수와 호흡리듬의 이상
호흡유형을 관찰할 때는 환자의 호흡수, 깊이, 규칙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리고 관찰한 것을 아래와 같은 용어로 기술해야한다.
정상(normal)
성인에서의 호흡속도는 분당 15~22번이며 소아에서는 44번까지 된다.
급속호흡
(tachycardia)
급속호흡의 원인은 제한성 폐 질환, 늑막염성 흉통, 횡격막의 상승 등이다.
과호흡 또는 과도환기
(hyperpnea, hperventilation)
과호흡의 원인은 많은데, 운동, 불안, 대사성 산증이 해당된다. 혼수상태의 환자일 경우, 중뇌나 뇌교에 영향을 주는 경색, 저산소증, 저혈당증을 염두해 두어라. Kussmaul 호흡은 대사성 산증과 연관된 과호흡이다. 그것은 호흡수가 빠를수도, 정상일 수도, 느릴 수도 있다.
완서호흡
(bradypnea)
완서호흡은 당뇨성혼수, 약물로 인한 호흡억제, 뇌압증가 등에 수반하녀 2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체인 스트로우크스
(cheyne-strokes)호흡
과호흡과 무호흡이 교차한다. 어린이나 나이든 사람은 잠잘 때 정상적으로 이런 유헝을 보이기도 한다. 다른 원인은 심부전, 요독증, 약물로 인한 호흡억제, 그리고 뇌손상(대뇌반구 양측이나 간뇌의)등이다.
실조성 호흡
(ataxic
breathing)
(Biot씨 호흡)
실조성 호흡의 특징은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성에 있다. 호흡은 얕거나 깊고 짧은 기간동안 멈춘다. 원인은 호흡억제와 연수부위의 뇌손상이다.
한숨호흡
(sighing
respiration)
호흡은 자주하는 한숨으로 강조되며 이것은 과도환기 증후군-호흡곤란과 졸리움의 원인-에서도 나타난다. 때로 하품이 정상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폐쇄호흡
(obstructive
breathing
폐쇄호흡시 기도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호기가 증가한다. 만일 환자이ㅡ 호흡속도가 증가하면 그는 완전한 호기를 할 충분한 시간이 부족되었다. 그의 가슴은 과도하게 확장되었으며 호흡은 보다 더 얕아진다.
▼ 기관지와 폐의 몇가지 이상에 있어서의 신체적 징후
조건
특징
타진소견
촉각성 진탕음소리, 속삭이는 성음
호흡음
첨가음
정상
기관 기관지분지와 폐포는 깨끗하고 늑막은 얇고, 서로 밀착해 있으며 흉곽의 운동성은 손상되지 않았음.
공명
정상
큰 기관 가까이의 기관지 수포소리를 제외하고는 수포음이 들림
없음
좌측심부전증
좌측심부전증에서의 징후는 작은 기도에서의 액체와 때로는 기관지 점막에서의 액체이다.
공명
정상
정상혹은 때로 연장된 호기
폐기저부에서의 수포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