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통화 논란 = 그끝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축통화 논란 = 그끝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1
1. 선정동기 ……………………………… 1
2. 기축통화 문제의 이슈 ……………………………… 1

Ⅱ. 본 론 …………………………… 2
1. 기축통화[基軸通貨, key currency] ……………… 2
2. 미국의 달러의 기축통화 과정 ……………… 2
(1) 제1차 세계대전 ……………………………………… 2
(2) 금과 화폐 ……………………………………… 3
(3) 대공황과 미국의 정책 …………………………… 4
3. 기축통화 논쟁의 과정 ……………………………… 5
4. 기축통화 논쟁의 현황 ……………………………… 6
(1) 중국의 주장 ……………………………………… 7
(2) 미국의 입장 ……………………………………… 9
(3) 주변국의 반응 ……………………………………… 9
5. 美ㆍ中 기축통화 논쟁이 한국에 주는 의미 ……… 11

Ⅲ. 결 론 …………………………… 12
1. 시사점 ………………………………………… 12
2. 느낀점 ………………………………………… 12

본문내용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 통화에 대한 논의가 극히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몇 달 내에 이런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 측 제안을 옹호하고 나서면서 미국 측도 전날 강경했던 기류에서 한발 빼 다소 열린 자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기축통화의 체제에 변화를 가하려는 움직임은 중국 인민은행장 제안으로 촉발 되었다. 저우샤오촨 인민은행장 주장에 대해 일부 신흥경제국들은 동조한 반면에 달러 발행국인 미국은 강하게 이를 일축하며 확산을 경계했다. 그러나 국내통화기금(IMF)의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는 프랑스 의회 재무위 소속 의원들과 회동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 통화에 대한 논의가 극히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몇 달 내에 이런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 측 제안을 옹호하고 나서면서 미국 측도 전날 강경했던 기류에서 한발 빼 다소 열린 자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4. 기축통화 논쟁의 현황
세계 기축통화 주도권을 두고 미국과 중국의 치열한 전쟁이 G20을 넘어 계속되고 있다. 진정한 세계 금융위기의 진앙지인 미국. 그리고 흔들리는 달러. 이를 노린 EU와 중국이 있다. 조금씩 틈을 노리던 중국이 드디어 야심을 드러냈다
중국은 최근 달러를 대체할 새로운 `슈퍼통화`로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사용 확대를 주장하는 등 러시아, 인도, 브라질 등 브릭스 국가들과 동조해 달러 흔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또한 중국은 한국, 벨라루스, 홍콩,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등과 통화스와프를 계약하면서 위안화 기축통화 만들기에 더욱더 힘쓰고 있다.
특히 저우샤오촨 은행장이 인민은행 웹사이트를 통해 제안한 `새로운 기축통화` 도입은 달러 지위를 무너뜨리고 장기적으로 위안화 지위를 격상시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저우 은행장은 \"새 슈퍼 기축통화가 달러 같은 화폐에 내재된 위험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로벌 유동성 관리도 가능하게 해줄 것\"이라며 달러에 전면적인 도전장을 내밀었다.
한편 기축통화 달러를 수성하고자 하는 미국의 노력도 만만치 않다.
호주, 뉴질랜드 등 비유로권 국가는 물론 EU, 영국 등 유로권 국가들이 미국과 통화스왑 우산 아래 있다. 거미줄처럼 스왑 라인을 뻗치면서 기축통화로서 달러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미국은 EU, 영국 등과는 달러 베이스 통화스왑이 아닌 유로, 파운드 베이스 스왑 라인까지 개설하면서 이들 국가와 국제적인 공조의 발을 맞추고 있다
※통화스왑이란??
-통화를 교환(swap)한다는 뜻으로, 두 거래 당사자가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한 시점에서 통화를 서로 교환하는 외환거래를 가리킨다. 상대국 통화를 사용하여 환시세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인데, 단기적 환헤지보다는 주로 중장기적 환헤지의 수단으로 이용된다
※특별인출권 (特別引出, Special Drawing Rights, SDR))은, IMF 가맹국이 국제 수지 악화 때 담보 없이 필요한 만큼의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 또는 통화이다.
(1) 중국의 주장
중국의 주장에 의하면 특정 국가 화폐가 국제무역의 기준이 되지 않으면 각국 환율정책은 경제적 불균형을 조절하는데 훨씬 효과적인데다가 닥쳐올 위기를 줄이고 위험관리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에 동조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러시아는 중국보다 더 강력한 발언을 하고 있다. IMF에서 아예 새로운 세계화폐를 찍어내어 세계 중앙은행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달러의 위치가 매우 휘청거리는 형국이다. 현재의 달러약세의 분위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분위기는 확대되고 있다. 미국이 대규모 무역-재정 적자에 금융위기가 겹치면서 달러를 마구잡이로 찍어내 달러약세가 지속되자 공개적으로 기축통화 지위에서 끌어내려야 한다는 공감대가 신흥 강대국 사이에서 번지고 있다.
이처럼 중국, 러시아 등에서 ‘달러 흔들기’에 집중하고 있지만 새로운 기축통화가 등장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미 대부분 국가 외환보유액이 달러로 채워진 마당에 대체가 단기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 저우 총재의 의견에 찬성하는 입장>
ㅇ Chi Fuling 중국(하이난)개혁발전연구소 소장은, 달러화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세계경제를 더 취약하게 만든다고 지적하면서, 균형잡히고 공정한 국제통화제도의 필요함을 3.31일 역설
ㅇ Sun Lijian 푸단대학(Fudan University) 교수도, 저우 총재의 이런 제안과 이에 대한 신흥 개도국 등의 동조는 적어도 미국으로 하여금 신중한 통화정책을 펴게 하는데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 또한 미국 중심의 세계 금융경제에서 서서히 질서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첫째, 시가총액으로 전세계 은행들의 순위에 지각변동이 나타나고 있으며, 지각변동의 과정에서 중국계 은행들이 약진하고 있다.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계 금융기관의 시가총액은 5,091억 달러로 미국의 3,781억 달러, 영국의 1,186억 달러를 압도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3대 국유상업은행인 공상은행, 건설은행, 중국은행이 1~3위를 모두 차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이 금융 강국의 하나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는 중요한 증거 중의 하나일 것이다.
- 둘째, 중국은 세계 최대 외환 보유국인 동시에 최대 미 채권 보유국가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2조 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고를 기반으로 주변국과의 통화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1조 달러를 넘어선 미 국채 보유가 말해주 듯이 국제 채권시장시장에서 그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는 국제금융질서의 재편과정에서 중국의 발언권이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셋째, 중국은 주변국은 물론 중남미 국가와의 통화스왑을 통해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구하고 있다. 벌써 한국,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벨라루시, 아르헨티나 등 6개국과 총 6,500억 위안(950억 달러)에 달하는 통화스왑을 체결하였다. 또한 중국은 주변국과의 무역결제통화로서 위안화를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미 중국내 5개 도시에서 국제무역시 위엔화 결제방침이 허용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6.02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