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허균의 일생과 홍길동전의 역사적 배경
3. 『홍길동전』속 현실의 문제
(1) 신분제도의 문제
(2) 집권층의 횡포와 관권의 부패
4. 이상의 실현, 율도국
(1) 율도국의 생성 배경
(2) 율도국의 형상화 혹은 경영
5. 나가며
2. 허균의 일생과 홍길동전의 역사적 배경
3. 『홍길동전』속 현실의 문제
(1) 신분제도의 문제
(2) 집권층의 횡포와 관권의 부패
4. 이상의 실현, 율도국
(1) 율도국의 생성 배경
(2) 율도국의 형상화 혹은 경영
5. 나가며
본문내용
< 홍길동전 >
이상과 현실의 비교를 통해서 본 율도국의 사회학
<목 차>
1. 들어가며
2. 허균의 일생과 홍길동전의 역사적 배경
3. 『홍길동전』속 현실의 문제
(1) 신분제도의 문제
(2) 집권층의 횡포와 관권의 부패
4. 이상의 실현, 율도국
(1) 율도국의 생성 배경
(2) 율도국의 형상화 혹은 경영
5. 나가며
◆ 요약
허균이 지은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은 뚜렷한 사회의식을 가지고 있다. 구성과 의미의 연계망이라는 관점에서 홍길동전은 현실과 이상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보이고 있는데 과연 이상으로 설정된 율도국이 진정한 이상향의 모습을 띄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다. 하지만 신분차별이나 백성구휼로 미루어 보아 율도국이 조선의 한계점을 해소한 공간이라는 것을 틀림없는 사실이고 당대 사회적 이념에 비추어 볼 때 이것은 백성들이 꿈꾸던 이상향이라 볼 수 있다. 율도국이 이상세계로 조망되는 데는 민중의 소망이 충실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한문이 아닌 최초의 한글소설이 지니는 꿈, 바로 율도국이다.
◆ 주제어
홍길동전, 허균, 적서차별법, 현실과 이상, 율도국, 애민정신, 만민평등, 인재등용.
1. 들어가며
최초의 한글소설인 허균의 홍길동전은 국문학사상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작품으로 우리에게 매우 친근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으며 한글로 표기하여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사회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홍길동전의 원본은 아직 발견 된 바 없고 그 창작 연대 역시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허균이 처형된 1618년 이후로 내려오지는 않는다.
이본만이 많이 전해오고 있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홍길동전의 이본인 경판본과 완판본을 함께 다룸으로써 홍길동전의 큰 흐름에서 벗어나지 않고자 한다. 경판에는 있되 완판에는 없는 내용에는 두 가지가 있다. 길동이 무리를 이끌고 조선을 떠나기 전에 율도국,제도,오봉산을 둘러 보는 대목과, 홍승상의 부인이 율도국에 가서 죽자 홍승상과 합장하는 대목이 그것이다. 반면 완판에는 정조 3천 석을 요구하는 대목, 임금을 만났을 때 놀랄까 염려해 눈을 뜨지 않는 대목, 율도왕의 자결, 율도국과의 전쟁을 자세하게 묘샤한 대목, 길동이 병사하지 않고 백일승천하는 대목 등이다.
혼란한 조선사회를 배경으로 한 홍길동전은 길동이 이상국을 건설하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데 이는 분명 작가 혼자만의 소망은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홍길동전에 드러난 당대 사회의 현실과 그로인해 꿈꾸는 이상향을 비교분석하여 소설 속 현실과 이상의 제시 그리고 이상향의 한계점에 관한 논의에 대한 발표조의 의견을 밝히고자 한다.
2. 허균의 일생과 홍길동전의 역사적 배경
작가가 살아온 환경과 역사적 사실들은 작품창작에 있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한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외에도 작가가 살았던 시대와 사회상황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허균은 1569년에 명문의 집안에서 태어나 1618년까지의 삶을 살았다. 그 중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남들보다 불운한 가족관계를 가졌다는 것이다. 그는 젊은 시절에 부친과 형, 누나를 잇달아 잃는 등 일찍이 가족들의 죽음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후에 성장하여 벼슬길에 오른 후에는 잦은 파직을 당하여 순탄치 못한 사회생활을 겪었다. 특히 허균이 공주목사로 있을 때 그의 처삼촌인 심우영과 친구인 이재영, 이경준 등과 가까이 했는데 서얼인 그들의 불우한 삶에 진심으로 가슴아파하며 뒷바라지에 힘썼다고 한다. 박미선, 「홍길동전에 반영된 작가 정신」,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9, p.16
그 외에도 허균은 천민이나 평민들과의 교류도 서슴지 않았다 한다.
