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이론
4.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결과
7.고찰
8. Reference
2. 실험 목적
3.이론
4.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결과
7.고찰
8. Reference
본문내용
보다 100배 정도 크게 나왔는데 이렇게 오차가 발생한 원인은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우선 스테아르산의 분자구조가 일직선이라고 가정하고 계산했지만 실제로는 일직선이 아니라 지그재그 형태이기 때문에 탄소원자의 지름이 작게 계산되고 따라서 원자 하나의 부피가 작게 측정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 원자 하나의 부피가 작게 측적되면 아보가드로수는 그만큼 더 크게 나오게 된다.
또 다른 이유로는 스테아르산 혼합물 한 방울을 떨어트릴때 증류수로 뷰렛 보정 할 때보다 많은 양이 떨어졌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조의 경우 뷰렛 보정값이 0.050ml 이었는데 실제로 더 많은 양이 떨어졌다면 두께 계산시 0.050보다 큰 값이 대입되어야 정확한 값이 나왔을 것이다. 또 표면적 또한 커지므로 실제보다 두께가 적게 계산된다. 따라서 탄소 원자 하나의 지름이 그만큼 더 작게 측정 되었을 것이다.
또 다른 추측으로는 과량의 스테아르산이 떨어져 중간중간에 스테아르산끼리 결합하여 다층의 막을 형성했다면 이 또한 아보가드로 수 측정시 오류로 작용할 수 있었을 것 같다.
8. Reference
표준 일반 화학 실험 . 신국조외 6인. 천문각. pp 52-61
또 다른 이유로는 스테아르산 혼합물 한 방울을 떨어트릴때 증류수로 뷰렛 보정 할 때보다 많은 양이 떨어졌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조의 경우 뷰렛 보정값이 0.050ml 이었는데 실제로 더 많은 양이 떨어졌다면 두께 계산시 0.050보다 큰 값이 대입되어야 정확한 값이 나왔을 것이다. 또 표면적 또한 커지므로 실제보다 두께가 적게 계산된다. 따라서 탄소 원자 하나의 지름이 그만큼 더 작게 측정 되었을 것이다.
또 다른 추측으로는 과량의 스테아르산이 떨어져 중간중간에 스테아르산끼리 결합하여 다층의 막을 형성했다면 이 또한 아보가드로 수 측정시 오류로 작용할 수 있었을 것 같다.
8. Reference
표준 일반 화학 실험 . 신국조외 6인. 천문각. pp 5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