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자살의 정의 및 동기와 원인
1) 자살의 정의
2)자살의 동기와 원인
① 생물학적 원인
② 사회문화적 요인
③ 개인의 심리적 원인
3. 연예인들의 자살
1) 최진실, 유니 자살 분석(사건의 개요, 원인)
2) 연예인들의 자살 원인 분석
3) 연예인 자살 사건들이 주는 문제점
※베르테르 현상
4) 자살 방지를 위한 대책
4. 결론
2. 자살의 정의 및 동기와 원인
1) 자살의 정의
2)자살의 동기와 원인
① 생물학적 원인
② 사회문화적 요인
③ 개인의 심리적 원인
3. 연예인들의 자살
1) 최진실, 유니 자살 분석(사건의 개요, 원인)
2) 연예인들의 자살 원인 분석
3) 연예인 자살 사건들이 주는 문제점
※베르테르 현상
4) 자살 방지를 위한 대책
4. 결론
본문내용
원인
모방자살이 증가하는 이유는 유명인의 자살에서 오는 동조의식이 자신의 자살을 합리화하는 전염 효과를 갖게되어 죽음이 해결책이라는 생각을 쉽게 하게 된다. 또한 비슷한 방법으로 자살을 하는 것은 자살의 구체적 수단과 방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베르테르 현상의 영향
유명 연예인이 자살할 때 언급되는 이론은 베르테르 효과이다. 베르테르 효과는 이제까지 발생했던 연예인을 따라 자살한 청소년과 일반인들의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자살 방지를 위한 대책
그렇다면 이러한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대책들이 필요할 것인가? 자살은 일반적인 범죄의 행위와 달리 자신의 자기 부정에서 오는 극단적인 문제 해결 수단이기 때문에 상대가 있는 범죄나 일탈 같은 경우보다 극복해 나가기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다. 먼저 이러한 상대가 없는 자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치의 다양화를 위한 사회 공동체의 문화의식의 함양이 가장 중요한 해결방법일 것이다. 왜냐하면 가치의 다양성이나 다원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문화의식 수준으로 확립되지 않을 경우 자신이 누리던 명예와 권력 또는 부의 상실에서 오는 허탈감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이러한 문화의식이 저변에 확대된 사회보다 더욱더 심각하게 인식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언제든 인기와 부와 명예를 잃을 수도 얻을 수도 있고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나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당연한 것이란 의식의 사회 확산이 되어 있는 경우 결코 이러한 자살은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의 균등한 분배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부의 불균등 정도가 심각하게 될 경우 극빈 계층의 경우 돌파구를 찾을 수 없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이 사라질 때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를 일이다. 특히 우리사회에 최근 들어 젊은 청소년들이 모방자살이나 자살을 많이 시도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사이버 상에서 절제되지 않는 많은 일탈을 부추기는 사이트가 활동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터넷의 무분별한 사회적 일탈을 부추기는 웹상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과 감찰활동과 방지를 위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 악성 댓글의 방지가 중요할 것이다. 실명제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실명제가 행해진다고 하여도 악성 댓글의 폐해는 여전히 있다. 단적인 예로 가수 유니와 개그우먼 김형은씨의 죽음을 둘러싼 악성 댓글들이 완벽한 실명제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싸이월드 미니홈피 였다는 사실만 보아도 실명제는 악성 댓글 방지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힘들다. 제도적으로 네티즌들의 댓글들을 규제하는 방안도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는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장 좋은 해결책은 무엇보다도 네티즌들의 공동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소수의 악플러들을 향해 다수의 네티즌들이 보여주는 강력한 대응이야말로 악성 댓글 퇴치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인터넷 윤리’ 가 무엇보다도 전제가 되어야 하며 인터넷 문화도 선진적인 남을 먼저 배려할 수 있는 네티즌 문화의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사회의 윤리의식의 제고도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은 어디까지나 현실 세계의 반영일 뿐이다. 현실세계에서 윤리 의식이 바로 서지 못한 상태에서 인터넷 윤리가 바로 서기를 기대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악성댓글 역시 다른 사람들을 배려할 줄 모르고 무절제한 공격 성향만 높아지고 있는 현실 세계의 혼탁한 풍조가 만들어낸 배설물일 뿐이다. 