허균이 살았던 시대는 신분이 엄격히 구별되던 봉건 사회로 양반 사대부들의 축첩제도는 인정하면서 태어나는 첩의 자식들은 천대하는 적서차별이 매우 심한 모순된 사회였다. 또한 정치적으로는 사대부들의 분열과 대립으로 당쟁이 심했고 임진왜란 뒤의 혼란한 틈을 타서 도적이 판을 치고 탐관오리가 횡행하는 사회였다. 박미선, 위의 논문, p.24
허균의 불행한 개인사와 그가 살았던 혼란스러운 시대적 환경이 그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작품분석과 더불어 살펴보고자 한다.
3. 『홍길동전』속 현실의 문제
홍길동전을 크게 나누어 보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길동이 태어나 가출하기까지의 사건과 이후 국내에서 활빈당을 조직하여 의적활동을 하는 사건 마지막으로는 율도국을 건설하는 사건으로 나눌 수 있다. 김일렬, 「홍길동전의 구조와 의미」, 『국어국문학(99)』, 국어국문학회, 1988, p.92
전반부의 홍길동이 서얼이라는 신분으로 태어나 차별받고 가출하여 국내(조선)에서 활동하는 장면에서 우리는 작품 속에 드러난 당대의 현실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우리는 홍길동전을 통하여 당시 조선사회의 사회문제에서 더 나아가 정치문제까지 살피고자 한다.
1) 신분제도의 문제
홍길동전에 드러난 당대 현실의 첫 번째 문제점은 신분제도에서 기인한 적서차별의 문제였다. 이는 조선시대의 큰 병폐 중 하나였는데 첩이나 비에게 나온 자식을 서얼이라 하여 사회진출에 차별을 두었으며 천대하는 등의 비인격적이며 불평등한 제도를 일컫는다.
①축첩의 용인
이러한 적서차별의 근본적인 원인은 사회적으로 공공연하게 실행되고 있던 축첩제도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조선시대의 가족제도는 가부장제로 축첩이 용인되고 있었는데 축첩은 허용하면서 그들의 소생인 서얼들에 대한 차별은 매우 심하여 과거에 응시할 기회조자 주지 않을 뿐 아니라 문무관으로 임명하지도 않았다.
일즉 두 아들을 두어시니, 일 일홈이 인형이니 뎡실 뉴시 쇼이오, 일 일홈이 길동이니 시비 츈셤의 쇼이라. 김일렬 역주, 『홍길동전. 전우치전. 서화담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p.14
이 츈셤의 나히 십팔이라. 번 몸을 허 후로 문외의 나지 아니고 타인을 이 업스니, 공이 긔특이 넉여 인여 잉
이상과 현실의 비교를 통해서 본 율도국의 사회학
<목 차>
1. 들어가며
2. 허균의 일생과 홍길동전의 역사적 배경
3. 『홍길동전』속 현실의 문제
(1) 신분제도의 문제
(2) 집권층의 횡포와 관권의 부패
4. 이상의 실현, 율도국
(1) 율도국의 생성 배경
(2) 율도국의 형상화 혹은 경영
5. 나가며
◆ 요약
허균이 지은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은 뚜렷한 사회의식을 가지고 있다. 구성과 의미의 연계망이라는 관점에서 홍길동전은 현실과 이상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보이고 있는데 과연 이상으로 설정된 율도국이 진정한 이상향의 모습을 띄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다. 하지만 신분차별이나 백성구휼로 미루어 보아 율도국이 조선의 한계점을 해소한 공간이라는 것을 틀림없는 사실이고 당대 사회적 이념에 비추어 볼 때 이것은 백성들이 꿈꾸던 이상향이라 볼 수 있다. 율도국이 이상세계로 조망되는 데는 민중의 소망이 충실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한문이 아닌 최초의 한글소설이 지니는 꿈, 바로 율도국이다.
◆ 주제어
홍길동전, 허균, 적서차별법, 현실과 이상, 율도국, 애민정신, 만민평등, 인재등용.
1. 들어가며
최초의 한글소설인 허균의 홍길동전은 국문학사상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작품으로 우리에게 매우 친근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으며 한글로 표기하여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사회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홍길동전의 원본은 아직 발견 된 바 없고 그 창작 연대 역시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허균이 처형된 1618년 이후로 내려오지는 않는다.
