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스라엘의 대략적 개관
1) 이스라엘의 역사
2) 지리적 요건
3) 인구
4) 정치
5) 주요경제지표와 경제전략
2. 이스라엘의 경제동향
1) 경제성장률
2) 외국인직접투자(FDI)와 해외직접투자(ODI)
3) 대외거래(무역수지)
4) 물가
5) 고용
6) 환율
7) 금리
8) 주식시장
3. 이스라엘과 국제관계
1) 미국
2) 이집트
3) EU
4) 기타 주변국
5) 한국
4. 결론
1) 평가
2) 주의사항
5. References
1) 이스라엘의 역사
2) 지리적 요건
3) 인구
4) 정치
5) 주요경제지표와 경제전략
2. 이스라엘의 경제동향
1) 경제성장률
2) 외국인직접투자(FDI)와 해외직접투자(ODI)
3) 대외거래(무역수지)
4) 물가
5) 고용
6) 환율
7) 금리
8) 주식시장
3. 이스라엘과 국제관계
1) 미국
2) 이집트
3) EU
4) 기타 주변국
5) 한국
4. 결론
1) 평가
2) 주의사항
5. References
본문내용
하락세 예상
전체적으로 계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최근 모건 스탠리에서 한국과 이스라엘의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지수를 선진국수준으로 올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고 있다. 라고 밝혔을 정도로 이스라엘의 주식시장은 선진국 수준 만큼이나 규모있고 탄탄하게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역시 2008년에 들어서면서 유류등 원자재의 상승으로 인한 효과와 세계경제의 불황시작등으로 인하여 지금과 같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기는 힘들다고 생각한다.
3. 이스라엘과 국제관계
1) 미국
- 이스라엘의 제일의 협력자역활.(이스라엘에게 매년 30억$정도를 지원)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스라엘의 건국과정에서부터 긴밀하게 협력을 주고 받았다. 미국내의 유대인들의 미국에 대한 정제계와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높으며 따라서 이런 막강한 유대인들의 로비단체의 힘으로 미국이 지속적인 이스라엘의 가장 큰 협력자 역할을 하고 있다.
-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을 지지.
이스라엘이 적대적인 이슬람 국가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는 지리적 위치와 미국의 중동지방 영향력을 키운다는 이유로 정치적으로도 이스라엘의 비난받는 행동들을 언급하지 않거나 군사적인 지원을 하는 방법, 이스라엘의 결정에 찬성한다는 뜻등의 발표로 우호적인 태도를 보인다
- 긴밀한 경제적 협력
미국은 처음 1985년 이스라엘과 FTA를 체결하였고 이스라엘과의 무역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오며 경제적으로도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현재 이스라엘의 가장 큰 무역규모의 대상국) 나스닥에 상장된 이스라엘의 벤처기업이 70개(2007년 기준)로 이스라엘의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물론 이스라엘의 기업이 미국의 자본시장에 많이 진출해 있다는 것을 통해서도 이스라엘과 미국과의 경제협력도를 추측할 수 있다.
2) 이집트
- 주변국중 대표적으로 관계회복이 진행된 나라 (평화조약(1979))
97년 평화조약을 통해서 처음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회복시키려 했고 이집트와의 평화조약으로 처음 그 관계를 회복시켰으나 실질적인 관계회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시나이반도반환(1997)
시나이 반도 반환을 통해 실질적인 관계회복의 물고를 틔었다.
- 자유무역협정(2004)
아직 서로의 무역규모는 미미하지만 그 동안 관계가 개선되기가 어려웠던 문제점들을 풀어내면서 무역에 대한 효과이외에 주변국들과 처음으로 실질적인 관계회복을 진행시켰다는 관점에서 정치적 안정으로 이익이 되는 외부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천연가스공급계약(2005)
이스라엘-이집트간의 25억 달러 규모 천연가스 협상이 합의점에 도달해서 계약서 서명 없이 최종계약이 체결된 양해각서 작성으로 진행되었다. Eastern Mediterranean Gas(EMG)의 소유권은 이집트 정부(75%)와 유대인 기업인 요셉 마이맘(25%)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평화조약 이후 최초의 정부간 협력 프로젝트라는 측면에서 외교적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3) EU
- 75년도에 이스라엘과 자유무역협정
이스라엘의 자원부족에 따른 수입필요와 농산품 수출의 필요성으로 일찍부터 EU와 FTA를 맺었다. 현재 나라별로 볼 때는 미국이 가장 큰 이스라엘의 무역대상국이지만 EU전체를 놓고 볼 때는 미국의 3배이상의 무역규모가 유럽과 이루어지고 있다.
- EU의 R&D 프로젝트인 5th Framework Program
\'FP5\'에 비유럽 국가로서 유일하게 참여
4) 기타 주변국
- 이란과의 불편한 관계지속
예전에 이스라엘 공격준비설이 나올정도로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나쁘며 이스라엘과의 전쟁설이 나올 때 마다 유가에 영향을 미친다.
