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베니건스 선정동기
II. 본론
1. 회사소개
1) 비 전
2) Bennigan's Consept
3) 세계속의 BENNIGAN`S
2. 환경분석
1) 외식산업에 대한 분석
2) 외식산업에 새로운 환경변화
(1) 시장변화
(2)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환경의 변화
3) 경쟁사 분석
(1)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2) 빕스(VIPS)
(3) T.G.I Friday's
3. 베니건스 분석
1) 시장기회분석 (STP분석)
(1)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2) 표적시장선정 (Targeting)
(3) 포지셔닝 (Positioning)
2) 마케팅믹스 4P‘s
(1) 제품전략 (Product)
(2) 가격전략 (Price)
(3) 유통전략 (Place)
(4) 촉진전략 (Promotion)
Ⅲ. 결 론
1. 마케팅 대안 제시
2. 베니건스 파산과 한국베니건스
3. 동향분석
(1) Bennigan's
(2) Bennigan's&Market 0
(3) Bennigan's online
1. 베니건스 선정동기
II. 본론
1. 회사소개
1) 비 전
2) Bennigan's Consept
3) 세계속의 BENNIGAN`S
2. 환경분석
1) 외식산업에 대한 분석
2) 외식산업에 새로운 환경변화
(1) 시장변화
(2)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환경의 변화
3) 경쟁사 분석
(1)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2) 빕스(VIPS)
(3) T.G.I Friday's
3. 베니건스 분석
1) 시장기회분석 (STP분석)
(1)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2) 표적시장선정 (Targeting)
(3) 포지셔닝 (Positioning)
2) 마케팅믹스 4P‘s
(1) 제품전략 (Product)
(2) 가격전략 (Price)
(3) 유통전략 (Place)
(4) 촉진전략 (Promotion)
Ⅲ. 결 론
1. 마케팅 대안 제시
2. 베니건스 파산과 한국베니건스
3. 동향분석
(1) Bennigan's
(2) Bennigan's&Market 0
(3) Bennigan's online
본문내용
에 2~3회 이상이 36.6%로 답했다. 이어 한 달에1회 정도가 13.3%, 1년에 3~5회가 1.3%로 나타났으며 외식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2% 있었다. 이번 조사 결과 특이할 만한사항은 이전의 조사에서는 한 달에 2~3회 한다는 응답이 항상 가장 높았으나, 2006년 소비자 외식성향 조사에서는 일주일에 한번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아 역전현상을 보인 것이다.
이는 과거에는 외식을 특별한 날에 하는 경향이 높았지만 요즈음은 외식이 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외식을 하는 빈도가 높았다. 여성의 경우 1주일에 1회 이상이 46.8%였으나 남성은 43.9%였으며 한 달에 2~3회도 여성은37.6%, 남성은 35.0%로 답해 적어도 한 달에 2~3회 외식을 하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5.5% 정도 높게 나타났다.
외식이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자리매김
외식 시 주로 동반하는 사람으로는 가족이 3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친구 34.3%, 연인 12.3%, 직장동료 11.7%, 비즈니스와 기타가 각각 1.6%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20대는 주로 친구와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54.1%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는 가족이 각각 56.4%, 83.3%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회사원, 자영업, 서비스직 등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모두 가족과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단연 높았으나 학생층에서만 친구와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57.1%를 보였다.
외식을 하는 이유로는 각종 모임 참가 등 타인과의 관계를 위해서 외식을 한다는 비율이 42.4%, 특별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가 29.9%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념을 위해서는 4.2%에 불과했다. 한편 편의성, 편리성 때문에 외식을 한다는 응답도 19.6%에 달했다. 따라서 외식이 더 이상 기념일이나 특별한 날에 하는 것이 아닌 인간관계 등 커뮤니케이션의 수단 혹은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의 경우 대인관계를 위해서 외식을 한다는 비율이 각각 50.7%, 37.6%로 활동 지향적이며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외식패턴을 보였으나, 40~50대는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 외식을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주 5일 혹은 격주 5일제 근무 실시 이후 외식 증가
주 5일제 근무와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41.6%가 주 5일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주 6일제가 25.9%, 격주 5일제가 22.2%, 기타가 10.2%였다. 주 5일 근무 혹은 격주 5일제 근무를 실시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 가운데 실시 이전과 이후 외식패턴의 변화에 대해 물어본 결과 50.2%는 예전과 비슷하다고 답했으나 40.2%는 예전보다 외식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했으며, 외식보다는 포장음식 또는 배달음식 이용 횟수가 증가했다는 대답도 10.2% 있었다.