이본만이 많이 전해오고 있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홍길동전의 이본인 경판본과 완판본을 함께 다룸으로써 홍길동전의 큰 흐름에서 벗어나지 않고자 한다. 경판에는 있되 완판에는 없는 내용에는 두 가지가 있다. 길동이 무리를 이끌고 조선을 떠나기 전에 율도국,제도,오봉산을 둘러 보는 대목과, 홍승상의 부인이 율도국에 가서 죽자 홍승상과 합장하는 대목이 그것이다. 반면 완판에는 정조 3천 석을 요구하는 대목, 임금을 만났을 때 놀랄까 염려해 눈을 뜨지 않는 대목, 율도왕의 자결, 율도국과의 전쟁을 자세하게 묘샤한 대목, 길동이 병사하지 않고 백일승천하는 대목 등이다.
혼란한 조선사회를 배경으로 한 홍길동전은 길동이 이상국을 건설하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데 이는 분명 작가 혼자만의 소망은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홍길동전에 드러난 당대 사회의 현실과 그로인해 꿈꾸는 이상향을 비교분석하여 소설 속 현실과 이상의 제시 그리고 이상향의 한계점에 관한 논의에 대한 발표조의 의견을 밝히고자 한다.
2. 허균의 일생과 홍길동전의 역사적 배경
작가가 살아온 환경과 역사적 사실들은 작품창작에 있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한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외에도 작가가 살았던 시대와 사회상황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허균은 1569년에 명문의 집안에서 태어나 1618년까지의 삶을 살았다. 그 중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남들보다 불운한 가족관계를 가졌다는 것이다. 그는 젊은 시절에 부친과 형, 누나를 잇달아 잃는 등 일찍이 가족들의 죽음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후에 성장하여 벼슬길에 오른 후에는 잦은 파직을 당하여 순탄치 못한 사회생활을 겪었다. 특히 허균이 공주목사로 있을 때 그의 처삼촌인 심우영과 친구인 이재영, 이경준 등과 가까이 했는데 서얼인 그들의 불우한 삶에 진심으로 가슴아파하며 뒷바라지에 힘썼다고 한다. 박미선, 「홍길동전에 반영된 작가 정신」,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9, p.16
그 외에도 허균은 천민이나 평민들과의 교류도 서슴지 않았다 한다.
허균이 살았던 시대는 신분이 엄격히 구별되던 봉건 사회로 양반 사대부들의 축첩제도는 인정하면서 태어나는 첩의 자식들은 천대하는 적서차별이 매우 심한 모순된 사회였다. 또한 정치적으로는 사대부들의 분열과 대립으로 당쟁이 심했고 임진왜란 뒤의 혼란한 틈을 타서 도적이 판을 치고 탐관오리가 횡행하는 사회였다. 박미선, 위의 논문, p.24
허균의 불행한 개인사와 그가 살았던 혼란스러운 시대적 환경이 그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작품분석과 더불어 살펴보고자 한다.
3. 『홍길동전』속 현실의 문제
홍길동전을 크게 나누어 보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길동이 태어나 가출하기까지의 사건과 이후 국내에서 활빈당을 조직하여 의적활동을 하는 사건 마지막으로는 율도국을 건설하는 사건으로 나눌 수 있다. 김일렬, 「홍길동전의 구조와 의미」, 『국어국문학(99)』, 국어국문학회, 1988, p.92
전반부의 홍길동이 서얼이라는 신분으로 태어나 차별받고 가출하여 국내(조선)에서 활동하는 장면에서 우리는 작품 속에 드러난 당대의 현실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우리는 홍길동전을 통하여 당시 조선사회의 사회문제에서 더 나아가 정치문제까지 살피고자 한다.
1) 신분제도의 문제
홍길동전에 드러난 당대 현실의 첫 번째 문제점은 신분제도에서 기인한 적서차별의 문제였다. 이는 조선시대의 큰 병폐 중 하나였는데 첩이나 비에게 나온 자식을 서얼이라 하여 사회진출에 차별을 두었으며 천대하는 등의 비인격적이며 불평등한 제도를 일컫는다.
①축첩의 용인
이러한 적서차별의 근본적인 원인은 사회적으로 공공연하게 실행되고 있던 축첩제도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조선시대의 가족제도는 가부장제로 축첩이 용인되고 있었는데 축첩은 허용하면서 그들의 소생인 서얼들에 대한 차별은 매우 심하여 과거에 응시할 기회조자 주지 않을 뿐 아니라 문무관으로 임명하지도 않았다.
일즉 두 아들을 두어시니, 일 일홈이 인형이니 뎡실 뉴시 쇼이오, 일 일홈이 길동이니 시비 츈셤의 쇼이라. 김일렬 역주, 『홍길동전. 전우치전. 서화담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p.14
이 츈셤의 나히 십팔이라. 번 몸을 허 후로 문외의 나지 아니고 타인을 이 업스니, 공이 긔특이 넉여 인여 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