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 성리학의 개관
2. 성리학의 관학화와 강상윤리
3. 사림파의 선비정신
4. 심성설위주의 이론탐구
5. 예숭상의 절대화
6. 인물성동이론
7.이기론의 경화
8. 근대유학 ,실학
2. 성리학의 관학화와 강상윤리
3. 사림파의 선비정신
4. 심성설위주의 이론탐구
5. 예숭상의 절대화
6. 인물성동이론
7.이기론의 경화
8. 근대유학 ,실학
본문내용
석학을 중심으로 연구했던 학자이고, 혜강 최한기는 실학을 순수학문적 입장에서 연구했고, 실학사상을 서양의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보았다.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실학의 학문 방법론이다. 이에는 고증, 하학이상달, 박학의 방법이 있다. 하학이상달은 실재 상황의 실재성을 강조한 것이고, 상은 도달점-궁극적 목적-형이상학이며, 하는 출발점-현실적모습-형이하학이다. 백과사전은 현실속에서 실용성을 가지며, 박학다식한 지식을 모아 정리하고 열거한다. 고증학은 유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근거와 토대 속에서 정당화 했고, 현실적 방법으로 하학상달과 백과사전의 방법을 유학경전의 고증학적 방법에서 근거 짓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실학의 사상적(철학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겠다. 우선 명(名)과 실(實)의 관계를 따져보자. 성리학자들은 명분을 중시하여 명분 뒤에 실이 따라가는 것으로 보았다. 즉, 도덕규범의 실질성을 중시하여 개념이 실제한다고 본 것이다. 이는 서양의 실재론과 같은 맥락이다. 반면, 실학자들은 실을 중시하여, 명은 보편적·일반적 원리로서 존재하는 이름일 뿐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서양의 유명론과 같은 맥락이다. 그리고 우주·자연·인간 관계를 통해 실학의 사상적 특징을 살펴보자. 성리학자는 맹자식 방식으로 인간을 소우주, 우주를 대우주라 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존재와 당위의 문제를 우주에서 근거하여 찾는다. 이와 달리, 실학자들은 순자식 방식과 일맥상통하며, 인간은 우주에서 독보적·혈기적 존재라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의 존재는 우주에서 찾을 수 있지만 당위는 찾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8. 근대유학
근대유학을 역사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근대 사상의 흐름을 살펴보겠다. 우선,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겠다. 우리나라에서 근대는 개화기(1860~1910)와 일제식민지 시기(1910~1945)를 말한다. 이 시대의 특징은 제국주의가 만연해 있었다는 점과 조금씩 근대화가 되어, 서구 문물을 수용했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는 식민지 상태 (1910~1945)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자. 국내적인 관점에서는 보수 사상으로 전통 성리학(지배 계층)이 있었고, 개혁 사상으로 실학(지배 계층), 동학(피지배 계층), 개화사상(피지배 계층)이 공존해 있었다. 국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보수 사상으로 전통 성리학(지배 계층)과 동학 (피지배 계층), 개혁 사상으로 실학(지배 계층)과 개화사상(피지배 계층)이 있었다.
근대 유학에서 마지막으로 살펴볼 부분은 근대 사상의 흐름으로, 근대 사상의 전개와 일제 강점기의 사상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우선, 근대 사상의 전개는 첫째로 위정척사로 위정척사란 유교 질서를 보전하고, 외세 및 문물 침투를 배척한다는 입장이다. 이의 특징은 전통 성리학의 절대적 유지 및 계승했다는 점이고, 지지 세력은 지배계층이었다. 또한, 존화양이론에 입각한 입장이었다.
둘째로, 동도서기는 우리 전통사상인 도는 지키되, 근대 서구의 기술은 기는 받아들이자는 입장이다. 동도서기의 특징은 실학을 기반으로 전통 성리학을 비판·개혁 추구했고, 지지 세력은 지배 계층이었다는 점이다. 또한, 중체서용 및 화혼양재와 유사했다.
셋째로, 전개되었던 사상은 동학으로 이는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조선 후기 신종교이다. 동학은 유교, 불교, 도교, 고유사상에 기반을 두었고, 지지 세력은 피지배 계층이었다. 동학의 성격은 개혁적·반봉건적 성향(만민평등)이 강했으며, 서학을 부정하여 서구 문물 수용을 반대했다.
넷째로, 개화사상은 전통 질서를 타파하고,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하자는 주장의 입장으로, 실학 및 서학에 기반을 두었으며, (서학>실학) 지지 세력은 피지배 계층이었고, 급진적·개혁적·반봉건적 성향 (평등사상)이 강했다.