- 레바논과의 평화협상
06년 6월 이스라엘의 침공으로 전쟁을 치루었으나 06년 8월에 휴전을 하고 현재 6월 18일 레바논에게 평화협상제의하였다.
- 시리아와의 평화협상재개
- 이스라엘-팔레스타인(가자지구) 19일 휴전발효
이스라엘은 17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와 6개월 시한부 휴전에 합의했다. 그러나 진정한 평화를 위한다고는 볼 수 없는데 시한부 휴전에 합의한 17에도 미사일로 이스라엘 군이 장갑차를 공격했기 때문이다.
5) 한국
-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핸드폰 산업등에 우리기업이 진출해 있다.
- 한ㆍ이스라엘 간 공동 기술개발을 돕는 코릴펀드를 운영
- 양국 간 교역규모가 2007년 17억달러로 한국은 자동차와 휴대폰 등 완성품을 수출하고 이스라엘은 소형 카메라 등 부품을 수출하는 \'윈윈\' 관계\"라고 평가했다.
4. 결론
1) 평가
- 세계경제호황의 기회를 잘 활용
2004년 이전에 주변국들과의 좋지 않은 관계로 인한 악영향과 침체된 세계경제로 인해 이스라엘 경제가 매우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4년을 기점으로 주변국들과의 관계회복노력과 세계경제호황의 기회를 잘 활용하였다.
- 적극적인 자유뮤역정책의 성공
FTA에 일찍부터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무역의 확대는 물론 투자의 유치등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데에 확실히 성공하였음을 주요경제 지표들을 보면 나타나있고 현재는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세계경제의 통일화 과정에서 유리한 입장을 차지하고 있다.
2) 주의사항
- 세계경제의 흐름을 면밀히 파악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2004년을 기준으로 경제지표들이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2008년부터 세계경제가 불황으로 돌아서고 있는 시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 물가지수의 관리노력필요
2008년 들어서 세계곡물가격인상으로 인한 효과가 소비자 물가지수에 반영되어있는데 과일과 야채에 대한 물가 인상도 물가인상의 원인이므로 과일과 야채에 대한 물가인상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주변국들과의 관계 개선에 노력
이전 세계경제침체기에 주변국들과의 관계악화로 인해 경제에 상당히 좋지 않은 영향을 받아 경제정책의 실패로 이어졌으로 이집트 뿐 아니라 다른 주변국들과의 관계개선에 노 력해야 한다.
5. References
[출처1] 이스라엘 연구 NAVER
[출처2] KOTRA 국가정보
[출처3] 각 경제지표 자료들 - Bank of Israel(www.bankisrael.gov.il)
[출처4] 인터넷 신문(매일경제, 한국신문, 국민일보)
전체적으로 계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최근 모건 스탠리에서 한국과 이스라엘의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지수를 선진국수준으로 올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고 있다. 라고 밝혔을 정도로 이스라엘의 주식시장은 선진국 수준 만큼이나 규모있고 탄탄하게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역시 2008년에 들어서면서 유류등 원자재의 상승으로 인한 효과와 세계경제의 불황시작등으로 인하여 지금과 같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기는 힘들다고 생각한다.
3. 이스라엘과 국제관계
1) 미국
- 이스라엘의 제일의 협력자역활.(이스라엘에게 매년 30억$정도를 지원)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스라엘의 건국과정에서부터 긴밀하게 협력을 주고 받았다. 미국내의 유대인들의 미국에 대한 정제계와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높으며 따라서 이런 막강한 유대인들의 로비단체의 힘으로 미국이 지속적인 이스라엘의 가장 큰 협력자 역할을 하고 있다.
-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을 지지.
이스라엘이 적대적인 이슬람 국가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는 지리적 위치와 미국의 중동지방 영향력을 키운다는 이유로 정치적으로도 이스라엘의 비난받는 행동들을 언급하지 않거나 군사적인 지원을 하는 방법, 이스라엘의 결정에 찬성한다는 뜻등의 발표로 우호적인 태도를 보인다
- 긴밀한 경제적 협력
미국은 처음 1985년 이스라엘과 FTA를 체결하였고 이스라엘과의 무역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오며 경제적으로도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현재 이스라엘의 가장 큰 무역규모의 대상국) 나스닥에 상장된 이스라엘의 벤처기업이 70개(2007년 기준)로 이스라엘의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물론 이스라엘의 기업이 미국의 자본시장에 많이 진출해 있다는 것을 통해서도 이스라엘과 미국과의 경제협력도를 추측할 수 있다.
2) 이집트
- 주변국중 대표적으로 관계회복이 진행된 나라 (평화조약(1979))
97년 평화조약을 통해서 처음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회복시키려 했고 이집트와의 평화조약으로 처음 그 관계를 회복시켰으나 실질적인 관계회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시나이반도반환(1997)
시나이 반도 반환을 통해 실질적인 관계회복의 물고를 틔었다.
