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중국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중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 문명의 기원(신석기 시대에서 서주(西周)왕조까지 : ~기원전771)

2. 철학적 기초 (동주시기 : BC770 ~ BC256)

3. 관료제국의 건설 ( 진 왕조와 한 왕조 : BC256 ~ AD220)

4. 불교, 귀족제, 이민족 군주들 (분열의 시대 : 220~ 589)

5. 세계적인 제국 (당왕조, 581~907)

6. 남부로의 이동 (송(宋)왕조, 907~1276)

7. 이민족의 통치 (요, 금, 원 왕조 : 907~1368)

8. 전제 정치의 한계 (명왕조 1368~1644)

9. 만주와 제국주의 (청왕조1644~1900)

10. 행동개시 (20세기 초반 : 1900~1949)

11. 근본적인 재통일

본문내용

경 대부 사 등의 관리, 시종들 그리고 보통 농민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신분질서로 구성되었다. 중국의 시가 처음 나온 것은 주나라 초기였다. <시경>에는 305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통치자들의 위업을 기리는 노래, 밭을 개간하고 경작하는 일반 사람들을 묘사한 내용까지 다양하다.
2. 철학적 기초 (동주시기 : BC770 ~ BC256)
동주시대의 전반기는 보통 춘추시대라 하고, 동주시대 후기를 보통 전국시대라고 부른다. 지방 세력들 간의 냉혹한 경쟁 상황은 정치적 분열과 도덕적 위기의 시기였지만, 이러한 경쟁이야 말로 사회, 기술, 경제적 발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했다.
*여러 경쟁국 : 충성과 혈연으로 맺어진 끈이 멀어지면서 서주시대의 지방분권제도의 한계가 나타났다. BC771년 융의 부족민과 주의 제후들이 주나라 왕을 살해하여 주는 오늘날의 뤄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중국은 이때부터 오랜기간동안 강력한 중앙통치세력이 없는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BC335년에 이르면 제후들은 스스로를 왕으로 칭하며 사실상 주왕의 통치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주왕은 결국 BC256년에 왕좌에서 쫓겨난다. 춘추시대에 제후는 때로 동맹을 하여 동맹의 우두머리인 패자(覇者) 또는 맹주로 군림하기도 하였다. 계속되는 전쟁으로 병법과 기술의 발전이 촉진되었고, 이전의 전차보다는 기병대와 보병대가 전투에 도입되었고 석궁을 이용하였다.
군주들은 인구와 조세를 늘릴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배습지에 관개시설을 갖추고, 화폐를 주조하였고, 철의 기술이 도입되어 농기구와 무기에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인구와 영토에 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지방관을 직접 파견하는 새로운 통치기술을 시도하였다.
BC300년에는 진(晋), 제(齊), 초(楚), 진(秦) 등 7개의 대국만이 살아남게 되었고, 부국강병의 길을 모색하던 지배자들은 사상가들을 모았다. 이러한 사상가들을 통해 웅변기술, 전술, 논리학의 진보가 이루어졌는데 이 시기를 ‘제자백가’라 부른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 : 공자(BC551 ~ BC479)는 노나라에서 태어났고 중국 최초의 도덕철학가이다. 공자가 지향하는 이상사회는 관습이 행동을 지배하고 위계질서의 차별속에서 조화로운 협력이 이루어지는 세계이다. 공자는 효를 중시 여겼으며, 공자가 최고의 가치를 둔 덕목은 ‘인‘으로, 이는 어짐 자비 인간애 고결함 상호간의 사랑 등으로 해석된다.
