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Ⅰ.서론
Ⅱ.교수매체
1. 교수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사상적 배경
Ⅲ.교수매체의 발달
1. 시각교육
2. 시청각 교육
3. 시청각 통신
4. 교수공학
5. 교육공학
Ⅳ. 유아 교수 매체
1. 유아 교수 매체의 개념
2. 유아 교수 매체의 특성
3. 유아 교수 매체의 필요성
4. 유아 교수-학습 활동의 원리
5. 유아 교수 방법의 유형
6. 유아를 위한 교수 매체의 분류
7. 유아를 위한 교수 매체의 선택 및 활용
Ⅴ. 그림책
1. 그림책의 특성
2. 좋은 그림책
3. 그림책의 장점
Ⅵ. 결론
참고문헌
Ⅱ.교수매체
1. 교수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사상적 배경
Ⅲ.교수매체의 발달
1. 시각교육
2. 시청각 교육
3. 시청각 통신
4. 교수공학
5. 교육공학
Ⅳ. 유아 교수 매체
1. 유아 교수 매체의 개념
2. 유아 교수 매체의 특성
3. 유아 교수 매체의 필요성
4. 유아 교수-학습 활동의 원리
5. 유아 교수 방법의 유형
6. 유아를 위한 교수 매체의 분류
7. 유아를 위한 교수 매체의 선택 및 활용
Ⅴ. 그림책
1. 그림책의 특성
2. 좋은 그림책
3. 그림책의 장점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는 리듬감을 잃어버리고, 언어의 맛은 상실된다. 따라서, 그림책은 대부분 이야기는 펼쳐보이되 어린이의 발상이나 기분으로 알기 쉽고 재미있게 쓰여지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그림책은 윤리적이고 교육적인 특성을 지닌다. 좋은 책은 결코 설교하지 않으며, 생의 한 단면들이 그대로 싸매어져 전달된다고 한다(신명호, 1993). 그러나 그림책은 인간이 일생에서 최초로 만나는 책이고, 유아의 심리적,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성인과 유아를 위한 책은 분명 달라야 한다. 이제 막 도덕성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 유아들은 다양한 각도와 넓은 시야로 생각하고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따라서, 그림책은 비윤리적, 비교육적인 내용을 소화하지 못한다.
독서는 인간이 죽을 때까지 계속해야 할 정신운동이고, 그림책은 인간이 일생에서 최초로 만나는 책이라면 독서에 대한 건전한 태도가 그림책를 통해 길러져야 한다. 독서에 대한 건전한 태도는 책을 통해 즐거움과 재미를 찾으면서 인간세계에 대한 이해를 더 해 갈 수 있을 때 형성된다. 따라서, 그림책은 무엇보다도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이해를 통하여 재미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재미있는 책이라고 해서 비윤리적이고 비교육적인 내용의 책도 괜찮다는 뜻은 아니다. 지나치게 설교하는 책은 아니더라도 이제 막 도덕성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 유아들에게는 비윤리적, 비교육적 내용은 삼가할 수 밖에 없다.
2.좋은 그림책
책의 첫번째 기준은 뭐니 뭐니해도 그림과 관련한 것이다. 그림이 다양하고 매력적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그림 그 자체가 그림책의 내용, 주제, 세부적인 것을 이야기 해 주어 언어에 따른 영상의 수반이 쉽게 가능해야 한다. 그림이 이야기의 내용을 풍부하게 표현해야 함은 물론이고, 이야기 내용의 자세한 부분까지 틀림이 없어야 한다.
둘째, 언어와 관련한 것이다. 좋은 책과 그렇지 못한 책은 그 책 속에 얼마만큼 풍부한 언어, 알맹이가 있는 언어, 존재감이 있는 언어, 읽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마음으로부터 공감할 수 있는 언어가 담겨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풍부한 언어, 알맹이가 있는 언어, 존재감이 있는 언어란 어떤 언어일까? 풍부한 언어, 알맹이가 있는 언어의 반대말은 껍데기만 있는 언어이고, 껍데기만 있는 언어는 곧 언어의 빈곤을 말한다. 언어의 빈곤은 표현의 빈곤을 말하고, 표현의 빈곤은 내용의 빈곤을 말한다.
