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화의 사회복지학적 관점(인간복지론적, 체계이론적 접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인간복지론적 접근

Ⅱ. 체계이론적 접근

1. 체계이론의 근거
2. 개방체계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디서라도
혁신은 지칠 줄 모른다. 이미 우리 사회는 모든 차원에서 지금까지의 닫힌 체
계에서 개방체계로 줄달음을 치고 있다. 일단 21세기 개방사회라는 의미는
사회가 열린다는 것인데, 조직도 열려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실제로 인류역
사상 가장 오랜 세월을 삶의 기준으로 작용해 온 하이어라키의 관료주의 체
제가 이미 경직된 수직체제라고 비판받아 온 지 오래이다
캐나다의 경제학자 드보노(Eduard DeBono, 1990)에 의하면, 이미 우리 사회는
모든 것이 수직조직에서 수평조직으로 움직이고 있다. 지금까지 효율성과 효
과성의 신화를 남은 하이어라키 관료주의 위계사회에 이상(淡諦)의 징후가 발
견되기 시작하고 있다. 기업조직도 이러한 변화추세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인터넷으로 열리는 세상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제 무
한자유경쟁이 일상화되고 세계화와 국제화의 속도감각을 익히지 못하는 사
회는 개방체계로 거듭나지 못한다면 이미 사회는 사별되는 것이나 마찬가지
이 다.
우리가 체계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청소년문화를 이해하고자 한다면,우선 우
리는 체계분석적 방법(system analysis) 또는 체계접근적 방법(system approach)을 활용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과 전체와의 관계, 부분들 상호간
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전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통적인 체계이론적 접근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첫째, 체
제를 지나치게 강조하다보니 인간적 측면이 무시될 위험성이 있으며, 둘째,
따라서 사고의 융통성과 탄력성을 잃을 가능성이 있으며, 셋째, 변화의 중요
성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으며 ,넷째, 체제 내적 요인의 자율성이 무시될 가능
성이 있다. 그러나 루만의 자율적 자생성, 즉 아우토포이에시스의 개념에 근
거한 사회체계이론은 이러한 한계를 대폭 극복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청소년문화를 비판하는 그 자체는 닫힌체계이론을 기반으
로 접근하는 것이다. 개방체계이론적 접근에서는 비판 자체가 모순이다. 상호
개방체계 속에서는 서로가 연결된 공범(共脚)인데, 누가 누구를 비난하고 비판
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또한 상위체계로서의 성인문화는 하위체계
로서의 청소년문화와 상하위계관계 또는 수직적 위계구조 속에 있거나 아니
면 명령체계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로서의 인간문화의 생명성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 상호교환하고 상호작용하고 상호의존하는 공생과 공진화의
상보적 관계에 들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청소년문화를 비행하위문화의 범주 속에 넣고 이를 비판
한다는 것은, 현재 우리의 청소년문화가 개방체계 속에 들어 있지 않다는 사
실의 반증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방체계로서의 청소년문화를 지향하
고 또 그렇게 청소년문화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다음의 사항들이 심
각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첫째, 개방체계의 기본 원리, 즉 '투입-전환-산출-피드백'의 순환이 현재
청소년문화의 형성과정에서 어떻게 목격되고 있는가? 즉, 현재의 청소년문화
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도대체 어떠한 '투입-전환-산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자기통제기제로서의 피드백(환류, feedback)'은 과연 어떻게 이루
어지고 있는가? 개방체계는 환경과의 상호교환과 상호교류, 즉 물질, 정보 그
리고 에너지 교류의 관계가 서로 열려 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현재 우리의
청소년문화가 가지고 있는 '환경'은 과연 무엇이며, 환경과의 상호교환 및 상
호교류 그리고 피드백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아마 청소년문화
의 환경이 성인문화라고 한다면, 결국 우리의 청소년문화는 성인문화와의 상
호교환과 상호교류를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성인문화는 청소
년문화를 결코 마음대로 비판할 수도 없게 된다. 왜냐하면 체제와 환경은 상
호교환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체제와 환경은 모든 문제에 공동책임이다. 이
밖에도 꼽을 수 있는 청소년문화의 환경으로는 대중매체, 성산업, 퇴폐향락산
업 등 각종 유해환경 등이 있다. 또한 개방체계는 환경과 반투막의 경계를 통
하여 자기의 고유성을 유지한다. 그렇다면 개방체계로서의 청소년문화는 환
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어떻게 자기 문화만의 고유성을 보존할 수 있을까?
셋째, 개방체계는 '소멸하려는 경향', 즉 엔트로피의 현상을 본질로 하고 있
다. 그렇다면 우리의 청소년문화가 만약 개방체계로 거듭나야 한다면 과연
어떠한 엔트로피의 현상이 목격되고 그러한 엔트로피 현상은 어떻게 만회될 수
있을까? 아니면 청소년문화 형성에 생명성을 불어넣는 '부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는 무엇인가?
넷째, 개방체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자발적 자생성, 즉 아우토포이에시스
(Maturana & Varela)의 기능이다. 즉, 개방체계는 자발적 자생성의 기능을 통하여
엔트로피도 보충하고 자기통제적 피드백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생명성을 유
지하고 더 나아가서 생명성을 새롭게 재창조해낼다. 만약 우리의 청소년문화
가 개방체계로 형성된다면, 우리의 청소년문화는 생명성을 유지하면서 신문
화로의 창조 및 재창조가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아우토포이에시스, 즉 자발적
자생성은 '창발(emergence, 創勳)'을 가능하게 해주는 생명에의 기본 원리이기 때
문이다. 이러한 창조 또는 창발은 페쇄체계로서의 청소년문화에게서는 조금
도 기대할 수 없는 차원이다. 왜냐하면 원칙적으로 아우토포이에시스는 개방
체계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조혜영(2009). 청소년문화의 집 이용 의미와 향후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 한상철(2004). 청소년학. 학지사
- 정주원(2006).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현상에 대한 고찰. 소비문화연구
- 김종길(2007).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 박정자(2006). 로빈스 크루소의 사치: 소비사회를 사는 현대인의 정경. 기파랑
- 유진이(2008). 청소년 여가문화시설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청소년시설환경학회
- 조혜영 외(2005).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개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3.30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