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로슬래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로슬래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 복 합 재 료
1. 복합재료란 무엇인가
2. 복합재료의 역사
3. 복합재료의 분류

본 론
◉ 고로 슬래그
1. 고로슬래그란
1-1. 고로슬래그 제조과정
2. 고로슬래그 시멘트란
2-1.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장점
2-2. 고로슬래그시멘트의 특성및 용도

총 론
◉ 건축용 복합재료인 고로슬래그를 마치며......

본문내용

)에 따라
고분자 복합재료(polymer matrix composite)
금속 복합재료(metal matrix composite)
세라믹 복합재료(ceramic composite)
섬유강화 고분자복합재료(fibir reinforced plastics F.R.P)
본 론
고로슬래그
1. 고로슬래그란
고로에서 철광석과 코크스 석회석을 함께 넣고 가열하면 1500도의 고온에서 철광석이 철과 광물질로 분리 되면서 철광석 중의 광물질 코크스의 연소재 석회석이 용융하여 선철을 제조할 때 나온 부산물이다. 가열할 때 용융슬러그가 발생하게 된다.
용융슬러그는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쇳물과 분리하게되는데 냉각법에 따라 괴재슬래그와 수재슬러그로 구별된다.
괴재슬러는 용융슬래그가 자연냉공과 살수에 의해 서서히 냉각되어 결정화 된것이고, 수재슬래그는 용융슬래그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급냉에 의해 모래상태로 유리질(마그마가 지상으로 분출하여 급격히 냉각되고 고결되어 생긴 것)화 시킨것이다. 또한 수재슬래그의 화확성분은 시멘트와 유사한 화확성분을 지니고 있어서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원재료로 쓰인다. 또한 재강슬래그라는 것이 있는데 제강슬래그는 철에서 강을 만들기 위해 쇳물에 녹아있는 탄소 규소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제강슬래그를 분류하면 전로슬래그와 전기로슬래그로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진다.
- 4 -
1-1. 슬래그의 제조과정
슬래그의 제조과정을 보면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고로슬래그 시멘트란
슬래그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반제품인 클링커(성분의 일부가 융해하여 전체가 괴상소결물로된 덩어리.소괴라도도한다)와 고로 슬래그 및 석고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분쇄하고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것이다. 한국 산업규격 KS L5210에서는 고로 슬래그 혼합량을 중량기준 24%~65% 로 규종하고 있으며, 또한 시멘트의 등급을 특급과 1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나누는 기준은 압축강도에 따라 나누어진다.
슬래그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특정용도에 장점을 발휘하기 때문에 시멘트 코크리트의 고유 특성을 살려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한다면 많은 장점을 얻을수 있을것이다.
2-1.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장점
- 5 -
장기강도가 높다
고로슬래그의 잠재수경성에 의한 장기강도가 높다.
수화열이 낮다
수화반응시 수화열 발생이 적으므로 온도에의한 균열이 억제 되므로 대형구조몰에 효과적이다.
우수한내화확성 내열성
고온,염분,산 등과 같은 외부의 화확적 자극요인에 강한 저항성을 갖고 있어 특수목적의 구조물 공사에 적합하다
수밀성이 크다
고로슬래그 치환율이 증대할수록 세공반경이 감소하여 보통 시멘트 보다 수밀성이 증대된다
내해수성이 증대
고로슬래그 치환시 C3A량 감소 및 세공반경 감소에 의한 염화물이온의 투과율 저하로 억제효과가 크다.
에너지졀약 및 환경친화적 시멘트
고로슬래는 소성과정이 없고 클링커 사용량이 적어 제조시 에너지 대폭감소 산업부산물의 재이용 및 제조시 CO2 대폭감소 한다
단위수? 감소 및 슬럼프 로스 감소효과
배합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