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정보
-일반적정보,입원정보,간호력,출산력 및 월경력,건강상태
3. 자궁근종 마취/수술
-마취,수술,Operate Record
4. 임상검사
5. 수술전후간호
6. 약물
7. 간호진단
1과거력으로 인한 수술후 위험성
2수술로 인한 무기폐 위험성
3유치도뇨관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4통증과 관련된 운동부족
2. 간호정보
-일반적정보,입원정보,간호력,출산력 및 월경력,건강상태
3. 자궁근종 마취/수술
-마취,수술,Operate Record
4. 임상검사
5. 수술전후간호
6. 약물
7. 간호진단
1과거력으로 인한 수술후 위험성
2수술로 인한 무기폐 위험성
3유치도뇨관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4통증과 관련된 운동부족
본문내용
혈
MCV
평균혈구용적.
단일적혈구의 평균용적,
빈혈분류 유용한 정보
79-95
76.5
감소
철분결핍성, 지중해성 빈혈
MCH
평균 혈구내 혈색소양
적혈구내 헤모글로빈 수치
26-32
23.0
감소
소형적혈구
MCHC
적혈구 항수중 가장 신빙성
적혈구내 헤모글로빈의 농축도
32-36
30.1
감소
철분결핍성, 지중해성 빈혈
RDW
RBC의 size에 따른 분포
11.5-14.5
17.2
증가
용혈성 빈혈
빈혈 처치
1/30 pm 1:30 Packed Red Cell (400cc) 1Pint 수혈시작
pm 3:55 부작용없이 PRC 1Pint 끝남. 15분관찰
pm 4:10 2번째 PRC (400cc) 연결
pm 5:30 부작용없이 2번째 끝남. N/S hydration
EKG 007/1/29
H R
54bpm
R-R
1.101sec
P-R
0.101sec
QRS
0.089
QT
0.461
QTc
0.439
AXIS
71des
RV5
1.14mV
SV1
1.15mV
R+S
2.30mV
beat
7
CUR 54
MV Q ST1 T
III -0.07 -0.02 -0.03
aVF -0.10 -0.01 0.17
결과
Abnormal. sinus bradycardie
약물
1/30
■ PreMedication
약물
효능
용법,효능
ATROPINE
기관지분비물억제 및 서맥
0.5mg IM
DORMICUM
수술전 진정
0.5mg IM
■ Pre-Operation
약물
효능
용법,효능
HARTMAN S SOLN
수분, 전해질 공급
1.00 VF
PENIRAMIN
항알러지, 분비선 분비 억제
1.00 IM
LAsix
수분 및 전해질분비촉진
1.00 IS
VALIUM TAB
불안, 수술전 진정
1.00 HS
FONTIAM
자궁 감염 예방 및 치료
2.00 VT
1/31
(Operation)
■ Post-Operation
약물
효능
용법,효능
HARTMAN S DEX SOLN
수분, 전해질 공급
1.00 IV
5% DEXTROSE
포도당,수분보충
1.00 VF
5% DEXTROSE & SOD.
포도당,수분,Na보충
1.00 IV
FONTIAM
자궁 감염 예방,치료
2.00 VT
우선순위
간호진단
1
과거력으로 인한 수술후 위험성
2
수술로 인한 무기폐 위험성
3
유치도뇨관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4
통증과 관련된 운동부족
# 1 2007/ 01/ 31
진단
과거력으로 인한 수술후 위험성
자료
주관적
객관적
- 수술전 대상자의 혈압이 140/80이다
- 간호력에 고혈압 과거력이 있다.
- EKG 검사결과 서맥이 있다.
목표
- 고혈합, 서맥으로 인한 수술후 부작용 및 합병증이 없다.
계획 및 수행
- 수술 후 15분 간격으로 4번, 그후 30분 간격으로 2번, 1시간 간격으로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V/S check 한다.
- 대상자 주위에서 어지러움이나 두통 등 이상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 필요시 의사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한다.
이론적 근거
- V/S은 맥박과 혈압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 심한 서맥은 어지러움, 실신 등 유발하고, 심한 고혈압은 어지러움,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림 등을 유발한다.
평가
- 대상자는 두통이나 어지러움을 호소하지는 않으나, V/S check시 혈압 및 맥박 수치가 am10:20 P-54, BP-150/90, am10:35 P-52, BP-150/90, am10:50 P-52, BP-140/80, am11:05 P-52, BP-140/90로 수치가 정상범위에서 벗어나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2 2007/ 01/ 31
진단
수술로 인한 무기폐 위험성
자료
주관적
- 배가 아파서 기침하기 싫어요
객관적
- TAH수술을 했다
- 전신마취를 했다.
