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 문
1. SK텔레콤의 역사
2. SK의 경영이념 1) 경영원칙(SKMS)
2) 경영기법(SUPEX)
3. SK텔레콤의 주요경영실적 1) 분기별 가입자수/ 시장점유율
2) 분기별 전체 가입자수/ 보급률
3) 분기별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월평균 가입자당 매출액)
4) 분기별 MOU(Minutes of Use:월평균 가입자 사용시간)
4. SK텔레콤의 경영전략 1) 고객가치경영
2) 혁신경영
3) 상생경영
4) 윤리경영
5) CSR 경영
5. SK텔레콤의 마케팅전략 1) 통신3사의 마케팅전쟁
2) ‘11번가’의 톡톡 튀는 사전마케팅
3) ‘T’의 생각대로, 감성마케팅
4) 컨버전스 마케팅
5) 네이트를 통한 유비쿼터스 인터넷 환경제공
6. KT-KTF 합병에 따른 SK텔레콤의 향후 전망
1) KT-KTF 합병이 SKT에 미칠 영향은?
2) 문제의 핵심은 '결합상품 마케팅'
3) SKT-SK브로드 합병은 2010년 예상
<참고자료>
Ⅱ. 본 문
1. SK텔레콤의 역사
2. SK의 경영이념 1) 경영원칙(SKMS)
2) 경영기법(SUPEX)
3. SK텔레콤의 주요경영실적 1) 분기별 가입자수/ 시장점유율
2) 분기별 전체 가입자수/ 보급률
3) 분기별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월평균 가입자당 매출액)
4) 분기별 MOU(Minutes of Use:월평균 가입자 사용시간)
4. SK텔레콤의 경영전략 1) 고객가치경영
2) 혁신경영
3) 상생경영
4) 윤리경영
5) CSR 경영
5. SK텔레콤의 마케팅전략 1) 통신3사의 마케팅전쟁
2) ‘11번가’의 톡톡 튀는 사전마케팅
3) ‘T’의 생각대로, 감성마케팅
4) 컨버전스 마케팅
5) 네이트를 통한 유비쿼터스 인터넷 환경제공
6. KT-KTF 합병에 따른 SK텔레콤의 향후 전망
1) KT-KTF 합병이 SKT에 미칠 영향은?
2) 문제의 핵심은 '결합상품 마케팅'
3) SKT-SK브로드 합병은 2010년 예상
<참고자료>
본문내용
\'11\'이 커다랗게 새겨진 가방을 맸다. SK텔레콤이 새롭게 문을 열 예정인 오픈마켓 \'11번가\'의 사전홍보에 나선 것이다.
이 회사는 11번가의 론칭을 앞두고 이달 들어 사전홍보 이벤트를 활발하게 펼쳤다. 이벤트 \'11번 그녀를 찾아라\'를 통해 오프라인에서만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고객들의 호기실을 유발하기 위한 것.SK텔레콤은 우선 2008년 2월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 1차 사전마케팅을 통해 \'11번 그녀를 찾는다\'는 내용의 전단지를 유동인구가 많은 명동 등에 배포했다. 2차 마케팅기간인 24일까지는 문제의 \'11번 그녀\'가 거리를 활보하며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는 전략이었다.
싸이월드에는 \'11 그녀를 찾아주세요\'라는 이름으로 미니홈피가 운영되고 있다. 2008년 2월 20일 현재 누적방문자수 8만5252명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수년 전 큰 인기를 얻었던 \'선영아 사랑해\' 광고에 착안해 만들어낸 비공개 마케팅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3) ‘T’의 생각대로, 감성마케팅
T는 ‘SPEED 011’의 뒤를 잇는 SK텔레콤의 대표 브랜드다. 지난 2006년 7월 첫 선을 보인 이래, 국내 이동 통신 서비스의 선두주자로서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SK텔레콤은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를 위해 BMS(Brand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고 모바일 라이프의 유용성과 고객가치 향상의 큰 의미를 담아 브랜드 재정립을 추진해왔다.
