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의 이해 8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도적이 의적이 되는 세상
2. 사림이 정치의 중심에 서다
3.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4. 북벌이냐, 북학이냐?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착하면서 새로운 모습을 띠었다. 1597년에는 일본이 휴전 회담을 깨고 다시 쳐들어왔다. 그러나 조선도 그 사이 군비를 갖춰 육지와 바다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4. 북벌이냐, 북학이냐?
수많은 사람이 죽고 농토의 대부분이 황폐해진 마당에 나라를 전쟁 이전으로 복구하는 것은 참으로 힘들었다. 여진족이 세력을 길러 후금을 세웠으며, 명이 이를 제압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광해군은 이 전쟁에 끼어들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군대를 보내라는 명의 요구에 거절할 명분이 마땅치 않았다. 결국 광해군은 명의 요청대로 군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광해군은 이들의 주장을 수용하는 척하면서 나라의 이익을 지키는 외교적인 중립 정책을 계속 펴 나갔다. 광해군의 중립 외교를 반대하는 사람도 암ㅎ았다. 정권을 잡은 서인 세력은 명의 편에 서서 후금을 배척하는 외교 정책을 폈다. 그러자 후금은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을 침략하였으며, 특히 1636년에는 씻기 어려운 치욕을 남겼다.
1637년 1월 30일, 차가운 북풍이 몰아치는 가운데 조선의 왕은 삼전도에 나와 침략자를 향하여'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항복의식을 치렀다.
참고문헌: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5.22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