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자동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능형자동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자동차 시뮬레이터

1.1. 차량 시뮬레이터의 정의
1.2. 운전 시뮬레이터 구성
1.3. 운동 기구
드럼식
실린더식
1.4. 시뮬레이션 요소
1.5. 차량 시뮬레이션 시스템
1.5.1. 시각 및 음향 시스템
1.5.2. 운동 시스템
1.5.3. 제어 힘 로딩 시스템
1.5.4. 시스템 통합

2. 실험 데이터를 통한 Human Parameter 분석

2.1. Speed / Clearance / Acceleration / Brake Torque / Throttle Plot
2.2. TTC-1 Plot
2.3. 속도에 따른 가/감속 특성 해석 및 결과 & 고찰

본문내용

나오는 플랫폼의 목표운동을 제어하여 정확하게 재현하는 제어알고리즘이다.
1.5.3. 제어 힘 로딩 시스템
운전자의 운전 조작행위를 정확히 검출하여 시스템에 피드백하고, 부가적으로 실제감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계기판에 차량의 주행상태 정보를 적절히 표시하며, 각종 운전 조작부가 실차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운전자에게 반력 및 반토크를 재현하는 것이 제어 힘 로딩 시스템이다. 현실감 측면에서 조향 핸들에 전달되는 반토크의 재현은 중요하며, 이는 기본적으로 차량에 의해 좌우되는 조향 시스템의 특성 및 주행 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촉각은 인체의 다른 감각보다 예민하게 반응하므로 제어힘로딩 시스템은 빠른 재현률(Update Rates)로 큐를 전달하여야 한다.
1.5.4. 시스템 통합
차량 시뮬레이터의 개발은 운전자가 차량 운전 중 조작하는 모든 행위를 검출하여 차량의 거동을 실시간으로 해석하며, 이를 운전자에게 적절한 운동 및 시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여야 하는 고난이도의 시스템 통합 기술을 필요로 한다. 각 서브시스템의 정보 및 데이터를 동적으로 상호 교환하고, 동기화 등을 전체 시스템의 관점에서 관리하고 운용하는 시스템 통합은 시뮬레이터의 초기 개념설계 단계에서부터 신중히 고려되어 시뮬레이터의 성능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차량 시뮬레이터에서 운전자에게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시각, 청각 및 운동 큐가 운전 조작행위에 기인하여 예측되는 감각적 결과와 어떠한 지연 없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연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환경에서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요소이다. 즉, 차량동력학의 해석에 걸리는 연산 시간과 시각 및 운동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지연 등을 말하며, 이를 트랜스포트 지연(Transport Delay)이라 하는데 이는 각 서브시스템에 가해진 입력과 이에 반응하여 얻어지는 시간간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때문에 최소한의 지연을 갖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여야하며, 필요시 이를 보상하여 동기화를 꾀하는 보상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2. 실험 데이터를 통한 Human Parameter 분석
2.1. Speed / Clearance / Acceleration / Brake Torque / Throttle Plot
2.2. TTC-1 Plot
2.3. 속도에 따른 가/감속 특성 해석 및 결과 & 고찰
① 데이터 분석을 위해 아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저속/가속 구간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② 34.615s~37.26s, 42.645s~45.28s, 49.315s~53.145s의 세 구간을 선택한다.
③ 위 구간의 가속도와 역충돌시간(Inverse Time To Collision)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④ 저속/가속 상황의 가속도와 TTC-1의 크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Acceleration analysis [m/s^2]
TTC-1 analysis [1/s]
Percentile
Percentile
95
Mean
5
95
Mean
5
Low speed /
Acceleration
0.0847
2.2605
3.9285
-1.7635
0.1469
1.1022
⑤ 가속도 분석은 차량 주행제어 설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TTC은 작을수록 충돌위험이 작고 편차가 작을수록 정상상태 주행을 하게 된다. 속도 프로파일과 TTC의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고속 주행 상태에서는 저속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TTC의 편차가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고속 주행상태에서 위험할 것이라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고속일 때가 저속일 때보다 덜 위험하게 된다. 즉, 급정차나 급출발의 위험이 없는 고속주행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편하게 앞 차량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런 현상은 TTC의 값으로 확인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초점을 맞춘 구간은 저속 가속 상황의 구간이다. 즉, 앞 차량이 저속상태에서 주행하게 되는데 이 차량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가감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는 심하게 진동하는 throttle과 brake torque의 그래프 곡선 특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TTC의 값이 동구간에서 심한 편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주행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고 충돌의 위험이 아주 큰 상황인 것이다. 실제로 시뮬레이션 실험을 했을 때에도 처음 저속 구간에서 실험자가 앞 차량과의 거리를 유지하는데 고속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3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