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1. 호흡
2. 맥박
3. 체온
4. 피부
5. 신생아 황달
6. 몽골반[蒙古斑]
7. 마유(魔乳)
8. 배꼽떨어지기
9. 천문(泉門)
10. 생리적 체중감소
11. 배뇨(排尿)
12. 태변(胎便)
13. 반사운동
1) 흡인반사(sucking reflex)
2) 파악반사(grasping reflex)
3) 모로반사(Moro reflex)
4) 바빈스키반사(Babinski reflex)
Ⅲ. 신생아의 고위험 임신 예측
Ⅳ. 신생아의 기형 유형
1.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기형
2. 단일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기형
3.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선천성 기형
Ⅴ. 신생아의 생리적 합병증
1. 과빌리루 빈혈증
1) 생리적 황달
2) 모유 황달
3) 신생아 용혈성 질환
4) 핵황달
2. 신생아 대사장애
1) 저혈당증
2) 저칼슘혈증
3. 신생아 호흡장애
1) 신생아 가사(Asphyxia)
2) 특발성 호흡상태 증후군(IRDS, HMD)
3) 태변흡인 증후군
4) 폐기관지 이형성증(BPD)
5) 일과성 빈호흡(TTL)
4. 신생아 경련
Ⅵ. 신생아의 감염
1. 신생아 뇌 합병증
1) 두개내 출혈
2) 주산기 저 산소성 국소성 빈혈성 뇌손상(PHIBI)
2. 신생아 폐혈증
3. 신생아 뇌막염
4. 제대염
5. 괴사성 장염(NEC)
6. 요로감염
참고문헌
Ⅱ.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1. 호흡
2. 맥박
3. 체온
4. 피부
5. 신생아 황달
6. 몽골반[蒙古斑]
7. 마유(魔乳)
8. 배꼽떨어지기
9. 천문(泉門)
10. 생리적 체중감소
11. 배뇨(排尿)
12. 태변(胎便)
13. 반사운동
1) 흡인반사(sucking reflex)
2) 파악반사(grasping reflex)
3) 모로반사(Moro reflex)
4) 바빈스키반사(Babinski reflex)
Ⅲ. 신생아의 고위험 임신 예측
Ⅳ. 신생아의 기형 유형
1.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기형
2. 단일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기형
3.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선천성 기형
Ⅴ. 신생아의 생리적 합병증
1. 과빌리루 빈혈증
1) 생리적 황달
2) 모유 황달
3) 신생아 용혈성 질환
4) 핵황달
2. 신생아 대사장애
1) 저혈당증
2) 저칼슘혈증
3. 신생아 호흡장애
1) 신생아 가사(Asphyxia)
2) 특발성 호흡상태 증후군(IRDS, HMD)
3) 태변흡인 증후군
4) 폐기관지 이형성증(BPD)
5) 일과성 빈호흡(TTL)
4. 신생아 경련
Ⅵ. 신생아의 감염
1. 신생아 뇌 합병증
1) 두개내 출혈
2) 주산기 저 산소성 국소성 빈혈성 뇌손상(PHIBI)
2. 신생아 폐혈증
3. 신생아 뇌막염
4. 제대염
5. 괴사성 장염(NEC)
6. 요로감염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더 존재할 때 나타난다. 평균 I.Q가 50 정도이고 선천성 심질환, 백혈병 등으로 약 20%정도는 생후 1년 이내에 사망한다. 다운증후군 태아는 초음파상에서 두꺼운 목두께, 낭성낭종, 선천성 심질환, 식도 폐쇄, 십이지장 폐쇄, 비면역성 수종, 신우 확장증, 짧은 팔다리, 합지증 등으로 판명된다.
에드워드 증후군 18번염색체가 하나 더 많은 경우로 생후 1년 이내에 90%의 사망률을 보인다. 초음파상으로는 임신 2기부터 성장 지연이 관찰되고 임신 3기에 양수과다증을 보이며, 선천성 심질환(90%), 횡격막 탈장, 제류, 식도 폐쇄, 내반증, 움켜쥔 손, 장두증 등이 나타난다.
파타우 증후군 13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는 경우로 정신지체 등을 보이며 생후 1개월 이내에 50%가 사망한다. 초음파상으로는 임신 2기에 성장이 지연되기 시작하고, 선천성 심질환, 중추신경계 이상, 합지증, 토순, 구개열, 신우확장증, 제류 등이 관찰된다.
