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농구의 역사
2. 근대 체육의 도입
3. 한국 농구의 태동
4. 중등 농구의 발전
5. 대학농구의 시작
6. 조선농구협회의 창립
7. 한국 농구의 활약
8. 농구의 대중화
9. 농구대잔치
10. 프로농구
- 프로농구 출범 이 후의 용병의 장점과 문제점
<보충자료>
한국농구경기의 변천과정
한국 농구의 발전
한국과 일본농구계의 영원한 은인 이상백(李相佰)박사
◎ 참고문헌
2. 근대 체육의 도입
3. 한국 농구의 태동
4. 중등 농구의 발전
5. 대학농구의 시작
6. 조선농구협회의 창립
7. 한국 농구의 활약
8. 농구의 대중화
9. 농구대잔치
10. 프로농구
- 프로농구 출범 이 후의 용병의 장점과 문제점
<보충자료>
한국농구경기의 변천과정
한국 농구의 발전
한국과 일본농구계의 영원한 은인 이상백(李相佰)박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팀 소년야구를 벌써 시작한다. 또 1915년 대구고보에 입학하면서는 연식정구 선수가 되어 정구코트에 나가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였다. 1920년 3월 대구고보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21년 와세다대학 고등학원에 들어간 이상백은 방학을 이용하여 \"고국방문 정구원정단\"을 조직하여 전국순회경기를 하기도 하였다. 그는 구미의 신사상, 신학문에 심취하게 되고 대학시절 농구선수출신 미국인교수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당시 일본농구는 농구가 처음으로 소개되기 시작하는 초보적 단계에 있을 때였다. 이상백은 미국인 교수를 만나면서부터 Y M C A간사들과 농구의 발전방안을 연구하면서 몸소 선수가 된다.
그가 농구선수로서 비교적 용이하게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인 교수의 각별한 지도도 있었지만 신장이 184cm로 비교적 농구선수로서의 신체적 조건이 적합했기 때문이었다. 3년 후 와세다대학 고등학원을 졸업하고 1924년 동대학 문학부에 들어가 이 대학에 농구부를 창설하고 주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1927년 와세다대학 농구팀을 인솔, 주장겸 감독으로 미국원정을 떠나게 되어 이상백은 전일본 스포츠계에 화제의 인물이 되기 시작한다.
당시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서 미국 원정이라는 계획은 일대 모험이나 다름없었다. 그리하여 이상백은 팀의 주장겸 감독일 뿐만 아니라 경기, 경리, 총무 등 1인 5역의 역을 맡게되었다. 미국을 약 2개월간 여행하면서 경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때로는 Y M C A숙박시설을 이용하기도 하면서 또 때로는 미국 초청 대학의 융숭한 대접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미국의 지방도시를 순회할 때는 스포츠 친선사절로서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기도 하였다. 중요한 것은 일본의 대학팀이 최초로 농구의 본산지 미국을 방문, 장장 2개월 간의 원정경기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왔다는 사실로 일본 스포츠계에 일대 충격을 준 사건이었고 이를 성사시킨 이상백은 일본 스포츠계의 총아로 부상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28년 그는 1930년 동경에서 열리게 될 극동대회 조직을 위한 준비위원으로 추천된다. 이 대회는 당시 일본, 중국, 필리핀이 돌아가면서 2년마다 개최하는 종합 국제경기였다. 또한 이상백의 주도하에 1930년 일본농구협회가 발의, 창설되고 그는 상무이사로 취임한다. 농구협회를 창설하여 일본체육협회의 단체회원으로 가입이 되자 이상백은 같은 해 일본체육협회 창립사상 최연소 이사로 발탁되었는데 이때의 나이는 27세였다.
한편 미국원정에서 돌아온 이상백은 일본농구계에서는 저명한 농구지도가로 알려져 농구지도 요청이 전국에서 쇄도한다. 이 때 저술한 지도농구이론(指導籠球理論)과 실제(實際)라는 3백 10여 페이지로 된 농구교본이 일본어로 출판(當時 春陽堂)되었는데 농구 지도자들에게는 절호의 지침서가 되었고 미국에서도 그 내용의 일부를 인용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 책은 그의 고집으로 재판을 끝으로 절판이 되었다.
이상백의 일제하의 올림픽운동
이상백은 1932년 L A올림픽에 일본대표단의 중책을 맡은 본부 임원으로 참가하여 이 대회 기간중 국제올림픽 인사들과의 섭외활동을 능숙하게 하였고, 이러한 능력을 인정한 일본체육협회는 귀국 즉시 그를 상무이사로 발탁하였다. 이어 3년 후인 1935년에는 일본체육협회의 행정의 최고 사령탑인 전무이사로 선임되었다. 한편, 1932년 L A올림픽 때 마라톤에 권태하, 김은배, 그리고 복싱의 황을수 등 세 선수가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는데, 그 이면에는 이상백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기도 하다. 또 한 예로 권태하씨가 경찰의 도항(渡航)증명서 없이 부산을 떠나 일본 시모노세키(下關)에 내리자 일본경찰이 트집잡아 격투가 벌어졌다. 이 사실을 안 이상백은 일본경시청에 즉각 항의, 경시청은 정중히 공식사과를 했고 관련 경관은 처벌하였다고 한다.