성별로는 남성은 예전보다 외식 횟수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52.4%로 가장 높았으나 여성은 예전과 비슷하다는 답이 58.8%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는 예전과 비슷하다는 답이 60.5%로 가장 높았고, 30대와 40대는 예전보다 외식 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47.0%, 55.6%로 높게 나타났다. 가계소득별로는 200만원 이하에서는 예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많았고 200만원 이상에서는 예전보다 증가했다는 답이 많았다.
한편 만일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될 경우 외식패턴의 변화에 대한 물음에는 지금보다 외식 횟수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6.4%,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는 답이 30.9%, 포장 및 배달음식 이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답이 10.9%로 나타났으며,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답도 1.8% 있었다.
(2)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환경의 변화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이용 증가
각 업계의 프리미엄 브랜드는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즉 경기위축은 지속되지만 소비자들의 가치소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프리미엄급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폭되어 시장의 세분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웰빙 트랜드
2002년경 태동을 보이던 well-being코드는2003년 먹거리에서 그 의미를 더해 의ㆍ식ㆍ주 전반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문화가 됐다. 2006년에도 이러한 웰빙 트랜드의 열풍이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메뉴개발의 초점은 웰빙으로 유기농 식재료를 이용한 오가닉 푸드나 오가닉 커피, 요거트와 허브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호밀, 보리를 이용한 베이커리 아이템 등 타 웰빙 메뉴와 차별화된 메뉴 개발을 위해 기존에 흔히 사용하지 않았던 식재료를 가지고 메뉴를 개발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건강음료도 대거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 고객의 소비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냉장육 사용이 증가되듯 육류뿐 아니라 각 메뉴마다 최고 등급의 품질을 내세울 수 있는 식재료를 사용한 메뉴개발로 메뉴의 질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간 경쟁의 가속화
외식산업 경쟁이 가속화 되면서 외식업도 블루오션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에 대한 충성고객 확보이다. 특히 온라인을 통한 프로모션이 증대되면서 주요 포털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와의 전략적 제휴가 프로모션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이며 온라인에서의 선점이 오프라인 매장의 고객 유입과 직결되어 온라인 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3) 경쟁사 분석
현재 패밀리 레스토랑업계는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와 “빕스”, 그리고 “T.G.I 프라이데이스(이하 T.G.I)”와 “베니건스”가 각각 경쟁을 벌이는 형상으로 매출액(연 매출 1천억원 이상)과 점포수에 있어 이들 4개 업체를 선두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아웃백”은 점유율 27.33%로 1위를 달리고 있고, 2위는 20.46%의 “빕스”, 3위는 12.62%의 “베니건스” 4위는 11.85%의 “T.G.I”이다.
지난해 말 80개 매장에서 2200억원의 매출을 올린 아웃백은 21개 점포를 추가해 총 90개 점포에서 27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웃백의 뒤를 바짝
이는 과거에는 외식을 특별한 날에 하는 경향이 높았지만 요즈음은 외식이 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외식을 하는 빈도가 높았다. 여성의 경우 1주일에 1회 이상이 46.8%였으나 남성은 43.9%였으며 한 달에 2~3회도 여성은37.6%, 남성은 35.0%로 답해 적어도 한 달에 2~3회 외식을 하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5.5% 정도 높게 나타났다.
외식이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자리매김
외식 시 주로 동반하는 사람으로는 가족이 3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친구 34.3%, 연인 12.3%, 직장동료 11.7%, 비즈니스와 기타가 각각 1.6%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20대는 주로 친구와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54.1%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는 가족이 각각 56.4%, 83.3%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회사원, 자영업, 서비스직 등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모두 가족과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단연 높았으나 학생층에서만 친구와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57.1%를 보였다.
외식을 하는 이유로는 각종 모임 참가 등 타인과의 관계를 위해서 외식을 한다는 비율이 42.4%, 특별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가 29.9%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념을 위해서는 4.2%에 불과했다. 한편 편의성, 편리성 때문에 외식을 한다는 응답도 19.6%에 달했다. 따라서 외식이 더 이상 기념일이나 특별한 날에 하는 것이 아닌 인간관계 등 커뮤니케이션의 수단 혹은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의 경우 대인관계를 위해서 외식을 한다는 비율이 각각 50.7%, 37.6%로 활동 지향적이며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외식패턴을 보였으나, 40~50대는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 외식을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주 5일 혹은 격주 5일제 근무 실시 이후 외식 증가
주 5일제 근무와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41.6%가 주 5일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주 6일제가 25.9%, 격주 5일제가 22.2%, 기타가 10.2%였다. 주 5일 근무 혹은 격주 5일제 근무를 실시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 가운데 실시 이전과 이후 외식패턴의 변화에 대해 물어본 결과 50.2%는 예전과 비슷하다고 답했으나 40.2%는 예전보다 외식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했으며, 외식보다는 포장음식 또는 배달음식 이용 횟수가 증가했다는 대답도 10.2% 있었다.