기타 성염색체 이상 질환으로는 성염색체가 하나 부족한 채 45번째 X염색체만 가지는 경우인 터너 증후군, 성염색체가 하나 더 생겨나 47번째 X염색체가 존재하는 클라인펠터 증후군 등이 있다.
2. 단일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기형
단일 유전자 이상은 염색체 이상으로 오는 전체 선천성 기형 중 약 8%정도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선천적으로 효소가 부족해 대사물질이 뇌에 축적되어 정신박약을 일으키는 선천성 대사질환이 있고, 그 외에 성인성 다발성 신장낭종, 난쟁이, 연골발육부전, 선천성 부신피질증식증, 혈우병 및 자폐증 등이 있다. 다인자성 요인에 의한 기형으로는 무뇌아,척추이개증,수두증,무신장기형,요관 협착, 선천성심장 기형, 내반족, 선천성 고관절 탈구, 다지증, 구개열, 구개순, 제류, 제대탈장, 서혜부탈장, 항문기형등이해당된다.
3.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선천성 기형
임신부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기형아를 낳을 수 있다. 임신 초기에 풍진에 걸리면 약 25~50%정도 선천성 기형아를 일으키며 청력장애, 소뇌증, 선천성 백내장 등이 나타난다. 임신중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태아는 선천성 기형, 정신박약아, 청력장애, 간비대를 보일수 있고, 수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에는 정신 박약아,하지 결손아를 출산할 수 있다.
풍진은 풍진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인체에 들어와 걸리며 잠복 기간은 2~3주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온몸에 작은 발진이 나타나거나 온몸의 임파절이 붓는다. 그 외에 주의해야 할 질환으로는 톡소플라스마증, 매독, 에이즈 등이 있다.
Ⅴ. 신생아의 생리적 합병증
1. 과빌리루 빈혈증
1) 생리적 황달
☞ 정상 빌리루빈 수치 : 0.2~1.2mg/100ml
☞ 원인 : 간 기능의 미숙 및 용혈로 인한 빌리루빈 증가
☞ 치료 : 광선요법(1일 5mg/dl 이상 증가시)
2) 모유 황달
☞ 원인
- 초기 : 칼로리 부족(모유 섭취 부족)
- 후기 : 빌리루빈 전환을 억제 시키는 모유자체 요인
☞ 증상
- 모유로 인한 황달은 생후 곧 나타나기 시작해서 4~7일경에 절정에 달한다. 그리고 생후 3~10주일까지 계속 될 수도 있다.
- 피부나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것 이외의 별다른 증상은 없다. 모유를 먹기 때문에 생긴 신생아 황달은 핵황달로 진전되는 경우가 아주 드물다.
☞ 치료 : 1~2일 치료하는 동안 가능한 한 모유를 먹이지 않고 관찰한다. 이 때는 인공영양이나 5% 포도당물, 또는 끓였다 식힌 맹물 등을 먹이든지 포도당물과 전해질용액을 정맥주사로 1~2일간 주다가 간접형 빌리루빈 농도가 안전치로 떨어질 때부터 모유를 다시 먹이기 시작한다.
3) 신생아 용혈성 질환
☞ 원인 : 혈액항원 부적합은 대량의 용혈을 유발한다. 간은 용혈로 인한 과다 빌리루빈을 전환배설 시킬 수 없다
☞ 증상 : 황달이 출생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혈청 간접 빌리루빈 수준이 급격히증가한다. 용혈성 질환을 가진 신생아는 출생시에는 대부분 황달이 없으나, 간, 비종대는 명확하다. 심하면 빈혈, 저혈량성 쇼크가 출생시 나타난다.
☞ 치료
- 산후 : 광선요법, 교환수혈
- 산전 : 태아수혈 Rh-negative 산모에게 Rho-GAM으로 감작 예방
4) 핵황달
☞ 정의 : 혈청빌리루빈이 뇌세포에 침착되어 뇌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2. 신생아 대사장애
1) 저혈당증
☞ 정의 : 혈당농도가 같은 연령이나 체중이 같은 영아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상태이다
☞ 원인
- 조기 전환기 신생아 저혈당증 : 고인슐린에 의하며, 산체의 크기가 정상이거나 큰 영아에게 발생
- 고전적 일과성 신생아 저혈당증 : 글리코겐과 지방저장 고갈로 자궁 내 영양장애 신생아
- 이차적 저혈당증 : 글리코겐 저장에 비해 대사 요구 증가를 가져오는 주산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반복성, 심한 저혈당증 : 효소, 혹은 대사 - 내분비 장애가 원인
☞ 증상
- 애매하고 다른 문제와 구별하기 어려움.