존재감이 있는 언어는 언어가 유아의 수준과 발달에 적합하여 언어의 힘이 발휘되어 살아 움직이는 언어일 것이다. 그래야지만 유아가 책을 보면서 상상력이 가동되어 현실 세계의 이해와 지식 습득은 물론이고 가공의 세계인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게 될 것이다.
셋째, 내용과 관련한 것이다. 그림책의 특성에서도 언급되었지만 그림책은 내용이 적절해야 한다. 주제가 가치로와야 하며, 내용이 유아의 수준과 발달에 적합하여 유아의 관심을 충분히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윤리적이고 교육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림책은 유아에게 언어적 체험을 풍부하게 해 주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했다. 언어적 체험은 내용이 없는 체험일 수 없으며, 그 내용은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들이며 즐거움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림책의 내용이나 주제는 흔히 사랑, 슬픔, 질투, 우정, 공포들을 다루며, 독립적이고 기술적인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 자아 정체감을 찾고 자존감을 갖게 되는 과정, 감정이입과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 새로운 친구를 만드는 과정들을 다루는 내용이면 더 좋다.
아직 다양한 관점에서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을 기르지 못한 유아들은 비윤리적이고 비교육적인 내용을 소화하고 걸러낼 수 있는 힘이 없다. 따라서, 그림책의 내용은 윤리적이며 교육적인 것이어야 한다. 이런 내용의 이야기가 간결하면서도 단단한 구조를 지닌체 긴장과 연결로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전개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좋은 그림책은 이야기의 세계가 문학적, 예술적, 교육적 요소들이 적절히 농축되어 통일과 조화를 이루면서 펼쳐지는 책이다.
3. 그림책의 장점
그림책의 으뜸가는 가치는 뭐니 뭐니해도 즐거움과 재미이다. 성인은 때로 필요에 의해 책을 찾고 읽는다. 즐거움과 재미가 없어도 끝까지 책을 읽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유아들은 책 속에서 즐거움과 재미를 찾을 수 없으면 더 이상 책을 보려고 하지 않는다. 책 속에 넌센스와 유머가 있고, 기대하지 않았던 웃음이 있고, 우연한 발견이 있기 때문에 유아들은 즐거워하고 재미있어 하며 책을 읽는다. 이런 즐거움과 재미는 평생동안 그 어린이의 독서에 대한 취향과 태도를 결정짓는다(김세희와 현은자, 1995 ; Cullinan, 1989).
둘째, 책은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그 결과 사고의 발달을 가져 온다. 상상력은 현실적 지각에 기초하지 않은 사물이나 사건의 심상을 마음 속에 그리어 미루어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다. 마음 속에 심상을 그릴 수 있고, 보이지 않는 것을 구체화할 수 있는 능력은 곧 사고 능력이다. 김현희(1996)는 유아들은 늘 마음 속으로 상상을 하지만 그 상상은 뜬 구름같이 늘 떠다니다가 어떤 매체(그림책)를 만나게 되면, 더 선명하게 확인되고, 구체화되며, 확장된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이 다시 현실로 투여되어 유아들의 생활에 윤기를 더 하게 되다고 한다.
유아들에게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생각이 늘 현실 세계에만 갇혀 있다면 그 유아의 사고는 더 이상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그림책은 과학적 설명과 자연의 법칙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간과 공간과 크기와 모양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배경, 인물, 시대의 요소들을 잘 활용하여 환상적 세계를 만들어 내기만 하면 유아들은 기꺼히 믿고 따르며 현실 세계와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며 즐길 수 있다.
