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성병으로 선정한 동기
Ⅱ. 본론
1. 성병에 대한 정의
2. 성병의 종류
3. 성병 감염증상 및 감염경로
ㄱ. 임질
ㄴ. 매독
ㄷ. 트리코모나스 질염
ㄹ.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ㅁ. 에이즈(AIDS)
4. 우리나라 성병현황
5. 대비책
예방법
Ⅲ. 결론
성병조사 전▪후 생각 느낌
출처
성병으로 선정한 동기
Ⅱ. 본론
1. 성병에 대한 정의
2. 성병의 종류
3. 성병 감염증상 및 감염경로
ㄱ. 임질
ㄴ. 매독
ㄷ. 트리코모나스 질염
ㄹ.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ㅁ. 에이즈(AIDS)
4. 우리나라 성병현황
5. 대비책
예방법
Ⅲ. 결론
성병조사 전▪후 생각 느낌
출처
본문내용
초기 잠복기가 지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발열, 오한, 관절통, 두통, 인후통, 근육통, 구역, 복통, 설사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는 홍반, 담마진, 임파선종대, 비종대 및 압통, 인두충혈, 경부 강직도 병발할 수 있다.
HIV에 감염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CD4 세포가 파괴되면 체내의 전반적인 면역체계가 파 괴되면서 심한 피로감과 쇄약감, 급격한 체중의 감소,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면서 수 주가 지속되는 열, 밤에 심한 땀, 임파선의 붓기, 피부나 구강, 성기 부, 항문 부 발적을 일으키는 염증, 구강이나 인두의 흰색 반점 ,만성적인 설다, 조절되지 않는 기침, 최근기억 상실E등이 나타난다.
▶감염경로
체액을 통한 HIV의 주요 감염경로는
1. HIV감염자와 성관계를 가진 경우.
2. HIV감염자와 주사기, 주사바늘을 같이 사용한 경우.
3. HIV에 감염된 혈액을 수혈 받았을 경우.
4. HIV에 감염된 산모의 임신, 분만, 수유를 통한 2세 감염.
5. 감염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 중의 사고(오염된 주사바늘이나 수술기구에 찔린 경우)가 있다.
★꼭 알아야할 사실- HIV는 일상적인 생활을 통해서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에이즈 감염자의 모든 체액에는 HIV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감염자의 모든 체액이 전염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감염자의 혈액, 정액, 질 분비물, 침, 눈물, 땀, 모유, 뇌척수액 등에는 모두 HIV가 포함되어 있지만 그 중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 뇌척수액 만이 전염을 시킬만한 충분한 양의 HIV를 갖고 있다.
(4)우리나라 성병 현황
(단위:명)
2003
2004
2005
2006
2007
매독
1,2기매독
582
674
1,179
1,401
144
선천성매독
4
10
10
9
8
임질
15,290
10,845
6,135
4,219
3,108
클라미디아 감염증
4,048
5,970
4,245
2,978
3,184
성기단순포진
670
658
893
1,494
1,725
연성하감
1
0
0
0
0
첨규콘딜롬
388
382
497
696
946
비임균성 요도염
6,026
4,977
3,500
2,748
2,087
<에이즈>
2005년 1월부터 9월까지 내국인 신규감염인수는 506명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455명) 대비 11.2% 증가하였음.
- 남성 477명(94.3%), 여성 29명(5.7%)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6.4배 높게 나타남.
- 연령별로는 30대가 167명(33.0%)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24명(24.5%), 20대 98명(19.4%) 등의 순임.
- 연도별 에이즈환자(AIDS) 보고 현황(2005.9월말 현재) -
구분
계
87-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9
계
527
27
14
22
33
35
34
32
42
88
62
79
59
(단위: 명)
(5)대비책
예방법
가. 성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나. 자주 성기를 관찰하는 습관을 기른다.
성기의 분비물 및 포진이 생겼는지, 어떤 다른 증세가 나타나는지 상호 확인을 해야 한다.
상대가 관찰에 거부 반응을 일으킬 때에는 전희를 이용할 수 있다.
남자를 관찰할 때에는 음경의 밑부분에 흰색의 우유 같은 것이 말라붙어 있는지 를 확인하면 된다.
다. 성교 상대를 신중하게 고른다.
특히 매춘부 등과 같이 많은 성관계 경험이 있는 사람과는 성관계를 피한다.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한 사람과의 지속되는 성접촉만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라. 새로운 파트너와 성교 시에는 가능하다면 밝은 곳에서 전희 동안 감염 여부를 관찰한다.
마. 항상 조심하고 혼외 성교 시에는 콘돔과 살정제를 사용하고, 성교 후 즉시 성기 부위를 씻어야 한다.
바. 정직해야 한다.
성병에 감염되었으면 지체하지 말고 상대에게 감염 사실을 알린다.
또한 상대의 감염 여부가 의심스러울 때에도 사실을 알려 달라고 요구해야 한 다.
사. 신속히 검진하고 치료해야 한다.
성교 상대도 검진과 치료를 받게 하며 재감염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음으로써 성병으로 인한 후유증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 이다.
