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S, 신경계환자간호 및 신경계검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CS, 신경계환자간호 및 신경계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Glascow Coma Scale

2. 두개내압상승환자의 간호

3. 무의식 환자간호

4. 척수손상 부위별 신경학적 장애

5. 경련환자 간호

6. 개두술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

7. 주요 시술과 검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척수말단이 L2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천자부위의 피부를 무균적으로 닦은 뒤 국소마취제를 피부와 피하조직에 주입한다. 그 후, 내삽입관이 들어있는 spinal needle을 피부를 통과하여 척추관에 삽입시켜 지주막하강에 진입한다. Inserter를 제거하면 바늘로부터 뇌척수액이 서서히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바늘을 멸균된 압력계에 연결하고 압력을 기록한다. 압력을 측정하기 전에 환자를 이완시키고 뇌척수액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를 곧게 펴라고 지시한다. 다음에 3개의 멸균튜브에 뇌척수액을 5~10ml씩 채우고 검사실로 보낸다. 마지막으로 다시 압력을 측정한다. 척추관내의 뇌척수액 순환이 폐색되었다고 의심이 되면 Queckenstedt-Stookey검사를 실시한다. 이 검사를 위하여 경정맥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중간 크기의 혈압커프를 약 200mmHg까지 팽창시켜서 폐색시킨다. 경정맥 폐색 후 10초 이내에 뇌척수액 압력이 150~400mmHg까지 상승되어야 하며 압력을 제거한 뒤 10초 이내에 뇌척수액 압력이 정상으로 되돌아와야 한다. Spinal needle을 제거한 뒤 바늘을 삽입했던 부위를 손가락으로 눌러주고 반창고를 붙여준다. 그 뒤 복강내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부 밑에 베개를 대고 엎드려 눕힌다. 이렇게 하면 척추관 주변조직에 간접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게 하여 척추관으로부터 뇌척수액이 계속적으로 새어나오지 않게 해준다.
3) 임상적 의의, 정상치
정상
압력 : < 200mmH2O
색깔 : 맑고, 무색
혈액 : 없음
세포 : 적혈구 없음;림프구는 5개 이하/mm3
배양 및 감수성 : 아무런 미생물이 없음
단백질 : 15~45mg/100ml CSF
포도당 : 50~75mg/100ml CSF 혹은 혈당치의 40%이상
염소(chloride) : 700~750mg/100ml
LDH(lactic dehydrogenase) : <2.0~7.2 U/ml
세포학 : 악성세포가 없음
매독에 대한 혈청검사 : 음성
Glutamine : 6~15 mg/이
4) 간호 및 주의사항
① 비협조적인 환자, 뇌압상승환자, 심한 퇴행성 척추관절환자, 정신신체질환에 빠지기 쉬운 환자 등은 이 검사의 금기 환자이다.
② 환자에게 검사절차와 검사절차 후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③ 이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서약서를 받아야 한다.
④ 가능하면 검사 전에 환자에게 소변과 대변을 보게 한다.
⑤ 환자에게 검사 중에 움직이지 말아야 함을 강조한다.
⑥ 환자가 적절한 체위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⑦ 뇌척수액 수집관에 이름과 번호를 적절하게 기록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⑧ 검사 후에 두통의 위험이 있으므로 환자에게 머리를 똑바로 하고, 침상안정을 취하게 한다.
⑨ 검사 후에 환자의 사지 움직임, 주사부위의 통증, 주사부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 배출, 배뇨능력 등을 사정한다.
▶ Cerebral angiography
1) 검사목적
뇌혈관조영술은 경동맥 또는 척추동맥 내로 방사성 불투과물질을 주사한 뒤 대뇌혈관계를 방사선촬영하는 것이다. 이 절차는 동맥류, 혈관폐색 또는 동정맥기형과 같은 뇌순환의 이상을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2) 검사방법
검사 전날 자정부터 고형음식을 금식시킨다. 환자에게 충분히 수분 섭취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대개는 액체음식은 허용한다. 환자를 방사선과에 있는 혈관조영실로 보내기 30분전에 아트로핀과 메페리딘을 투여한다. 이 검사는 대개 국소마취하에 실시된다. 혼동상태의 환자나 극도로 불안정한 환자인 경우 전신마취를 하기도 한다. 바늘이나 캐뉼라로 피부를 통과하여 총경동맥, 척추동맥 혹은 쇄골하동맥내로 삽입한다. 상완동맥 또는 대퇴동맥을 통해 바늘을 역류시켜서 목부위의 주요 혈관 중 어느 한 가지에 캐뉼라를 삽입하여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역류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때 합병증이 좀 더 적어진다. 원하는 동맥으로 카테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형광투시법하에서 실시한다. 그 뒤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를 주사하면 두개강을 통과하는 혈류가 보인다. 뇌혈액순환의 동맥단계와 정맥단계와 정맥단계가 나타나는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방사선 사진을 찍는다.
3) 임상적의의, 정상치
뇌혈관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4) 간호 및 주의사항
① 조영제 알러지가 있는 환자와 불안정한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② 검사에 대한 사전동의서를 받는다.
③ 카테터가 삽입될 부위를 환자에게 알려준다.
④ 환자가 요오드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지 사정한다.
⑤ 잠재적 합병증으로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환자가 항응고제 치료를 받고 있는지 사정한다.
⑥ 검사 절차 후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검사 전 기초자료를 조사한다.
⑦ 검사 전날 자정부터 고형음식을 금지시킨다.
⑧ 혈관조영술 전에 처방된 약물들을 투여한다.
⑨ 혈관조영술 전에 처방된 약물들을 투여한다.
⑩ 검사 중 아나필락시스에 대비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을 받은 요원과 함께 응급약물과 기구를 가까이에 비치해둔다.
⑪ 검사 절차 후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신경학적 평가를 자주 실시한다.
⑫ 카테터 삽입 부위에 혈종, 출혈, 염증이 있는지 매 활력징후 측정시 관찰한다.
⑬ 검사 후 약 12~24시간 동안 동맥천자 부위가 완전히 막힐 때까지 침상안정을 시킨다.
⑭ 천자부위에 얼음주머니를 적용하여 종창과 통증을 감소시킨다.
▶ Myelogram
1) 검사목적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를 척추관 지주막하강에 넣은 뒤 척추관의 내용을 형광투시경적으로 관찰 할 수 있다. 척수종양, 뇌막종양, 전이성 척수종양, 추간원판 탈출증, 관절뼈의 돌기 등을 이 검사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병변이 있다면 척추관이 좁아지거나 척추관내에서 조영제의 흐름이 다양하게 폐색될 것이다.
2) 검사방법
보통 검사 전 4시간 동안 음식과 수분섭취를 금지한다. 요추천자는 환자를 진정시키지 않은 채 실시한다. 15ml의 뇌척수액을 제거하고 15ml이상의 조영제나 공기를 척추관에 주입시킨다. 이 때 환자의 체위와 테이블의 기울기에 따라 조영제 유입의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환자에게 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테이블의 머리를 낮추고 환자를 엎드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5.2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