다음으로 일제 강점기의 사상적 관점을 성리학, 양명학, 민족고유사상, 서학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주자학의 관점에서는 전통 성리학의 반성을 통한 개혁을 주장했으며, 중심 인물은 이병헌과 이진상이었다. 양명학의 관점에서도 주자학의 관점과 비슷하게, 전통 성리학의 비판과 반성을 통한 개혁을 주장했고, 박은식과 정인보 등의 인물이 중심이 되었다. 또한, 민족고유사상은 신채호와 최남선 등과 같은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민족의 주체성 회복을 추구했던 관점이었다. 그리고 서학의 관점에서는 유형모, 함석헌 같은 인물들이 교육을 통한 민족 운동 전개를 주장했다. 이렇게 근대유학은 전개되다가, 광복이후에는 정치 이데올로기적 흐름으로 바뀐다.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실학의 학문 방법론이다. 이에는 고증, 하학이상달, 박학의 방법이 있다. 하학이상달은 실재 상황의 실재성을 강조한 것이고, 상은 도달점-궁극적 목적-형이상학이며, 하는 출발점-현실적모습-형이하학이다. 백과사전은 현실속에서 실용성을 가지며, 박학다식한 지식을 모아 정리하고 열거한다. 고증학은 유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근거와 토대 속에서 정당화 했고, 현실적 방법으로 하학상달과 백과사전의 방법을 유학경전의 고증학적 방법에서 근거 짓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실학의 사상적(철학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겠다. 우선 명(名)과 실(實)의 관계를 따져보자. 성리학자들은 명분을 중시하여 명분 뒤에 실이 따라가는 것으로 보았다. 즉, 도덕규범의 실질성을 중시하여 개념이 실제한다고 본 것이다. 이는 서양의 실재론과 같은 맥락이다. 반면, 실학자들은 실을 중시하여, 명은 보편적·일반적 원리로서 존재하는 이름일 뿐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서양의 유명론과 같은 맥락이다. 그리고 우주·자연·인간 관계를 통해 실학의 사상적 특징을 살펴보자. 성리학자는 맹자식 방식으로 인간을 소우주, 우주를 대우주라 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존재와 당위의 문제를 우주에서 근거하여 찾는다. 이와 달리, 실학자들은 순자식 방식과 일맥상통하며, 인간은 우주에서 독보적·혈기적 존재라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의 존재는 우주에서 찾을 수 있지만 당위는 찾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8. 근대유학
근대유학을 역사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근대 사상의 흐름을 살펴보겠다. 우선,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겠다. 우리나라에서 근대는 개화기(1860~1910)와 일제식민지 시기(1910~1945)를 말한다. 이 시대의 특징은 제국주의가 만연해 있었다는 점과 조금씩 근대화가 되어, 서구 문물을 수용했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는 식민지 상태 (1910~1945)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자. 국내적인 관점에서는 보수 사상으로 전통 성리학(지배 계층)이 있었고, 개혁 사상으로 실학(지배 계층), 동학(피지배 계층), 개화사상(피지배 계층)이 공존해 있었다. 국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보수 사상으로 전통 성리학(지배 계층)과 동학 (피지배 계층), 개혁 사상으로 실학(지배 계층)과 개화사상(피지배 계층)이 있었다.
근대 유학에서 마지막으로 살펴볼 부분은 근대 사상의 흐름으로, 근대 사상의 전개와 일제 강점기의 사상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우선, 근대 사상의 전개는 첫째로 위정척사로 위정척사란 유교 질서를 보전하고, 외세 및 문물 침투를 배척한다는 입장이다. 이의 특징은 전통 성리학의 절대적 유지 및 계승했다는 점이고, 지지 세력은 지배계층이었다. 또한, 존화양이론에 입각한 입장이었다.
둘째로, 동도서기는 우리 전통사상인 도는 지키되, 근대 서구의 기술은 기는 받아들이자는 입장이다. 동도서기의 특징은 실학을 기반으로 전통 성리학을 비판·개혁 추구했고, 지지 세력은 지배 계층이었다는 점이다. 또한, 중체서용 및 화혼양재와 유사했다.
셋째로, 전개되었던 사상은 동학으로 이는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조선 후기 신종교이다. 동학은 유교, 불교, 도교, 고유사상에 기반을 두었고, 지지 세력은 피지배 계층이었다. 동학의 성격은 개혁적·반봉건적 성향(만민평등)이 강했으며, 서학을 부정하여 서구 문물 수용을 반대했다.
넷째로, 개화사상은 전통 질서를 타파하고,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하자는 주장의 입장으로, 실학 및 서학에 기반을 두었으며, (서학>실학) 지지 세력은 피지배 계층이었고, 급진적·개혁적·반봉건적 성향 (평등사상)이 강했다.
다음으로 일제 강점기의 사상적 관점을 성리학, 양명학, 민족고유사상, 서학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주자학의 관점에서는 전통 성리학의 반성을 통한 개혁을 주장했으며, 중심 인물은 이병헌과 이진상이었다. 양명학의 관점에서도 주자학의 관점과 비슷하게, 전통 성리학의 비판과 반성을 통한 개혁을 주장했고, 박은식과 정인보 등의 인물이 중심이 되었다. 또한, 민족고유사상은 신채호와 최남선 등과 같은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민족의 주체성 회복을 추구했던 관점이었다. 그리고 서학의 관점에서는 유형모, 함석헌 같은 인물들이 교육을 통한 민족 운동 전개를 주장했다. 이렇게 근대유학은 전개되다가, 광복이후에는 정치 이데올로기적 흐름으로 바뀐다.
추천자료
- 한국의 행정가치와 행정윤리에 관한 연구 ( 행정철학 행정개혁 행정관료 )
- 대학생활, 고통, 이별-한국사상의 이해
- '한국철학사' 부산대학교 출판, 김승동 지음. 책 요약 정리
- 한국의 사회복지사윤리강령과 공무원윤리강령의 비교
-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 [현대사회][한국][현대]현대사회 가족형태, 현대사회 가정교육, 현대사회 전통계승, 현대사회...
-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연구 문제(윤리문제, 국익문제, 특허문제)-(한국사회문제 E형)
- 전남대학교 문영식교수님 서양윤리학노트필기
-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1강,2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4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기도, 그리스도교(기독교) 윤리, 그리스도교(기독교) 음식문화, 그리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_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학년 1학기 과제. 교육공학. 공통
- 장기이식의의 종류와 최초이식, 우리나라(한국)와 외국의 장기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적 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