맹자(BC370 ~ BC300)는 공자의 제자로 이웃나라들을 돌아다니며 통치자들에게 조언을 하였다. 맹자는 백성들에 관한 통치자의 책임을 일깨워 주었고, 지배자가 관리들을 존중해야 하나고 언급했다. 그리고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순자(BC310 ~ BC220)는 여러 사상들의 철학적 토대를 넓힌 사상가로서, 인본주의적이고 합리적인 우주관을 제시하였다. ‘예’를 행하는 속에서 아름다움과 사회적인 미덕이 생겨난다고 보았으며, 사람의 본성은 악하므로 교육을 통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가 : 도가 사상가들은 인위적 삶에서 벗어난 초현실적인 삶에 마음을 두었다. 모든 만물은 상호의존적이고 상호변형적이며, 모든 인간은 무위자연 상태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가의 사상은 <노자>, <장자>에 의해 전해진다.
*법가 : 법가 사상가들은 강력한 정부란 효과적인 제도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하여 ‘법’을 강조하였다. 한비자는 백성들은 무지하므로 통치자가 법을 이용하여 상과 벌로 백성을 다스려 나라를 부강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통치자에게는 어떠한 한계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 밖의 학자들 : 궤변가, 이상주의자, 은둔자, 농학자, 우주론자, 음양이론가 등이 있었다. 또한 관습과 제도의 효용성의 척도를 백성으로 삼는 ‘묵자’도 있었다.
*여러국가와 인종적 정체성 : 주 후기에 여러국가로 분할되면서 누가 ‘우리’로 분류될 수 있는지, 즉 문화적 인종적 정체성에 대한 생각들이 발전하였다. 주요 대국들은 각기 역사와 고유한 문화 특징에 따라 개별적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또한 주의 세력권에서 전적으로 벗어나 있던, 국가들이 존재하였는데 이들을 야만적으로 구분하였다. 주 후기에 중국 세계가 확장되면서 야만족으로 불리던 종족들이 중국세게의 구성원에 편입되었다.
3. 관료제국의 건설 ( 진 왕조와 한 왕조 : BC256 ~ AD220)
진(秦, BC221 ~ BC206)이 경쟁 제후국을 물리치고 승리를 거둠에 따라, 중앙집권적 관료적인 군주제가 창출되었고, 한(漢, BC202 ~ AD220)시기에 자리를 확고하게 잡았다. 통치지역이 남쪽 베트남까지 확장되었고, 다른 사상보다도 유교가 강조되었으며 한정부는 지방관리와 지방지식인들의 협력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진의 통일 : 중국을 통일한 ‘시황제‘는 통일된 국가를 동질화하기 위해 지방의 문자, 화폐, 도량형의 사용을 금지하였고, 새로 나눈 36개 군에 관리를 파견하였고, 많은 형벌로 백성들을 통제하였다. 또한 궁전과, 북쪽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한 성벽을 건설하기 위해 많은 백성을 징발하였다.
*한정부 : 시황제가 죽자 제도가 와해되고, 많은 반란이 일어났다. 유방(고조, 재위BC202 ~BC195)은 항우를 물리치고 장안에 도읍을 정하고 한을 건국하였다. 한은 지방에 관리를 파견하는 진의 제도를 유지하였고, 무제(재위BC141 ~ BC87)때 정부기구를 강화하여 제후들의 권력을 억제하였다. 또한 무제는 관리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유교교육을 장려하였다.
AD9년 왕망이 왕위에 오르고 편정책으로 인하여 경제적 혼란이 야기되었고, 당시 황허의 경로 이동으로 많은 백성들이 고통을 받았다. 왕망에 이은 유수(재위AD25 ~ 27)는 도읍지를 뤄양으로 옮겼다. 일반적으로 왕망이전의 시대를 ‘전한‘ ’서한’(BC206 ~ AD9)라 하고, 이후를 ‘후한‘, ‘동한’(AD25 ~ AD220)이라 부른다.
*초원지역과 비단길 : 한 대 훨씬 이전부터 중국 외부 세계와의 접촉은 교역과 군사적 충돌을 통해 이루어 졌고, 흔히 침략이 교역의 대안이 되었다. BC3세기 후반 내륙아시아의 흉노족에 유목부족들간의 연합이 형성되었는데, 한은 무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4.16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