단순히 겉옷을 바꿔 입은 것뿐 아니라 내면적으로도 고객관점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했다.
T는 진보적이고 문화·감성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고객들에게 보다 앞선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는 브랜드로서 디자인과 감성에 기초한 다양한 활동을 집행하고 있다.
나이키, 코카콜라, 스타벅스처럼 고객 삶 속에 투영된 친숙한 문화코드로 자리 잡는 것이 T의 목표다.
‘T’라는 브랜드명은 ‘통신업계(Telecom) 최고의 기술(Technology)로 고객에게 최고(Top)로 신뢰(Trust)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되겠다’는 의미를 담은 브랜드이다.
이번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정립에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보다 ‘공급자 위주’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가치 이동이다. 기존의 브랜드가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지향했다면, 새로운 로고에서는 네트워크의 의미를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을 넘어 문화적인 것으로 승화시키고자 했다.새로운 지향점은 ‘유비쿼터스 컬쳐워크’이다. 문화와 네트워크의 결합인 ‘컬쳐워크(Culturework)’에서 문화에 해당하는 부분은 결국 거기 참여하는 주체인 소비자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중요한 것은 고객이라는 시점의 변화가 느껴진다.
‘리얼라이징(Realizing)’이라는 브랜드의 핵심 가치 또한 추출됐다. 이는 ‘T는 고객이 원하는 것을 실현하게 해주는 브랜드’라는 의미다. ‘리얼라이징’이란 말을 소비자에게 친숙한 언어로 바꾼 것이 ’생각대로’ 라는 슬로건이다.
새로운 로고인 ‘드림리본(Dream Ribbon)’은 뫼비우스의 띠를 모티브로 삼은 것이다.
안과 겉이 구분되지 않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기업과 고객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서비스의 제공자인 기업과 서비스의 수혜자인 소비자가 함께 공존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고객의 꿈이 T의 소망이 되고, T의 노력이 고객의 생활이 되는’ T의 핵심 가치가 반영된 것이다. 새로운 로고는 기존 로고의 딱딱한 이미지에서 탈피해 ‘생각대로’ 캠페인과 연계한 감성 마케팅 활동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었다.
4) 컨버전스 마케팅
SK텔레콤은 고객층이 유사한 타 산업군과 제휴해 무선인터넷 콘텐츠를 보험서비스, 잡지 무료구독권 등과 결합한 컨버전스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SK텔레콤의 컨버전스 마케팅은 기존 기기와 기기(예: 휴대폰과 RFID 리더기)를 결합한 디바이스간의 복합 상품과 달리 무선인터넷 콘텐츠와 보험, 잡지 상품 등 동일한 고객층을 겨냥한 새로운 개념이다.
SK텔레콤은 컨버전스 마케팅 상품으로 자동차를 타고 운전하면서 알고 싶은 모든 도로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교통 플러스’ 서비스를 선보였다.
‘도로교통 플러스’는 고속도로, 국도의 소통상황이나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주요도로의 소통상황을 이미지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어떤 길을 이용해야 할지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까지의 빠른 경로를 안내해 주는 서비스는 물론이고 주변의 교통상황을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로교통 플러스’는 건당 300원씩 유료로 사용하던 교통실시간 방송을 무료로 월정액 요금 3500원에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고속도로와 국도의 주요 지점에 설치된 CCTV의 실시간 영상을 핸드폰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했다.
또 다른 컨버전스 마케팅상품은 2006년에 선보인 ‘핑크 다이어리’ 서비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용자가 자신의 생리리듬, 바이오리듬, 운세, 날씨 등을 알 수 있다.
‘타이밍 다이어리’에서는 여성전용 7가지 생리리듬과 컨디션 정보를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운세 다이어리’에서는 금전/연애/건강/희망 등의 일일 운세 정보를 백분율로 환산해 제공했다.
이 밖에도 ‘바이오리듬’, ‘날씨’, ‘클리닉’ 등 자신의 컨디션에 관련된 정보와 생활정보를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해 여성들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이다.