이상백은 올림픽의 경기기술과 조직 운영 면에서도 이론과 실제적인 면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가졌다. 그것은 농구경기를 올림픽에 추가하는 계획으로 1931년부터 벌써 이 운동을 추진한 것이다. L A올림픽대회에 참가했을 당시 미국농구의 권위자라고 하는 켄사스대학 교수인 알렌박사와 구체적인 사전협의를 하고 돌아왔다. 이후 농구가 1936년 제 11회 베를린올림픽경기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는데 그 추진 배후에는 아시아의 이상백, 미국농구의 대부인 알렌박사, 그리고 1976년 사망할 때까지 국제농구연맹(F I B A) 사무총장을 지낸 영국의 윌리암 존스, 이 세 사람의 공동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농구가 처음으로 채택된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 일본농구팀이 바로 참가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전적으로 이상백의 영향력이었음을 입증하고도 남는다. 일본농구팀에는 한국인으로 이성구(李性求) 염은현(廉殷鉉) 장이진(張利鎭)등 3명의 연희전문출신 선수가 참가할 수 있었는데 이 역시 이상백의 힘이 컸다고 한다. 이상백은 1936년 베를린올림픽대회에 일본대표단의 총무로 참가했는데 선수단의 단장은 당시 일본의 경우 단순한 명예직인데 반하여 총무라는 직책은 실제 선수단의 모든 운영의 실권을 가진 책임 있는 자리인 것이었다. 이상백은 베를린올림픽대회에도 한국선수들이 많이 선발되도록 배후에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농구는 3명으로 비교적 많이 선발되었지만 축구에서는 국내에서 상호중상, 견제하는 바람에 김용식(金容植)한 사람밖에 선발되지 못하였다. 이상백은 훗날 축구 선발에 더 많은 한국인이 들지 못한 데 대해서 크게 섭섭했다는 술회를 한적이 있다.
마라톤에서는 1차 예선에서 세계기록을 돌파한 손기정(孫基禎)선수를 확정하였으나, 최종예선에서 뜻밖의 1위를 차지한 남승룡(南昇龍)선수의 선발여부가 말썽이 되었다. 이상백은 나타난 기록과 실력대로 뽑아야 한다고 역설하였지만 끝내 베를린 현지에서 최종선발전(일본선수 2명 포함)을 치룬 끝에 손기정, 남승룡선수가 선발되어 손기정선수가 신기록으로 우승하고, 남선수가 3위에 입상하여 한국인의 명예를 세계에 알리었다. 일본은 1932년부터 1940년의 제 12회 올림픽을 일본에 유치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일본체육협회 전무이사인 이상백은 동경올림픽 유치 기
그가 농구선수로서 비교적 용이하게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인 교수의 각별한 지도도 있었지만 신장이 184cm로 비교적 농구선수로서의 신체적 조건이 적합했기 때문이었다. 3년 후 와세다대학 고등학원을 졸업하고 1924년 동대학 문학부에 들어가 이 대학에 농구부를 창설하고 주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1927년 와세다대학 농구팀을 인솔, 주장겸 감독으로 미국원정을 떠나게 되어 이상백은 전일본 스포츠계에 화제의 인물이 되기 시작한다.
당시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서 미국 원정이라는 계획은 일대 모험이나 다름없었다. 그리하여 이상백은 팀의 주장겸 감독일 뿐만 아니라 경기, 경리, 총무 등 1인 5역의 역을 맡게되었다. 미국을 약 2개월간 여행하면서 경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때로는 Y M C A숙박시설을 이용하기도 하면서 또 때로는 미국 초청 대학의 융숭한 대접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미국의 지방도시를 순회할 때는 스포츠 친선사절로서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기도 하였다. 중요한 것은 일본의 대학팀이 최초로 농구의 본산지 미국을 방문, 장장 2개월 간의 원정경기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왔다는 사실로 일본 스포츠계에 일대 충격을 준 사건이었고 이를 성사시킨 이상백은 일본 스포츠계의 총아로 부상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28년 그는 1930년 동경에서 열리게 될 극동대회 조직을 위한 준비위원으로 추천된다. 이 대회는 당시 일본, 중국, 필리핀이 돌아가면서 2년마다 개최하는 종합 국제경기였다. 또한 이상백의 주도하에 1930년 일본농구협회가 발의, 창설되고 그는 상무이사로 취임한다. 농구협회를 창설하여 일본체육협회의 단체회원으로 가입이 되자 이상백은 같은 해 일본체육협회 창립사상 최연소 이사로 발탁되었는데 이때의 나이는 27세였다.
한편 미국원정에서 돌아온 이상백은 일본농구계에서는 저명한 농구지도가로 알려져 농구지도 요청이 전국에서 쇄도한다. 이 때 저술한 지도농구이론(指導籠球理論)과 실제(實際)라는 3백 10여 페이지로 된 농구교본이 일본어로 출판(當時 春陽堂)되었는데 농구 지도자들에게는 절호의 지침서가 되었고 미국에서도 그 내용의 일부를 인용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 책은 그의 고집으로 재판을 끝으로 절판이 되었다.