악성 댓글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결국 현실 세계에서의 윤리 의식으로부터 찾아야 할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최근 우리사회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연예인 자살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최진실의 자살을 정점으로 많은 연예인들이 자살이라는 극단적 방법으로 자신의 생을 마감하고 있는데는 각기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겠지만 연예인들의 자살은 크게 직업적 특성으로 인해 오는 우울증 및 매체의 발달,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악성 댓글의 영향으로 볼 수 있겠다. 일반적인 자살의 경우 영향이 다른 사람으로까지 미치지 않지만 연예인들의 자살의 경우는 사회적인 모방자살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현대 연예인이란 직업은 청소년들에게 특히 선망의 직업이며 사회적 이슈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직업이다. 따라서 자라는 청소년들에게 까지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데에 큰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예인들의 자살을 위한 대책으로는 먼저 사회적으로 공동체의 문화의식을 함양해서 다양성을 존중 해 줄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며, 부의 균등한 분배체계의 확립과 연예인들의 자살의 원인인 악성 댓글의 방지 또한 중요할 것이다. 끝으로 인터넷 윤리 선진적인 네티즌 문화의 형성을 위해서 우리사회의 윤리의식의 제고도 필요하다. 어디까지나 인터넷은 현실세계의 반영일 뿐이기 때문이다. 현실세계가 바로서지 못한다면 인터넷 세계도 바로 서지 못할 것이다.
연예인들의 잇따른 자살 사건 소식들을 접하면서 우리의 기분도 덩달아 우울해지고 꼭 자살을 선택해야 했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앞으로는 연예인들의 자살 사건들이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글을 마친다.
5. 참고문헌
자살 (자살의 역사와 기술, 기이한 자살 이야기)/마르탱 모네스티에/한명희 / 새움
어느 쓸쓸한 날의 선택, 자살(삶과 죽음에 대한 세계 지성인들의 명쾌한 진단)/프리드리히 니체/주정관 역/북스토리
돌이킬 수 없는 결정, 자살/폴 퀸네트/ 이혜선 역/학지사
자살(인간만의 파괴적 환상)/토마스 브로니쉬/이재원 역/이끌리오
박상칠외,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8)
인간은 왜 자살하는가 / 어윈, 스팅겔 / 조선일보사 / 1986
자살: 도대체 왜들 죽는가 / Monesteir, Matin / 새움 / 1999
박용천 한양의대 신경정신과 교수『연예인, 우울증 그리고 자살의 신경정신과적 분석』2007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유범희 교수의 견해 악플러의 심리적 분석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의 견해 악플대책
임홍기 사이버수사대장의 견해 악플의 대책 및 전망
그 외의 네이버 블로그 및 뉴스기사 참고
모방자살이 증가하는 이유는 유명인의 자살에서 오는 동조의식이 자신의 자살을 합리화하는 전염 효과를 갖게되어 죽음이 해결책이라는 생각을 쉽게 하게 된다. 또한 비슷한 방법으로 자살을 하는 것은 자살의 구체적 수단과 방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베르테르 현상의 영향
유명 연예인이 자살할 때 언급되는 이론은 베르테르 효과이다. 베르테르 효과는 이제까지 발생했던 연예인을 따라 자살한 청소년과 일반인들의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자살 방지를 위한 대책
그렇다면 이러한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대책들이 필요할 것인가? 자살은 일반적인 범죄의 행위와 달리 자신의 자기 부정에서 오는 극단적인 문제 해결 수단이기 때문에 상대가 있는 범죄나 일탈 같은 경우보다 극복해 나가기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다. 먼저 이러한 상대가 없는 자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치의 다양화를 위한 사회 공동체의 문화의식의 함양이 가장 중요한 해결방법일 것이다. 왜냐하면 가치의 다양성이나 다원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문화의식 수준으로 확립되지 않을 경우 자신이 누리던 명예와 권력 또는 부의 상실에서 오는 허탈감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이러한 문화의식이 저변에 확대된 사회보다 더욱더 심각하게 인식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언제든 인기와 부와 명예를 잃을 수도 얻을 수도 있고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나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당연한 것이란 의식의 사회 확산이 되어 있는 경우 결코 이러한 자살은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의 균등한 분배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부의 불균등 정도가 심각하게 될 경우 극빈 계층의 경우 돌파구를 찾을 수 없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이 사라질 때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를 일이다. 