- 뇌신경 징후 : 불안정, 진전, 비틀기, 고음의 울음, 기면, 무력증, 무감각, 경련, 무의식
- 기타 : 청색증, 무호흡, 빠르고 불규칙한 호흡, 발한, 안구회전, 수유거부, 징후는 흔히 일과성이나 반복됨
☞ 치료
- 정맥으로 포도당 투여
- 예방 : 정상 혈당 수준에 있는 영아는 조기 수유
☞ 간호
- 저혈당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한랭스트레스, 호흡곤란)을 감소시킨다.
- 적절한 수유방법을 적용한다.
- 처방된 대로 포도당을 투여한다.
2) 저칼슘혈증
☞ 정의 : 순환 혈액 중의 칼슘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
☞ 원인
- 저체중 신생아
- 어렵게 분만된 신생아
- 심부전증이 있는 신생아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가진 임신부에서 태어난 신생아
- 선천성 부갑선이 없이 태어난 신생아
- 선천성 부갑선 저기능증이 있는 신생아
- 비타민 D부족으로 인한 구루병이 있는 신생아
-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신생아
- 아주 작은 미숙아
- 생후 48시간에 발생, 주산기 저산소증을 경험한 미숙아에 발생
- 우유 - 유발성 저칼슘혈증(신생아 테타니) : 3~$일에 명백( 우유의 인과 칼슘비가 높아 부갑상선 활동 억제, 혈청 칼
에드워드 증후군 18번염색체가 하나 더 많은 경우로 생후 1년 이내에 90%의 사망률을 보인다. 초음파상으로는 임신 2기부터 성장 지연이 관찰되고 임신 3기에 양수과다증을 보이며, 선천성 심질환(90%), 횡격막 탈장, 제류, 식도 폐쇄, 내반증, 움켜쥔 손, 장두증 등이 나타난다.
파타우 증후군 13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는 경우로 정신지체 등을 보이며 생후 1개월 이내에 50%가 사망한다. 초음파상으로는 임신 2기에 성장이 지연되기 시작하고, 선천성 심질환, 중추신경계 이상, 합지증, 토순, 구개열, 신우확장증, 제류 등이 관찰된다.
기타 성염색체 이상 질환으로는 성염색체가 하나 부족한 채 45번째 X염색체만 가지는 경우인 터너 증후군, 성염색체가 하나 더 생겨나 47번째 X염색체가 존재하는 클라인펠터 증후군 등이 있다.
2. 단일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기형
단일 유전자 이상은 염색체 이상으로 오는 전체 선천성 기형 중 약 8%정도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선천적으로 효소가 부족해 대사물질이 뇌에 축적되어 정신박약을 일으키는 선천성 대사질환이 있고, 그 외에 성인성 다발성 신장낭종, 난쟁이, 연골발육부전, 선천성 부신피질증식증, 혈우병 및 자폐증 등이 있다. 다인자성 요인에 의한 기형으로는 무뇌아,척추이개증,수두증,무신장기형,요관 협착, 선천성심장 기형, 내반족, 선천성 고관절 탈구, 다지증, 구개열, 구개순, 제류, 제대탈장, 서혜부탈장, 항문기형등이해당된다.
3.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선천성 기형
임신부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기형아를 낳을 수 있다. 임신 초기에 풍진에 걸리면 약 25~50%정도 선천성 기형아를 일으키며 청력장애, 소뇌증, 선천성 백내장 등이 나타난다. 임신중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태아는 선천성 기형, 정신박약아, 청력장애, 간비대를 보일수 있고, 수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에는 정신 박약아,하지 결손아를 출산할 수 있다.
풍진은 풍진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인체에 들어와 걸리며 잠복 기간은 2~3주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온몸에 작은 발진이 나타나거나 온몸의 임파절이 붓는다. 그 외에 주의해야 할 질환으로는 톡소플라스마증, 매독, 에이즈 등이 있다.
Ⅴ. 신생아의 생리적 합병증
1. 과빌리루 빈혈증
1) 생리적 황달
☞ 정상 빌리루빈 수치 : 0.2~1.2mg/100ml
☞ 원인 : 간 기능의 미숙 및 용혈로 인한 빌리루빈 증가
☞ 치료 : 광선요법(1일 5mg/dl 이상 증가시)
2) 모유 황달
☞ 원인
- 초기 : 칼로리 부족(모유 섭취 부족)
- 후기 : 빌리루빈 전환을 억제 시키는 모유자체 요인
☞ 증상
- 모유로 인한 황달은 생후 곧 나타나기 시작해서 4~7일경에 절정에 달한다. 그리고 생후 3~10주일까지 계속 될 수도 있다.