배준동 SK텔레콤 비즈니스 부문장은 “앞으로 보험사, 잡지사 등 타 산업군과 연계한 다양한 컨버전스 형태의 서비스들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5) 네이트를 통한 유비쿼터스 인터넷 환경제공
SK텔레콤(www.sktelecom.com 대표 김신배)의 무선인터넷 `네이트(NATE)`는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 유선인터넷 서비스,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경계를 허물고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인터넷 환경을 제공, 모든 생활 솔루션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해 주는 `퍼스널 라이프 솔루션\'으로 평가되고 있다. 네이트는 휴대폰ㆍPDAㆍ차량용 네비게이션ㆍPC등의 다양한 디바이스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지난 2004년 5월부터 매월 이용하는 소비자 수가 1000만명을 넘어
이 회사는 11번가의 론칭을 앞두고 이달 들어 사전홍보 이벤트를 활발하게 펼쳤다. 이벤트 \'11번 그녀를 찾아라\'를 통해 오프라인에서만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고객들의 호기실을 유발하기 위한 것.SK텔레콤은 우선 2008년 2월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 1차 사전마케팅을 통해 \'11번 그녀를 찾는다\'는 내용의 전단지를 유동인구가 많은 명동 등에 배포했다. 2차 마케팅기간인 24일까지는 문제의 \'11번 그녀\'가 거리를 활보하며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는 전략이었다.
싸이월드에는 \'11 그녀를 찾아주세요\'라는 이름으로 미니홈피가 운영되고 있다. 2008년 2월 20일 현재 누적방문자수 8만5252명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수년 전 큰 인기를 얻었던 \'선영아 사랑해\' 광고에 착안해 만들어낸 비공개 마케팅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3) ‘T’의 생각대로, 감성마케팅
T는 ‘SPEED 011’의 뒤를 잇는 SK텔레콤의 대표 브랜드다. 지난 2006년 7월 첫 선을 보인 이래, 국내 이동 통신 서비스의 선두주자로서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SK텔레콤은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를 위해 BMS(Brand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고 모바일 라이프의 유용성과 고객가치 향상의 큰 의미를 담아 브랜드 재정립을 추진해왔다.
단순히 겉옷을 바꿔 입은 것뿐 아니라 내면적으로도 고객관점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했다.
T는 진보적이고 문화·감성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고객들에게 보다 앞선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는 브랜드로서 디자인과 감성에 기초한 다양한 활동을 집행하고 있다.
나이키, 코카콜라, 스타벅스처럼 고객 삶 속에 투영된 친숙한 문화코드로 자리 잡는 것이 T의 목표다.
‘T’라는 브랜드명은 ‘통신업계(Telecom) 최고의 기술(Technology)로 고객에게 최고(Top)로 신뢰(Trust)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되겠다’는 의미를 담은 브랜드이다.
이번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정립에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보다 ‘공급자 위주’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가치 이동이다. 기존의 브랜드가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지향했다면, 새로운 로고에서는 네트워크의 의미를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을 넘어 문화적인 것으로 승화시키고자 했다.새로운 지향점은 ‘유비쿼터스 컬쳐워크’이다. 문화와 네트워크의 결합인 ‘컬쳐워크(Culturework)’에서 문화에 해당하는 부분은 결국 거기 참여하는 주체인 소비자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중요한 것은 고객이라는 시점의 변화가 느껴진다.
‘리얼라이징(Realizing)’이라는 브랜드의 핵심 가치 또한 추출됐다. 이는 ‘T는 고객이 원하는 것을 실현하게 해주는 브랜드’라는 의미다. ‘리얼라이징’이란 말을 소비자에게 친숙한 언어로 바꾼 것이 ’생각대로’ 라는 슬로건이다.
새로운 로고인 ‘드림리본(Dream Ribbon)’은 뫼비우스의 띠를 모티브로 삼은 것이다.
