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론] 주민생활지원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론] 주민생활지원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 주민생활지원체계의 개념
2. 추진배경
3. 주민생활지원체계의 필요성
4. 주민생활지원체계의 현황
5. 주민생활지원체계개편의 기대
6.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Ⅲ. 결론
1. 과제

Ⅳ. 기관방문기
1. 서구청 지역사회복지계획
2. 서구청방문기
3. 서구제일종합사회복지관

※ 참 고

본문내용

무 연찬
- 방문보건요원 및 사회복지사 합동 연찬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여 통합업무의 효율적인 추진과 발전방안 모색
○ 보건복지행정시스템의 보건기관 공유 추진
- 방문보건의료서비스 대상자 선정 및 지원계획 수립 등 보건복지통합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자료의 활용과 복지대상자 관리의 이원화로 인한 서비스의 중복 또는 누락이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005.7월부터 보건복지행정시스템 을 공유
■ 서구지역 보건복지 연계 활성화 방안
○ 서구지역 복지기관 44개 중 보건소와 연계하는 기관은 6개 기관에 불과하므로 노인, 장애인, 한부모 등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기관을 대상으로 보건서비스 수요조사를 통해 연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복지기관과 연계하여 매년 보건서비스 욕구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
○ 장애인, 노인 등 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문보건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방문보건 담당 간호사 증원이 요청됨
○ 서구지역 보건복지 연계 활성화를 위해 복지기관 종사자와 보건기관 종사자가 팀을 구성하여 정기적인 사례회의를 통한 통합적 관리가 요구됨
○ 장애인, 노인 등 재가보건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이동보건차량을 보강할 필요가 있음
2) 재정계획
(1) 서구의 사회복지재정
■ 사회복지 재정의 세부 구성
○ 2005년 현재 서구세출 예산 중 사회복지관련 지출총액은 315억 6백 7만 7천원이었는데, 기초생활보장부문에 126억 1백9십3만9천원으로 전체 사회복지관련 예산지출 중 40%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노인복지, 여성복지 순으로 지출됨
■ 주요추진과제
○ 2005년 대비 2006년의 서구지역 사회복지예산의 증감형태를 살펴보면, 노인복지비용이 1,257,952천원이 증가되어 가장 많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생활보장이 4,685,065천원, 여성복지가 4,548,494천원 순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 2005년 대비 2006년의 사회복지예산이 감소된 부문은 공공근로가 440,130천원으로 가장 많이 감소되었으며, 자원봉사가 332,400천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남
(2) 서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재원
①각 사회복지부문별 최종 소요액
○ 서구 지역복지계획에 따른 총 소요액은 13,298.8백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연도별부문별 예산소요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년도별 예산소요액을 살펴보면, 2007년에는 1,596.3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2008년에는 3,832.6백만원, 2009년에는 3,919.2백만원이 소요될 것이며, 2010년에는 총 3,950.7백만원이 각각 소요될 것으로 나타남
○ 각 부분별 소요예산을 비교해 보면, 여성 및 보육 지원 비용이 6,530백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보건의료 부분이 4,293백만원을 차지하였으며, 장애인복지 부분에 대한 지원이 265백만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장애인노인 복지 등에 대한 비용이 여성 및 보육 지원에 비해 국시비 지원사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구비지원액이 낮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임
2. 서구청방문기
처음 주민생활지원에 대해서 개념이 잘 잡혀 있지 않은 상태로 방문할 기관을 정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한참을 이야기 한 끝에 강의 끝나고 내려오시는 교수님께 여쭈어 보아 구청 쪽으로 가야한다는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인 복지관을 생각했던 우리 조는 구청을 가야한다는 생각에 조금 압박감을 느꼈다. 일반적으로 공무원들이 방문을 반기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고 교수님도 “거기서는 별로 좋아하지 않을 거에요” 라고 하셨기 때문이었다. 여러 곳에 전화를 걸어보았고 결국 서구청에서 허락을 받을 수 있었다. (심지어 ○구청에서는 “홈페이지 보면 다 나와 있어요.”라고 답변을 하셨다.) 정말 감사한 마음으로 10월 29일 3시에 약속시간을 잡았다.
드디어 떨리는 10월 29일! 모두들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할지 곰곰이 생각하면서 서구청 앞에서 모였다. 용기를 내어 3층 주민생활지원과로 찾아간 우리들. 들어가자마자 어떻게 오셨느냐는 직원분께 3시에 약속이 잡혀있었다고 사정을 설명하자 그 전화를 받은 사람이 누군지 모르겠다고 그런 이야기 들은 적 없다고 하시며 난감해 하셨다. 다시한번 확인 전화를 하지 않은 것이 화근이었다. 서로 당황해서 어쩔 줄 모르는 그때 과장님께서 오셔서는 괜찮다고 ‘지금이라도 하면 되지’ 하시며 사회복지를 전공한 직원이 지금 잠깐 어디 가셨다며 앉으라고 권해주셔서 다행히 인터뷰를 시작 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매우 조금 당황하시며 어떤 것을 이야기해야 하냐고 망설이셨지만 조금 지나자 정말 많은 이야기를 해주셨다.
Q : 주민생활지원체계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주민생활지원체계라는 것이 정확히 어떠한 것인가요?
A : 네. 사회복지에서는 주변의 자원의 이용이 중요하죠. 그것은 학생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받을 사람은 많은데 자원의 한계 때문입니다. 부족한 자원을 좀더 주변의 지역단위에서 발굴하고 관리하고 연계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죠. 주민생활지원체계라는 것은 이제 국가에서 나서서 그러한 일을 하겠다는 의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 한방향으로 시혜적으로 주어지던 사회복지가 이제는 주민생활의 니드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거기에 따라 지역내에 있는 자원을 파악하고 발굴하여 연계시켜주는 것이죠.
Q : 주민생활지원과에 있으시면서 서구의 사회복지는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A : 지금 나라 전체에서 사회복지 예산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서구도 올해 1250억의 예산 중 약 50%에 해당하는 590억을 사회복지 예산으로 할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20%에서 대폭 향상된 것이죠. 하지만 서구는 사실 굉장히 힘듭니다. 대구의 다른 구에 비해서 소히 말하는 ‘사회복지의 우선적 대상자’인 장애인과 노인들은 굉장히 많은데 비해 세금을 내야 하는 생산층은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구에 비해서 이용시설 수도 적고 열악한 편입니다.
Q : 왜 그렇습니까?
A : 최근 수성구나 북구 등 아파트 신설들 주거환경이 좋아지면서 소히 말해 ‘잘사는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5.0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