셋째, 그림책은 유아의 정서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그림책은 유아의 세계를 잘 알고 유아의 발상이나 기분으로 이야기를 그려낸 책이다. 그림책에서 이야기의 세계는 긴장과 연결로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전개되지만 그것이 유아의 발상과 기분에서 그려진 책이므로 유아들은 쉽개 깊은 정서적 체험과 함께 이야기의 전개 과정을
넷째, 그림책은 윤리적이고 교육적인 특성을 지닌다. 좋은 책은 결코 설교하지 않으며, 생의 한 단면들이 그대로 싸매어져 전달된다고 한다(신명호, 1993). 그러나 그림책은 인간이 일생에서 최초로 만나는 책이고, 유아의 심리적,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성인과 유아를 위한 책은 분명 달라야 한다. 이제 막 도덕성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 유아들은 다양한 각도와 넓은 시야로 생각하고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따라서, 그림책은 비윤리적, 비교육적인 내용을 소화하지 못한다.
독서는 인간이 죽을 때까지 계속해야 할 정신운동이고, 그림책은 인간이 일생에서 최초로 만나는 책이라면 독서에 대한 건전한 태도가 그림책를 통해 길러져야 한다. 독서에 대한 건전한 태도는 책을 통해 즐거움과 재미를 찾으면서 인간세계에 대한 이해를 더 해 갈 수 있을 때 형성된다. 따라서, 그림책은 무엇보다도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이해를 통하여 재미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재미있는 책이라고 해서 비윤리적이고 비교육적인 내용의 책도 괜찮다는 뜻은 아니다. 지나치게 설교하는 책은 아니더라도 이제 막 도덕성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 유아들에게는 비윤리적, 비교육적 내용은 삼가할 수 밖에 없다.
2.좋은 그림책
책의 첫번째 기준은 뭐니 뭐니해도 그림과 관련한 것이다. 그림이 다양하고 매력적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그림 그 자체가 그림책의 내용, 주제, 세부적인 것을 이야기 해 주어 언어에 따른 영상의 수반이 쉽게 가능해야 한다. 그림이 이야기의 내용을 풍부하게 표현해야 함은 물론이고, 이야기 내용의 자세한 부분까지 틀림이 없어야 한다.
둘째, 언어와 관련한 것이다. 좋은 책과 그렇지 못한 책은 그 책 속에 얼마만큼 풍부한 언어, 알맹이가 있는 언어, 존재감이 있는 언어, 읽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마음으로부터 공감할 수 있는 언어가 담겨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풍부한 언어, 알맹이가 있는 언어, 존재감이 있는 언어란 어떤 언어일까? 풍부한 언어, 알맹이가 있는 언어의 반대말은 껍데기만 있는 언어이고, 껍데기만 있는 언어는 곧 언어의 빈곤을 말한다. 언어의 빈곤은 표현의 빈곤을 말하고, 표현의 빈곤은 내용의 빈곤을 말한다.
존재감이 있는 언어는 언어가 유아의 수준과 발달에 적합하여 언어의 힘이 발휘되어 살아 움직이는 언어일 것이다. 그래야지만 유아가 책을 보면서 상상력이 가동되어 현실 세계의 이해와 지식 습득은 물론이고 가공의 세계인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게 될 것이다.
셋째, 내용과 관련한 것이다. 그림책의 특성에서도 언급되었지만 그림책은 내용이 적절해야 한다. 주제가 가치로와야 하며, 내용이 유아의 수준과 발달에 적합하여 유아의 관심을 충분히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윤리적이고 교육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림책은 유아에게 언어적 체험을 풍부하게 해 주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했다. 언어적 체험은 내용이 없는 체험일 수 없으며, 그 내용은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들이며 즐거움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림책의 내용이나 주제는 흔히 사랑, 슬픔, 질투, 우정, 공포들을 다루며, 독립적이고 기술적인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 자아 정체감을 찾고 자존감을 갖게 되는 과정, 감정이입과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 새로운 친구를 만드는 과정들을 다루는 내용이면 더 좋다.