성별로는 남성은 예전보다 외식 횟수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52.4%로 가장 높았으나 여성은 예전과 비슷하다는 답이 58.8%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는 예전과 비슷하다는 답이 60.5%로 가장 높았고, 30대와 40대는 예전보다 외식 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47.0%, 55.6%로 높게 나타났다. 가계소득별로는 200만원 이하에서는 예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많았고 200만원 이상에서는 예전보다 증가했다는 답이 많았다.
한편 만일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될 경우 외식패턴의 변화에 대한 물음에는 지금보다 외식 횟수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6.4%,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는 답이 30.9%, 포장 및 배달음식 이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답이 10.9%로 나타났으며,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답도 1.8% 있었다.
(2)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환경의 변화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이용 증가
각 업계의 프리미엄 브랜드는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즉 경기위축은 지속되지만 소비자들의 가치소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프리미엄급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폭되어 시장의 세분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웰빙 트랜드
2002년경 태동을 보이던 well-being코드는2003년 먹거리에서 그 의미를 더해 의ㆍ식ㆍ주 전반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문화가 됐다. 2006년에도 이러한 웰빙 트랜드의 열풍이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메뉴개발의 초점은 웰빙으로 유기농 식재료를 이용한 오가닉 푸드나 오가닉 커피, 요거트와 허브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호밀, 보리를 이용한 베이커리 아이템 등 타 웰빙 메뉴와 차별화된 메뉴 개발을 위해 기존에 흔히 사용하지 않았던 식재료를 가지고 메뉴를 개발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건강음료도 대거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 고객의 소비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냉장육 사용이 증가되듯 육류뿐 아니라 각 메뉴마다 최고 등급의 품질을 내세울 수 있는 식재료를 사용한 메뉴개발로 메뉴의 질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간 경쟁의 가속화
외식산업 경쟁이 가속화 되면서 외식업도 블루오션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에 대한 충성고객 확보이다. 특히 온라인을 통한 프로모션이 증대되면서 주요 포털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와의 전략적 제휴가 프로모션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이며 온라인에서의 선점이 오프라인 매장의 고객 유입과 직결되어 온라인 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3) 경쟁사 분석
현재 패밀리 레스토랑업계는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와 “빕스”, 그리고 “T.G.I 프라이데이스(이하 T.G.I)”와 “베니건스”가 각각 경쟁을 벌이는 형상으로 매출액(연 매출 1천억원 이상)과 점포수에 있어 이들 4개 업체를 선두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아웃백”은 점유율 27.33%로 1위를 달리고 있고, 2위는 20.46%의 “빕스”, 3위는 12.62%의 “베니건스” 4위는 11.85%의 “T.G.I”이다.
지난해 말 80개 매장에서 2200억원의 매출을 올린 아웃백은 21개 점포를 추가해 총 90개 점포에서 27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웃백의 뒤를 바짝
추천자료
정통 이탈리안 패밀리 레스토랑 (사업계획서)
한국 패밀리 레스토랑의 고객분석 및 주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패밀리 레스토랑 VIPS의 성공요인을 찾아라!
패밀리 레스토랑의 서비스 차별화 전략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쟁우위 전략에 대하여
영국시장분석과 패밀리 레스토랑의 영국시장진출전략
패밀리 레스토랑의 동기부여 정책 현황과 그 평가
패밀리 레스토랑의 세일즈 프로모션
패밀리 레스토랑 마르쉐의 기업 소개와 마케팅전략 분석
[사회과학] 패밀리 레스토랑의 세일즈 프로모션
패밀리 레스토랑
패밀리 레스토랑(아웃배, TGI)실제 경영사례, 시장 분석 및 동기부여 요소 분석, 평가
패밀리 레스토랑 로고
패밀리 레스토랑의 입지 요인,아웃백(OUTBACK),티지아이(T.G.I 프라이데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