3.결론
이 과제를 하면서 성병 증상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 불임의 원인 중 하나가 성병에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성병에 대해 조사하기 전에는 성병이라는 것은 나랑 거리가 먼 이야기일 것이라고 생각했 다. 주변에 성병에 걸린 사람도 없고 그 점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사람 또한 없었기
HIV에 감염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CD4 세포가 파괴되면 체내의 전반적인 면역체계가 파 괴되면서 심한 피로감과 쇄약감, 급격한 체중의 감소,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면서 수 주가 지속되는 열, 밤에 심한 땀, 임파선의 붓기, 피부나 구강, 성기 부, 항문 부 발적을 일으키는 염증, 구강이나 인두의 흰색 반점 ,만성적인 설다, 조절되지 않는 기침, 최근기억 상실E등이 나타난다.
▶감염경로
체액을 통한 HIV의 주요 감염경로는
1. HIV감염자와 성관계를 가진 경우.
2. HIV감염자와 주사기, 주사바늘을 같이 사용한 경우.
3. HIV에 감염된 혈액을 수혈 받았을 경우.
4. HIV에 감염된 산모의 임신, 분만, 수유를 통한 2세 감염.
5. 감염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 중의 사고(오염된 주사바늘이나 수술기구에 찔린 경우)가 있다.
★꼭 알아야할 사실- HIV는 일상적인 생활을 통해서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에이즈 감염자의 모든 체액에는 HIV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감염자의 모든 체액이 전염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감염자의 혈액, 정액, 질 분비물, 침, 눈물, 땀, 모유, 뇌척수액 등에는 모두 HIV가 포함되어 있지만 그 중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 뇌척수액 만이 전염을 시킬만한 충분한 양의 HIV를 갖고 있다.
(4)우리나라 성병 현황
(단위:명)
2003
2004
2005
2006
2007
매독
1,2기매독
582
674
1,179
1,401
144
선천성매독
4
10
10
9
8
임질
15,290
10,845
6,135
4,219
3,108
클라미디아 감염증
4,048
5,970
4,245
2,978
3,184
성기단순포진
670
658
893
1,494
1,725
연성하감
1
0
0
0
0
첨규콘딜롬
388
382
497
696
946
비임균성 요도염
6,026
4,977
3,500
2,748
2,087
<에이즈>
2005년 1월부터 9월까지 내국인 신규감염인수는 506명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455명) 대비 11.2% 증가하였음.
- 남성 477명(94.3%), 여성 29명(5.7%)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6.4배 높게 나타남.
- 연령별로는 30대가 167명(33.0%)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24명(24.5%), 20대 98명(19.4%) 등의 순임.
- 연도별 에이즈환자(AIDS) 보고 현황(2005.9월말 현재) -
구분
계
87-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9
계
527
27
14
22
33
35
34
32
42
88
62
79
59
(단위: 명)
(5)대비책
예방법
가. 성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나. 자주 성기를 관찰하는 습관을 기른다.
성기의 분비물 및 포진이 생겼는지, 어떤 다른 증세가 나타나는지 상호 확인을 해야 한다.
상대가 관찰에 거부 반응을 일으킬 때에는 전희를 이용할 수 있다.
남자를 관찰할 때에는 음경의 밑부분에 흰색의 우유 같은 것이 말라붙어 있는지 를 확인하면 된다.
다. 성교 상대를 신중하게 고른다.
특히 매춘부 등과 같이 많은 성관계 경험이 있는 사람과는 성관계를 피한다.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한 사람과의 지속되는 성접촉만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라. 새로운 파트너와 성교 시에는 가능하다면 밝은 곳에서 전희 동안 감염 여부를 관찰한다.
마. 항상 조심하고 혼외 성교 시에는 콘돔과 살정제를 사용하고, 성교 후 즉시 성기 부위를 씻어야 한다.
바. 정직해야 한다.
성병에 감염되었으면 지체하지 말고 상대에게 감염 사실을 알린다.
또한 상대의 감염 여부가 의심스러울 때에도 사실을 알려 달라고 요구해야 한 다.
사. 신속히 검진하고 치료해야 한다.
성교 상대도 검진과 치료를 받게 하며 재감염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음으로써 성병으로 인한 후유증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 이다.
3.결론
이 과제를 하면서 성병 증상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 불임의 원인 중 하나가 성병에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성병에 대해 조사하기 전에는 성병이라는 것은 나랑 거리가 먼 이야기일 것이라고 생각했 다. 주변에 성병에 걸린 사람도 없고 그 점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사람 또한 없었기
추천자료
호주제 폐지 성씨불균형 부모성 부모성 함께 쓰기의 탄생 한국의 호주제 한국의 성비불균형 실태
동성애의 원인과 실태
동성애에 대한 사회인식과 동성애자 인권보호를 위한 대안
청소년 동성애의 현황과 사회복지적 지지방안
섹슈얼리티-푸코와 기든스를 중심으로
AIDS의 기원과 증상, 전망
동성애에 관한 심층적인 고찰 (A+보고서)
AIDS와 관련한 사회복지욕구 및 개입
성적장애 및 성정체감장애
동성애관련
[PackageDesign] Unidus(콘톰패키지) / 시장조사, 분석, 컨셉(ppt,2font)
보건의료
[여성, 여성 건강권, 여성 시민권, 여성 사회권, 여성 정치참정권, 건강권, 시민권, 사회권, ...
사회문제론D형-소수자인권]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의 인권은 어떤 식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