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時(시)에 관한 효력
Ⅱ. 사람(人)에 관한 效力
Ⅲ. 곳(場所)에 관한 효력
Ⅱ. 사람(人)에 관한 效力
Ⅲ. 곳(場所)에 관한 효력
본문내용
이혼소송을 제기한 경우가 전형적인 예이다. 이 때 적용할 준거법을 정해주는 법이 「섭외사법」이다.
Ⅲ. 곳(場所)에 관한 효력
우리 민법은 우리 나라의 전 영토 내에 그 효력이 있다. 북한 지역도 마찬가지이며, 다만 현실적으로 그 적용이 정지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통일이 되면 별도의 立法 없이도 민법은 당연히 북한지역에 적용된다(김준호31면).
Ⅲ. 곳(場所)에 관한 효력
우리 민법은 우리 나라의 전 영토 내에 그 효력이 있다. 북한 지역도 마찬가지이며, 다만 현실적으로 그 적용이 정지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통일이 되면 별도의 立法 없이도 민법은 당연히 북한지역에 적용된다(김준호31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