목표
- 대상자는 심호흡과 기침으로 무기폐가 발생하지 않는다.
계획 및 수행
- 무기폐 위험성을 설명한다.
-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을 직접 시범보이고, 따라하도록 지도한다.
- 통증이 있을시 PDA로 조절하고, 심호흡 및 기침을 1시간에 15번씩 반복적으로 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 심호흡과 기침으로 분비물을 배출시키고 폐를 완전히 확장시키면 무기폐를
예방하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돕는다.
평가
- 대상자는 통증을 PDA로 조절하면서 1시간에 15번씩 반복적으로 심호흡을 했으며, 기침을 통해 분비물을 배출하였다.
# 3 2007/ 2/ 01
진단
유치도뇨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자료
주관적
객관적
- 유치도뇨관의 소변병이 가득 찼다
- 유치도뇨관이 엉켜 있는 상태이다
목표
- 대상자는 감염증상과 증후가 없다.
계획 및 수행
- 도뇨관 교환시 무균법을 지킨다.
-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한다
- 비뇨기계 감염증상 및 소변 색과 양상을 사정한다
- 대상자에게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예방하는 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 침습적인 모든 행위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무균법을 지켜야
한다.
- v/s check는 감염시 체온이 증가하고 맥박이 증가한다
- 감염 시 소변이 탁하고 악취가 나거나 피나 침전물이 섞여있다.
- 소변병이 가득차거나, 관이 엉킨 경우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평가
- 현재 대상자는 vital sign의 결과와 소변의 색과 양상으로 보아 감염증상이 없으며, 대상자는 소변병이 반정도 찼을때 소변량을 check하고 버리는 등 감염을 예방하는 법을 잘 실천하고 있다.
# 4 2007/ 02/ 01
진단
통증과 관련된 운동부족
자료
주관적
- 배가 아파서 걷질 못하겠어요
객관적
- 하루종일 침대에 누워있다.
목표
- 대상자는 하루에 3번 15분씩 걷는다.
계획 및 수행
- 조기이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 효과적인 운동 방법을 설명한다.
- 운동시 통증이 있으면 PDA로 조절하고, 천천히 걷도록 격려한다
- 하루에 3번 15분씩 걷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 조기이상은 위장관 및 신체 기능의 빠른 회복을 돕는다.
- PDA는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진통제이다.
평가
- 현재 대상자는 여전히 거동이 불편하다고 호소하지만, 통증이 있을시 PDA로 조절하면서 오후에 15분정도 복도를 천천히 거동하였다.
MCV
평균혈구용적.
단일적혈구의 평균용적,
빈혈분류 유용한 정보
79-95
76.5
감소
철분결핍성, 지중해성 빈혈
MCH
평균 혈구내 혈색소양
적혈구내 헤모글로빈 수치
26-32
23.0
감소
소형적혈구
MCHC
적혈구 항수중 가장 신빙성
적혈구내 헤모글로빈의 농축도
32-36
30.1
감소
철분결핍성, 지중해성 빈혈
RDW
RBC의 size에 따른 분포
11.5-14.5
17.2
증가
용혈성 빈혈
빈혈 처치
1/30 pm 1:30 Packed Red Cell (400cc) 1Pint 수혈시작
pm 3:55 부작용없이 PRC 1Pint 끝남. 15분관찰
pm 4:10 2번째 PRC (400cc) 연결
pm 5:30 부작용없이 2번째 끝남. N/S hydration
EKG 007/1/29
H R
54bpm
R-R
1.101sec
P-R
0.101sec
QRS
0.089
QT
0.461
QTc
0.439
AXIS
71des
RV5
1.14mV
SV1
1.15mV
R+S
2.30mV
beat
7
CUR 54
MV Q ST1 T
III -0.07 -0.02 -0.03
aVF -0.10 -0.01 0.17
결과
Abnormal. sinus bradycardie
약물
1/30
■ PreMedication
약물
효능
용법,효능
ATROPINE
기관지분비물억제 및 서맥
0.5mg IM
DORMICUM
수술전 진정
0.5mg IM
■ Pre-Operation
약물
효능
용법,효능
HARTMAN S SOLN
수분, 전해질 공급
1.00 VF
PENIRAMIN
항알러지, 분비선 분비 억제
1.00 IM
LAsix
수분 및 전해질분비촉진
1.00 IS
VALIUM TAB
불안, 수술전 진정
1.00 HS
FONTIAM
자궁 감염 예방 및 치료
2.00 VT
1/31
(Operation)
■ Post-Operation
약물
효능
용법,효능
HARTMAN S DEX SOLN
수분, 전해질 공급
1.00 IV
5% DEXTROSE
포도당,수분보충
1.00 VF
5% DEXTROSE & SOD.
