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국의 부위별 열관류율과 그 효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 국의 부위별 열관류율과 그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건축물 에너지 절약 기준의 체계

2. 국내 단열 기준의 현황

3. 창호 단열강화에 의한 에너지절약 효과

4. 해외사례

5. 열관류율의 규정과 효과

본문내용

기준은 선진국의 강화된 기준과 비교할 때 현저히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3. 창호 단열강화에 의한 에너지절약 효과
창호는 건축물에서 현재 가장 취약한 열손실 부위로서 단열성능 향상을 통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법규에서 의무화하고 있는 열성능은 3.84W/㎡K이나 저방사(low-e)유리의 적용만으로 2.4W/㎡K(공기층 12mm 기준)까지 열관류율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30평형 공동주택에 적용할 경우 난방에너지의 20%까지 추가 절감이 가능하다.
현행 법에서 요구하는 건축물 창호의 단열성능은 아래와 같다.
그러나 창호의 단열성능은 현재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향후 창호단열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방향 설정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4. 해외사례
주요 선진국의 단열기준에서 창호는 집중 관리되고 있는 부분이며 고단열/고기밀/기능성 창호의 개발은 물론 국가에서 요구하는 단열성능의 수준도 상당히 강화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의 창호 단열수준과 우리나라의 의무 단열 성능의 비교>
5. 열관류율의 규정과 효과
건물은 한번 지으면 몇 십년이상 유지되므로, 에너지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건물을 건설해야 한다. 규정된 기준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그 절약효과는 매년 발생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참고문헌:
건물에너지절약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최종보고서/산업자원부/2000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화 강화방안 연구:2004년 정책연구과제/산업자원부/2004
창호 단열 성능 올해부터 20[%] 강화해야 ㅣ신재생 에너지 사업 적극 지원/전자잡지포탈모아진/2008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