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 부산대학교 출판, 김승동 지음. 책 요약 정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철학사' 부산대학교 출판, 김승동 지음. 책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상·음향오행설 등의 제요소가 혼합. 장릉(張陵) 이후 체계화 됨.
3) 고구려 말기 - 도교에 의해 불교세력 위축
신라 - 한편 당나라와 문물교류가 성하던 신라는 도교가 유행
삼국시대 - 불교의 위세에 압도되어, 부분적으로 불교사회 속에 침투되는 데 그침.
통일신라 - 무속신앙과 중국의 오두미교적(五斗米狡的) 요소가 혼합하여 바탕을 이루고, 그 위에 참위사상 등을 혼융한 도교로 환영 받음. 선인신앙
고려 - 종교다운 도교로 예종2년 왕이 믿고 달마다 제사를 지냄.
ㅡ> 그러나 도교는 국가와 임금의 기축(祈祝)에 그칠 뿐, 일반 민중의 종교에까지 발전되지 못하고 성신신앙(星辰信仰)·부적(符籍)사용·경신(庚申)을 지킨 것 등 민속화 했을 뿐임.
제 5장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불교사상(佛敎思想)
1.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불교사상(佛敎思想)
1)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태조 왕권 - 불교를 국가창건의 대도(大道)며, 국민광제(國民廣濟) 의 대교로서 숭신함
2) 불교를 숭신한 이유 - 도선(道詵)의 영향
3) 고려불교의 한 특색 - 진호(鎭護)국가와 비보산천(裨補山川)
① 고려일대의 불교를 저속하게 만드는 요인(요승이 나타나 세상 을 어지럽히고 불법을 흐리가 하는 사례)
② 고려 대장경(大藏經)과 같은 거대한 민족문화 사업 이룩함.
4) 대각국사(大覺國師)이전(以前) - 6종파가 학종으로 존재, 대각국사(大覺國師)이후 - 5교종과 천태종을 합쳐 7종파로 됨.
5) 교종(敎宗) - 신라 말부터 갑자기 성하기 시작한 선법의 영황으로 교종 제학(諸學)이 빛을 감춘 느낌이 없지 않으나, 화엄교학(華嚴敎學)은 여전히 세력을 잃지 않음.
6) 화엄교학(華嚴敎學) - 고려일대를 통하여 선종(禪宗) 교종(敎宗)을 막론하고 많이 연구되고 중시
7) 천태종(天台宗) - 중국에서 창종(創宗)된 것으로 교종이 하나였으나, 고려에서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숙종 2년에 세워진 국청사에 주지가 되어 천태교관을 개강한 뒤부터 개립을 본 이래(以來) 선종의 하나로 취급됨.
8) 조계종(曹溪宗) - 신라 말에 전래되기 시작했던 중국 선종의 남도선(南頓禪)이 고려초 쯤에 구산문파(九山門派)를 형성하여 선적종(禪寂宗)으로 통칭 되어 왔던 것, 지눌에 의하여 한국 특유의 종지가 확립되어 내면적 통일과, 공민왕 5년 보우(普愚)에 의하여 외면적 통일
2. 체관(諦觀)의 천태사고의(天台四敎義)
1) 천태종(天台宗) - 지(智)의를 개종하는 종파
2) 고려에서 천태종이 숭앙된 이유
①‘회삼귀일(會三歸一)’의 사상으로 삼국통일의 정치적 조건과 종교사상을 일치시켜야 한 다고 생각했기 때문
② 천태사상(天台思想) - 호국적 불교관을 갖추고 있기 때문
③ 일승사상이 고려인 마음에 들었기 때문
3) 천태사교의(天台四敎義) 일권(一券) - 체관의 저서로, 천태학의 기초, 기본사상을 기술한 천태학의 입문서(入門書), 한국·중국·일본 등지의 불교인 사이에서 널리 이용, 천태학의 요지를 교관이문(敎觀二門)으로 보고, 교문을 오시팔교(五侍八敎), 관문은 이십오방편(二十五方便) 및 십승관법(十僧灌法)
3. 의천(義天)의 교관겸수사상(敎觀兼修思想)
1) 시호 - 대각국사(大覺國師), 문종의 넷째아들
2) 교선일치(敎禪一致) 주장 - 고려의 불교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으로 갈라져 대립 중
3) 천태종(天台宗)의 개조(開祖) - 화엄종인 규봉(圭峰)의 학설로 고려의 교종을 통일한 후, 선종의 교리에 입각, 천태종을 개창하여 선종의 종파를 통합
4) 원효(元曉)의 중심사상인 일불승(一佛乘)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원리에 입각하여 고려불교의 융합을 실현
5) 한국불교 발전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김. 유학(儒學)에도 정통함.