- 피부나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것 이외의 별다른 증상은 없다. 모유를 먹기 때문에 생긴 신생아 황달은 핵황달로 진전되는 경우가 아주 드물다.
☞ 치료 : 1~2일 치료하는 동안 가능한 한 모유를 먹이지 않고 관찰한다. 이 때는 인공영양이나 5% 포도당물, 또는 끓였다 식힌 맹물 등을 먹이든지 포도당물과 전해질용액을 정맥주사로 1~2일간 주다가 간접형 빌리루빈 농도가 안전치로 떨어질 때부터 모유를 다시 먹이기 시작한다.
3) 신생아 용혈성 질환
☞ 원인 : 혈액항원 부적합은 대량의 용혈을 유발한다. 간은 용혈로 인한 과다 빌리루빈을 전환배설 시킬 수 없다
☞ 증상 : 황달이 출생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혈청 간접 빌리루빈 수준이 급격히증가한다. 용혈성 질환을 가진 신생아는 출생시에는 대부분 황달이 없으나, 간, 비종대는 명확하다. 심하면 빈혈, 저혈량성 쇼크가 출생시 나타난다.
☞ 치료
- 산후 : 광선요법, 교환수혈
- 산전 : 태아수혈 Rh-negative 산모에게 Rho-GAM으로 감작 예방
4) 핵황달
☞ 정의 : 혈청빌리루빈이 뇌세포에 침착되어 뇌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2. 신생아 대사장애
1) 저혈당증
☞ 정의 : 혈당농도가 같은 연령이나 체중이 같은 영아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상태이다
☞ 원인
- 조기 전환기 신생아 저혈당증 : 고인슐린에 의하며, 산체의 크기가 정상이거나 큰 영아에게 발생
- 고전적 일과성 신생아 저혈당증 : 글리코겐과 지방저장 고갈로 자궁 내 영양장애 신생아
- 이차적 저혈당증 : 글리코겐 저장에 비해 대사 요구 증가를 가져오는 주산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반복성, 심한 저혈당증 : 효소, 혹은 대사 - 내분비 장애가 원인
☞ 증상
- 애매하고 다른 문제와 구별하기 어려움.
- 뇌신경 징후 : 불안정, 진전, 비틀기, 고음의 울음, 기면, 무력증, 무감각, 경련, 무의식
- 기타 : 청색증, 무호흡, 빠르고 불규칙한 호흡, 발한, 안구회전, 수유거부, 징후는 흔히 일과성이나 반복됨
☞ 치료
- 정맥으로 포도당 투여
- 예방 : 정상 혈당 수준에 있는 영아는 조기 수유
☞ 간호
- 저혈당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한랭스트레스, 호흡곤란)을 감소시킨다.
- 적절한 수유방법을 적용한다.
- 처방된 대로 포도당을 투여한다.
2) 저칼슘혈증
☞ 정의 : 순환 혈액 중의 칼슘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
☞ 원인
- 저체중 신생아
- 어렵게 분만된 신생아
- 심부전증이 있는 신생아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가진 임신부에서 태어난 신생아
- 선천성 부갑선이 없이 태어난 신생아
- 선천성 부갑선 저기능증이 있는 신생아
- 비타민 D부족으로 인한 구루병이 있는 신생아
-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신생아
- 아주 작은 미숙아
- 생후 48시간에 발생, 주산기 저산소증을 경험한 미숙아에 발생
- 우유 - 유발성 저칼슘혈증(신생아 테타니) : 3~$일에 명백( 우유의 인과 칼슘비가 높아 부갑상선 활동 억제, 혈청 칼
추천자료
광선치료를 받는 고빌리루빈혈증 환아의 간호사례연구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기초대사이상 검사 )
보육학-연령별 발달과 보육
태내기에 대한 분석 및 사례연구
[간호학]아동발달
아동발달 태내기 발달
영유아기의 영역별발달특징과 교사의 역할 그리고 영유아 교육과정
주기별 아동의 행동 특성
[아동발달론] 아동의 특성과 발달과정
호흡곤란증후군(RDS : Respiratory Distress Syndrom) CASE
NICU IUGR Case
NICU, ICU실습: 병리적 및 생리적 황달(Jaundice) 문헌고찰 [A+성적보장!!!!!]
[아동발달] 태내기부터 영아기까지의 뇌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뇌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