이상백의 일제하의 올림픽운동
이상백은 1932년 L A올림픽에 일본대표단의 중책을 맡은 본부 임원으로 참가하여 이 대회 기간중 국제올림픽 인사들과의 섭외활동을 능숙하게 하였고, 이러한 능력을 인정한 일본체육협회는 귀국 즉시 그를 상무이사로 발탁하였다. 이어 3년 후인 1935년에는 일본체육협회의 행정의 최고 사령탑인 전무이사로 선임되었다. 한편, 1932년 L A올림픽 때 마라톤에 권태하, 김은배, 그리고 복싱의 황을수 등 세 선수가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는데, 그 이면에는 이상백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기도 하다. 또 한 예로 권태하씨가 경찰의 도항(渡航)증명서 없이 부산을 떠나 일본 시모노세키(下關)에 내리자 일본경찰이 트집잡아 격투가 벌어졌다. 이 사실을 안 이상백은 일본경시청에 즉각 항의, 경시청은 정중히 공식사과를 했고 관련 경관은 처벌하였다고 한다.
이상백은 올림픽의 경기기술과 조직 운영 면에서도 이론과 실제적인 면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가졌다. 그것은 농구경기를 올림픽에 추가하는 계획으로 1931년부터 벌써 이 운동을 추진한 것이다. L A올림픽대회에 참가했을 당시 미국농구의 권위자라고 하는 켄사스대학 교수인 알렌박사와 구체적인 사전협의를 하고 돌아왔다. 이후 농구가 1936년 제 11회 베를린올림픽경기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는데 그 추진 배후에는 아시아의 이상백, 미국농구의 대부인 알렌박사, 그리고 1976년 사망할 때까지 국제농구연맹(F I B A) 사무총장을 지낸 영국의 윌리암 존스, 이 세 사람의 공동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농구가 처음으로 채택된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 일본농구팀이 바로 참가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전적으로 이상백의 영향력이었음을 입증하고도 남는다. 일본농구팀에는 한국인으로 이성구(李性求) 염은현(廉殷鉉) 장이진(張利鎭)등 3명의 연희전문출신 선수가 참가할 수 있었는데 이 역시 이상백의 힘이 컸다고 한다. 이상백은 1936년 베를린올림픽대회에 일본대표단의 총무로 참가했는데 선수단의 단장은 당시 일본의 경우 단순한 명예직인데 반하여 총무라는 직책은 실제 선수단의 모든 운영의 실권을 가진 책임 있는 자리인 것이었다. 이상백은 베를린올림픽대회에도 한국선수들이 많이 선발되도록 배후에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농구는 3명으로 비교적 많이 선발되었지만 축구에서는 국내에서 상호중상, 견제하는 바람에 김용식(金容植)한 사람밖에 선발되지 못하였다. 이상백은 훗날 축구 선발에 더 많은 한국인이 들지 못한 데 대해서 크게 섭섭했다는 술회를 한적이 있다.
마라톤에서는 1차 예선에서 세계기록을 돌파한 손기정(孫基禎)선수를 확정하였으나, 최종예선에서 뜻밖의 1위를 차지한 남승룡(南昇龍)선수의 선발여부가 말썽이 되었다. 이상백은 나타난 기록과 실력대로 뽑아야 한다고 역설하였지만 끝내 베를린 현지에서 최종선발전(일본선수 2명 포함)을 치룬 끝에 손기정, 남승룡선수가 선발되어 손기정선수가 신기록으로 우승하고, 남선수가 3위에 입상하여 한국인의 명예를 세계에 알리었다. 일본은 1932년부터 1940년의 제 12회 올림픽을 일본에 유치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일본체육협회 전무이사인 이상백은 동경올림픽 유치 기
추천자료
[예배][교회예배][한국교회][기독교]예배(교회예배)의 정의, 예배(교회예배)의 역사, 예배(교...
한국배구의 역사, 여자배구의 역사
[미학][미학의 유래][미학의 의의][한국전통의 미학][탈춤의 미학][서예의 미학][역사소설의 ...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의미와 의의,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성과 역사, 한국화(한국전통...
한국자본주의의 역사(한국현대사레포트)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에 대하여 논하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에 대하여 기술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의 역사, 한민족(우리민족, 한국민족) 특성, 한민족(우리민족, 한...
[한국시민사회][민주주의][지역주의]한국시민사회의 역사, 한국시민사회의 성격, 한국시민사...
영국사회복지의 역사와 한국사회복지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사회복지행정론 -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미국의 여사, 한국의 역사, 영국의 역사)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역사적 접근의 중요성, 영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음식문화사_한국 전통식품]된장(콩의 역사, 된장의 유래), 간장의 역사와 유래 및 종류, 고...
[사회복지 개론]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의 시초 및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 한국 사회복지 발달사(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