포도당,수분,Na보충
1.00 IV
FONTIAM
자궁 감염 예방,치료
2.00 VT
우선순위
간호진단
1
과거력으로 인한 수술후 위험성
2
수술로 인한 무기폐 위험성
3
유치도뇨관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4
통증과 관련된 운동부족
# 1 2007/ 01/ 31
진단
과거력으로 인한 수술후 위험성
자료
주관적
객관적
- 수술전 대상자의 혈압이 140/80이다
- 간호력에 고혈압 과거력이 있다.
- EKG 검사결과 서맥이 있다.
목표
- 고혈합, 서맥으로 인한 수술후 부작용 및 합병증이 없다.
계획 및 수행
- 수술 후 15분 간격으로 4번, 그후 30분 간격으로 2번, 1시간 간격으로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V/S check 한다.
- 대상자 주위에서 어지러움이나 두통 등 이상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 필요시 의사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한다.
이론적 근거
- V/S은 맥박과 혈압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 심한 서맥은 어지러움, 실신 등 유발하고, 심한 고혈압은 어지러움,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림 등을 유발한다.
평가
- 대상자는 두통이나 어지러움을 호소하지는 않으나, V/S check시 혈압 및 맥박 수치가 am10:20 P-54, BP-150/90, am10:35 P-52, BP-150/90, am10:50 P-52, BP-140/80, am11:05 P-52, BP-140/90로 수치가 정상범위에서 벗어나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2 2007/ 01/ 31
진단
수술로 인한 무기폐 위험성
자료
주관적
- 배가 아파서 기침하기 싫어요
객관적
- TAH수술을 했다
- 전신마취를 했다.
목표
- 대상자는 심호흡과 기침으로 무기폐가 발생하지 않는다.
계획 및 수행
- 무기폐 위험성을 설명한다.
-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을 직접 시범보이고, 따라하도록 지도한다.
- 통증이 있을시 PDA로 조절하고, 심호흡 및 기침을 1시간에 15번씩 반복적으로 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 심호흡과 기침으로 분비물을 배출시키고 폐를 완전히 확장시키면 무기폐를
예방하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돕는다.
평가
- 대상자는 통증을 PDA로 조절하면서 1시간에 15번씩 반복적으로 심호흡을 했으며, 기침을 통해 분비물을 배출하였다.
# 3 2007/ 2/ 01
진단
유치도뇨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자료
주관적
객관적
- 유치도뇨관의 소변병이 가득 찼다
- 유치도뇨관이 엉켜 있는 상태이다
목표
- 대상자는 감염증상과 증후가 없다.
계획 및 수행
- 도뇨관 교환시 무균법을 지킨다.
-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한다
- 비뇨기계 감염증상 및 소변 색과 양상을 사정한다
- 대상자에게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예방하는 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 침습적인 모든 행위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무균법을 지켜야
한다.
- v/s check는 감염시 체온이 증가하고 맥박이 증가한다
- 감염 시 소변이 탁하고 악취가 나거나 피나 침전물이 섞여있다.
- 소변병이 가득차거나, 관이 엉킨 경우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평가
- 현재 대상자는 vital sign의 결과와 소변의 색과 양상으로 보아 감염증상이 없으며, 대상자는 소변병이 반정도 찼을때 소변량을 check하고 버리는 등 감염을 예방하는 법을 잘 실천하고 있다.
# 4 2007/ 02/ 01
진단
통증과 관련된 운동부족
자료
주관적
- 배가 아파서 걷질 못하겠어요
객관적
- 하루종일 침대에 누워있다.
목표
- 대상자는 하루에 3번 15분씩 걷는다.
계획 및 수행
- 조기이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 효과적인 운동 방법을 설명한다.
- 운동시 통증이 있으면 PDA로 조절하고, 천천히 걷도록 격려한다
- 하루에 3번 15분씩 걷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 조기이상은 위장관 및 신체 기능의 빠른 회복을 돕는다.
- PDA는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진통제이다.
평가
- 현재 대상자는 여전히 거동이 불편하다고 호소하지만, 통증이 있을시 PDA로 조절하면서 오후에 15분정도 복도를 천천히 거동하였다.
추천자료
PIH - 분만실 케이스 스터디
[논문] 케이스 스터디
난소낭종케이스
모성간호학케이스
[사회복지] 분만실 케이스
분만실케이스스터디
산부인과 OBGY - Ovarian cyst(난소낭종) 케이스
NSVD 자연분만 분만실 case 케이스
모성케이스스터디- 정상자연분만(NSVD)
[성인간호 케이스] 동맥류 케이스 aneurysm case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케이스/여성간호 케이스/태반조기박리/abruptio placenta/OBGY/산부인과 실습/간호학...
APN(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급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