안과 겉이 구분되지 않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기업과 고객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서비스의 제공자인 기업과 서비스의 수혜자인 소비자가 함께 공존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고객의 꿈이 T의 소망이 되고, T의 노력이 고객의 생활이 되는’ T의 핵심 가치가 반영된 것이다. 새로운 로고는 기존 로고의 딱딱한 이미지에서 탈피해 ‘생각대로’ 캠페인과 연계한 감성 마케팅 활동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었다.
4) 컨버전스 마케팅
SK텔레콤은 고객층이 유사한 타 산업군과 제휴해 무선인터넷 콘텐츠를 보험서비스, 잡지 무료구독권 등과 결합한 컨버전스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SK텔레콤의 컨버전스 마케팅은 기존 기기와 기기(예: 휴대폰과 RFID 리더기)를 결합한 디바이스간의 복합 상품과 달리 무선인터넷 콘텐츠와 보험, 잡지 상품 등 동일한 고객층을 겨냥한 새로운 개념이다.
SK텔레콤은 컨버전스 마케팅 상품으로 자동차를 타고 운전하면서 알고 싶은 모든 도로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교통 플러스’ 서비스를 선보였다.
‘도로교통 플러스’는 고속도로, 국도의 소통상황이나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주요도로의 소통상황을 이미지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어떤 길을 이용해야 할지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까지의 빠른 경로를 안내해 주는 서비스는 물론이고 주변의 교통상황을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로교통 플러스’는 건당 300원씩 유료로 사용하던 교통실시간 방송을 무료로 월정액 요금 3500원에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고속도로와 국도의 주요 지점에 설치된 CCTV의 실시간 영상을 핸드폰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했다.
또 다른 컨버전스 마케팅상품은 2006년에 선보인 ‘핑크 다이어리’ 서비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용자가 자신의 생리리듬, 바이오리듬, 운세, 날씨 등을 알 수 있다.
‘타이밍 다이어리’에서는 여성전용 7가지 생리리듬과 컨디션 정보를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운세 다이어리’에서는 금전/연애/건강/희망 등의 일일 운세 정보를 백분율로 환산해 제공했다.
이 밖에도 ‘바이오리듬’, ‘날씨’, ‘클리닉’ 등 자신의 컨디션에 관련된 정보와 생활정보를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해 여성들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이다.
배준동 SK텔레콤 비즈니스 부문장은 “앞으로 보험사, 잡지사 등 타 산업군과 연계한 다양한 컨버전스 형태의 서비스들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5) 네이트를 통한 유비쿼터스 인터넷 환경제공
SK텔레콤(www.sktelecom.com 대표 김신배)의 무선인터넷 `네이트(NATE)`는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 유선인터넷 서비스,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경계를 허물고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인터넷 환경을 제공, 모든 생활 솔루션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해 주는 `퍼스널 라이프 솔루션\'으로 평가되고 있다. 네이트는 휴대폰ㆍPDAㆍ차량용 네비게이션ㆍPC등의 다양한 디바이스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지난 2004년 5월부터 매월 이용하는 소비자 수가 1000만명을 넘어
추천자료
[경영전략] Sk텔레콤 경영전략 사례연구
월드컵의 영광을 아시안 게임까지... SK텔레콤의 이미지 마케팅
CRM사례(sk텔레콤)
SK텔레콤 CRM 적용사례(A+레포트)
SK텔레콤의 고객만족중심 전략 사례
경영혁신 사례 연구 (SK텔레콤 vs KTF)
[서비스마케팅] TTL의 사례로 본 SK텔레콤의 마케팅 전략
SK텔레콤 CRM사례
SK텔레콤의 인적자원관리
[브랜드마케팅]SK텔레콤 T 브랜드디자인 전략 (A+리포트)
SK텔레콤 고객만족경영
SK텔레콤의 해외 진출 실패사례
SK Telecom(SK텔레콤) 해외 진출 사례 - 미국, 중국.ppt
경영전략(sk텔레콤) 모바일(Mobile) 사업부문 발표자료.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