- 자유무역협정(2004)
아직 서로의 무역규모는 미미하지만 그 동안 관계가 개선되기가 어려웠던 문제점들을 풀어내면서 무역에 대한 효과이외에 주변국들과 처음으로 실질적인 관계회복을 진행시켰다는 관점에서 정치적 안정으로 이익이 되는 외부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천연가스공급계약(2005)
이스라엘-이집트간의 25억 달러 규모 천연가스 협상이 합의점에 도달해서 계약서 서명 없이 최종계약이 체결된 양해각서 작성으로 진행되었다. Eastern Mediterranean Gas(EMG)의 소유권은 이집트 정부(75%)와 유대인 기업인 요셉 마이맘(25%)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평화조약 이후 최초의 정부간 협력 프로젝트라는 측면에서 외교적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3) EU
- 75년도에 이스라엘과 자유무역협정
이스라엘의 자원부족에 따른 수입필요와 농산품 수출의 필요성으로 일찍부터 EU와 FTA를 맺었다. 현재 나라별로 볼 때는 미국이 가장 큰 이스라엘의 무역대상국이지만 EU전체를 놓고 볼 때는 미국의 3배이상의 무역규모가 유럽과 이루어지고 있다.
- EU의 R&D 프로젝트인 5th Framework Program
\'FP5\'에 비유럽 국가로서 유일하게 참여
4) 기타 주변국
- 이란과의 불편한 관계지속
예전에 이스라엘 공격준비설이 나올정도로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나쁘며 이스라엘과의 전쟁설이 나올 때 마다 유가에 영향을 미친다.
- 레바논과의 평화협상
06년 6월 이스라엘의 침공으로 전쟁을 치루었으나 06년 8월에 휴전을 하고 현재 6월 18일 레바논에게 평화협상제의하였다.
- 시리아와의 평화협상재개
- 이스라엘-팔레스타인(가자지구) 19일 휴전발효
이스라엘은 17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와 6개월 시한부 휴전에 합의했다. 그러나 진정한 평화를 위한다고는 볼 수 없는데 시한부 휴전에 합의한 17에도 미사일로 이스라엘 군이 장갑차를 공격했기 때문이다.
5) 한국
-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핸드폰 산업등에 우리기업이 진출해 있다.
- 한ㆍ이스라엘 간 공동 기술개발을 돕는 코릴펀드를 운영
- 양국 간 교역규모가 2007년 17억달러로 한국은 자동차와 휴대폰 등 완성품을 수출하고 이스라엘은 소형 카메라 등 부품을 수출하는 \'윈윈\' 관계\"라고 평가했다.
4. 결론
1) 평가
- 세계경제호황의 기회를 잘 활용
2004년 이전에 주변국들과의 좋지 않은 관계로 인한 악영향과 침체된 세계경제로 인해 이스라엘 경제가 매우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4년을 기점으로 주변국들과의 관계회복노력과 세계경제호황의 기회를 잘 활용하였다.
- 적극적인 자유뮤역정책의 성공
FTA에 일찍부터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무역의 확대는 물론 투자의 유치등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데에 확실히 성공하였음을 주요경제 지표들을 보면 나타나있고 현재는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세계경제의 통일화 과정에서 유리한 입장을 차지하고 있다.
2) 주의사항
- 세계경제의 흐름을 면밀히 파악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2004년을 기준으로 경제지표들이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2008년부터 세계경제가 불황으로 돌아서고 있는 시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 물가지수의 관리노력필요
2008년 들어서 세계곡물가격인상으로 인한 효과가 소비자 물가지수에 반영되어있는데 과일과 야채에 대한 물가 인상도 물가인상의 원인이므로 과일과 야채에 대한 물가인상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주변국들과의 관계 개선에 노력
이전 세계경제침체기에 주변국들과의 관계악화로 인해 경제에 상당히 좋지 않은 영향을 받아 경제정책의 실패로 이어졌으로 이집트 뿐 아니라 다른 주변국들과의 관계개선에 노 력해야 한다.
5. References
[출처1] 이스라엘 연구 NAVER
[출처2] KOTRA 국가정보
[출처3] 각 경제지표 자료들 - Bank of Israel(www.bankisrael.gov.il)
[출처4] 인터넷 신문(매일경제, 한국신문, 국민일보)
추천자료
지그프리드 헤르만의 이스라엘 역사
100년의 혈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앗시리아의 위협과 이스라엘의 죽음
세계의 분쟁지역-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존브라이트 군네벡 헤이스&밀러 이스라엘 역사 방법론별 조사
고대 근동의 이스라엘 역사와 한국사에 대한 비교 연구
로마서 9-11장에서 혈통적 이스라엘에 대한 바울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신학)이스라엘역사
종교와 세계문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 관하여)
구약 역사 - 이스라엘 역사에 대하여
구약사 요약(이스라엘의 태동~바벨론 포로귀환시기)
[이슈]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사태
고대 가나안과 이스라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