특히 우리사회에 최근 들어 젊은 청소년들이 모방자살이나 자살을 많이 시도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사이버 상에서 절제되지 않는 많은 일탈을 부추기는 사이트가 활동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터넷의 무분별한 사회적 일탈을 부추기는 웹상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과 감찰활동과 방지를 위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 악성 댓글의 방지가 중요할 것이다. 실명제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실명제가 행해진다고 하여도 악성 댓글의 폐해는 여전히 있다. 단적인 예로 가수 유니와 개그우먼 김형은씨의 죽음을 둘러싼 악성 댓글들이 완벽한 실명제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싸이월드 미니홈피 였다는 사실만 보아도 실명제는 악성 댓글 방지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힘들다. 제도적으로 네티즌들의 댓글들을 규제하는 방안도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는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장 좋은 해결책은 무엇보다도 네티즌들의 공동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소수의 악플러들을 향해 다수의 네티즌들이 보여주는 강력한 대응이야말로 악성 댓글 퇴치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인터넷 윤리’ 가 무엇보다도 전제가 되어야 하며 인터넷 문화도 선진적인 남을 먼저 배려할 수 있는 네티즌 문화의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사회의 윤리의식의 제고도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은 어디까지나 현실 세계의 반영일 뿐이다. 현실세계에서 윤리 의식이 바로 서지 못한 상태에서 인터넷 윤리가 바로 서기를 기대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악성댓글 역시 다른 사람들을 배려할 줄 모르고 무절제한 공격 성향만 높아지고 있는 현실 세계의 혼탁한 풍조가 만들어낸 배설물일 뿐이다. 악성 댓글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결국 현실 세계에서의 윤리 의식으로부터 찾아야 할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최근 우리사회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연예인 자살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최진실의 자살을 정점으로 많은 연예인들이 자살이라는 극단적 방법으로 자신의 생을 마감하고 있는데는 각기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겠지만 연예인들의 자살은 크게 직업적 특성으로 인해 오는 우울증 및 매체의 발달,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악성 댓글의 영향으로 볼 수 있겠다. 일반적인 자살의 경우 영향이 다른 사람으로까지 미치지 않지만 연예인들의 자살의 경우는 사회적인 모방자살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현대 연예인이란 직업은 청소년들에게 특히 선망의 직업이며 사회적 이슈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직업이다. 따라서 자라는 청소년들에게 까지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데에 큰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예인들의 자살을 위한 대책으로는 먼저 사회적으로 공동체의 문화의식을 함양해서 다양성을 존중 해 줄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며, 부의 균등한 분배체계의 확립과 연예인들의 자살의 원인인 악성 댓글의 방지 또한 중요할 것이다. 끝으로 인터넷 윤리 선진적인 네티즌 문화의 형성을 위해서 우리사회의 윤리의식의 제고도 필요하다. 어디까지나 인터넷은 현실세계의 반영일 뿐이기 때문이다. 현실세계가 바로서지 못한다면 인터넷 세계도 바로 서지 못할 것이다.
연예인들의 잇따른 자살 사건 소식들을 접하면서 우리의 기분도 덩달아 우울해지고 꼭 자살을 선택해야 했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앞으로는 연예인들의 자살 사건들이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글을 마친다.
5. 참고문헌
자살 (자살의 역사와 기술, 기이한 자살 이야기)/마르탱 모네스티에/한명희 / 새움
어느 쓸쓸한 날의 선택, 자살(삶과 죽음에 대한 세계 지성인들의 명쾌한 진단)/프리드리히 니체/주정관 역/북스토리
돌이킬 수 없는 결정, 자살/폴 퀸네트/ 이혜선 역/학지사
자살(인간만의 파괴적 환상)/토마스 브로니쉬/이재원 역/이끌리오
박상칠외,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8)
인간은 왜 자살하는가 / 어윈, 스팅겔 / 조선일보사 / 1986
자살: 도대체 왜들 죽는가 / Monesteir, Matin / 새움 / 1999
박용천 한양의대 신경정신과 교수『연예인, 우울증 그리고 자살의 신경정신과적 분석』2007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유범희 교수의 견해 악플러의 심리적 분석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의 견해 악플대책
임홍기 사이버수사대장의 견해 악플의 대책 및 전망
그 외의 네이버 블로그 및 뉴스기사 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