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 박물관의 유물과 북한의 공예품 비교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립민속 박물관의 유물과 북한의 공예품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머리말

* 국립민속박물관의 유물과 북학의 공예품의 비교 분석
- 노리개
- 갓
- 장도
- 활옷

* 맺음말

본문내용

머리말
2007년 5월 26일에 ‘공예론’ 이라는 과목의 과제를 하러 경복궁 역에 위치한 국립 민속 박물관에 가게 되었다. 과제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유물과 북한의 공예품을 비교분석 하는 것으로서 중간고사 때 국립중앙박물관에 갔다 와서 비교분석 하는 것과 비슷한 것이었다.
국립민속박물관에는 국립중앙박물관과 비슷하기도 하면서 또 다르기도 했는데, 중앙박물관에는 유물들이 많이 있었고, 민속박물관에는 옛날에 살았던 집이나, 물건, 어떻게 살았었는가를 보여주는 모형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나는 평상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노리개, 갓, 장도, 그리고 활옷에 대해서 조사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고, 더 애정을 가지고 민속박물관을 관람하고 돌아왔다.
* 국립민속박물관의 유물과 북한의 공예품의 비교 분석
1) 노리개
① 노리개를 선정한 이유 : 평소 악세서리나 한복에 관심이 많았던 지라 한복을 장식
하는 노리개에 대해서 조사하고 싶어졌고 이에 따라 남한의 노리개와 북한의 노
리개를 비교 분석 하게 되었다.
② 노리개란
-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 허리 등에 다는 패물
-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
- ‘고려도경’에는 고려시대 귀부인들이 허리띠에 금탁, 금낭향을 찼다는 기록이 있
는데, 고려후기에는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자 허리띠에만 차던 것을 옷 고름
에도 찼음
- 조선시대에는 대부분 옷 고름에 달았음
- 외형상 섬세하고 다채로우며 호화로운 장식이기도 하지만, 정신적인 배경으로는
부귀다남, 불로장생, 백사여의 등의 시대적인 행복관을 바탕으로 한 여인들의
염원이 담김
③ 남한의 노리개와 북한의 노리개 (민속박물관의 ‘새노리개’와 북한의 ‘단작노리개’)
남한의 노리개는 외형상 많은 색을 사용하지 않아서 인지 화려하다는 느낌보다는 단아하다는 느낌이 많이 든다. 여기에 새 장식으로 포인트를 주어 그 밋밋함을 조금 달랜 듯 하다. 그리고 이 노리개에 사용된 새는 오리처럼 보이는데 오리는 장원급제를 의미한다고 한다. 북한의 최혜숙이 만든 단작노리개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노리개와는 다른 모양을 지니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것도 단작노리개에 속하지만 이 것과는 다르게 무언가 더 화려하고 큼직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인지 남한에서의 노리개가 북한의 것보다 한복에 더 잘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북한의 노리개를 보면 네모난 모양의 주머니처럼 생긴 것이 있는데, 이 안에는 나비처럼 보이는 것이 수 놓여져 있다. 나비의 상징적인 의미는 60세 노인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하는 이 노리개에 수 놓여진 나비가 그러한 의미를 나타내는 가는 확실하지 않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5.0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34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