아직 다양한 관점에서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을 기르지 못한 유아들은 비윤리적이고 비교육적인 내용을 소화하고 걸러낼 수 있는 힘이 없다. 따라서, 그림책의 내용은 윤리적이며 교육적인 것이어야 한다. 이런 내용의 이야기가 간결하면서도 단단한 구조를 지닌체 긴장과 연결로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전개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좋은 그림책은 이야기의 세계가 문학적, 예술적, 교육적 요소들이 적절히 농축되어 통일과 조화를 이루면서 펼쳐지는 책이다.
3. 그림책의 장점
그림책의 으뜸가는 가치는 뭐니 뭐니해도 즐거움과 재미이다. 성인은 때로 필요에 의해 책을 찾고 읽는다. 즐거움과 재미가 없어도 끝까지 책을 읽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유아들은 책 속에서 즐거움과 재미를 찾을 수 없으면 더 이상 책을 보려고 하지 않는다. 책 속에 넌센스와 유머가 있고, 기대하지 않았던 웃음이 있고, 우연한 발견이 있기 때문에 유아들은 즐거워하고 재미있어 하며 책을 읽는다. 이런 즐거움과 재미는 평생동안 그 어린이의 독서에 대한 취향과 태도를 결정짓는다(김세희와 현은자, 1995 ; Cullinan, 1989).
둘째, 책은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그 결과 사고의 발달을 가져 온다. 상상력은 현실적 지각에 기초하지 않은 사물이나 사건의 심상을 마음 속에 그리어 미루어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다. 마음 속에 심상을 그릴 수 있고, 보이지 않는 것을 구체화할 수 있는 능력은 곧 사고 능력이다. 김현희(1996)는 유아들은 늘 마음 속으로 상상을 하지만 그 상상은 뜬 구름같이 늘 떠다니다가 어떤 매체(그림책)를 만나게 되면, 더 선명하게 확인되고, 구체화되며, 확장된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이 다시 현실로 투여되어 유아들의 생활에 윤기를 더 하게 되다고 한다.
유아들에게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생각이 늘 현실 세계에만 갇혀 있다면 그 유아의 사고는 더 이상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그림책은 과학적 설명과 자연의 법칙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간과 공간과 크기와 모양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배경, 인물, 시대의 요소들을 잘 활용하여 환상적 세계를 만들어 내기만 하면 유아들은 기꺼히 믿고 따르며 현실 세계와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며 즐길 수 있다.
셋째, 그림책은 유아의 정서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그림책은 유아의 세계를 잘 알고 유아의 발상이나 기분으로 이야기를 그려낸 책이다. 그림책에서 이야기의 세계는 긴장과 연결로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전개되지만 그것이 유아의 발상과 기분에서 그려진 책이므로 유아들은 쉽개 깊은 정서적 체험과 함께 이야기의 전개 과정을
추천자료
유아교수매체
[사범/법학] 영유아교수법-수학교육의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한 접근
[유아교육과]2007우수논문-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
영유아교수학습방법과 보육프로그램운영 - 제1장. 영유아교육과 교수°학습방법
2012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아교육개념,유아교사의역할과교수행동)
아동중심유아교육을 설명하고 이에 입각한 유아교수학습방법을 설명
2014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아교육의특수성, 유아교사의교수행동)
2014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유아교육의교수학습원리, 유아시설과환경)
[영유아교수방법]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유아상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유아상을 만들기 위해 ...
[영유아교수방법] 유아에게 적합한 교수매체의 특징을 설명하고 활동에 적합한 교수매체의 예...
영유아교수방법 - 유아에게 적합한 교수매체의 특징 설명, 활동에 적합한 교수매체 3가지 예...
영유아교수방법론)유아교육기관에서의 환경구성은 영유아들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고 놀이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