6) 교관겸수사상 - 교(敎)와 관(觀)을 함께 닦는다는 뜻이며, 불교의 교리와 실천수행법인 지관(止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고려시대의 천태종을 중심으로 실천
4. 묘청(妙淸)의 팔성사상(八聖思想)
1) 풍수지리설의 대가(大家), 도참설(圖讖說)을 이용하여 중앙정계에 진출하였다
2) 팔성사상 - 고유의 산신숭배와 불교·유교·팔관·음양지리 등의 사상을 절충하여 팔성당을 만들어 불교를 호국리국의 신앙으로 토착화화고, 국가의 수호신화하려고 꾀함.
3) 혁신사상 - 개경의 지덕(地德)이 쇠하기 때문에 국운을 융성케 하려면 지덕이 왕성한 서경(西京)으로 천도해야 한다고 주장
4) 자주자상 - 칭제권원과 금국정벅(金國征伐)을 건의, 중국에 대한 사대(事大) 관계를 청산하고 완전한 자주독립국가로서 대륙을 진출하려는 강력한 욕구 → 자주정신을 엿볼 수 있음
ㅡ> 김부식 등의 반대세력에 의해 실현되지 못함
5. 지눌(知訥)의 정혜쌍수사상(定慧雙手思想)
1) 시호 - 불일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2) 조계종(曹溪宗) 개조(開祖) - 양종(兩宗)합일의 새 종파를 창설하는 기초를 만듬, 대장경(大藏經)을 열독(閱讀)하고 선종으로써 교종을 융섭(瀜攝)하고자 함.
3) 돈오점수(頓悟漸修) 강조 - 불교에서 돈오(頓悟), 즉 문득 깨달음에 이르는 경지에 이르기까지에는 반드시 점진적 수행단계가 따른다는 말, 깨우치지 못하고 수행만 한다면 그것은 참된 수행이 아니라 하여 선오후수의 입장을 강조
4) 정혜쌍수(定慧雙手) - 정혜쌍수는 선과 교학을 나란히 수행하되 선을 중심으로 교학을 포용하자는 이론, 교관겸수와는 반대되는 이론
ㅡ> 돈오점수·정혜쌍수·무념무사의 수행은 궁극에 보현행(普賢行)으로 실현에 둔다고 봄.
6. 요세(了世)의 결사염불(結社念佛)
1) 백련결사(白蓮結社) - 천태종에 사상적 뿌리가 있고, 송초(宋初) 지례(智禮)의 결사염불에서 지내던 일상생활의 청규(淸規)와도 밀접한 관계성을 지님.
2) 참회(懺悔)와 정토(淨土) 강조
3) 천태사상에 전제된 근기는 죄장심후(罪障深厚)하여 자력으로는 도저히 해탈할 수 없는 나약한 범부중생(凡夫衆生)이라 함.
4) 법화삼매(法華三昧)를 닦아 참회멸죄(懺悔滅罪)하여 보현보살 등을 득견하는 방법
7. 일연(一然)의 자주(自主)사상
1) 보조국사 지눌의 사상계통에 속함.
2) 삼국유사(三國遺事) 5권
① 고구려·신라·백제 등 3국에만 그치지 않고, 고조선 이하 다른 나라들까지 옮겨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6.2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