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동학습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습구조이론
2. 협동학습의 개념
3. 전통적 소집단 학습과 협동학습의 비교
4. 협동학습의 특징
5. 협동학습의 장점
6. 협동학습의 단점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
7. 협동학습의 모형
8. 현역 교사가 말하는 협동학습 실천을 위한 몇 가지 제언

Ⅲ . 가정과 교육에서의 실제 적용

Ⅳ.결론

본문내용

hecker)는 구성원들이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관찰한다. 연구실행자(researchert-runner)는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다른 집단과 교사와의 의사소통을 담당한다. 기록자(recorder)는 소집단의 결정과 보고서를 기록한다. 응원자(encourager)는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관찰자(observer)는 집단 과정과 협동적인 활동들을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 관찰한다.
⑦ 과제에 대한 설명(explaining the academic task)
학생에게 과제를 배분할 때 교사는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 개인 구성원 각자가 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분명하고 명확하게 할당하여야 한다.
- 수업을 함으로써 얻게 되는 결과 행동, 즉 목표를 분명하게 설명해 주고 그것과 관련된 개념이나 사전에 배웠던 관련 정보가 무엇인지 알려 주어야 한다.
- 관련 개념을 정의해 주고, 학생이 밟아야할 수업 절차를 설명해주고 적절한 예를 들어주는 것도 좋다. 아울러 이전 수업과 지금의 수업이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해주는 것도 매우 도움이 된다.
- 교사가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서 학생이 자신의 역할 분담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를 통해서 과제가 효과적으로 배분되었는지와 학생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⑧ 긍정적 목표상호의존성의 구조화(structuring positive goal interdependence)
협동 학습은 소집단 구성원이 \'함께 살고 함께 죽는\'(sink or swim together)학습 상황을 강조한다.각 학생이 자기에세 주어진 분담 과제를 완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른 동료들도 각자의 분담 과제를 완성해야 소집단 전체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대표적으로 과제와 보상의 두 가지 구조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먼저 과제를 통한 방식은 구성원들에게 과제는 분담하게 하되 결과 보고서는 단일한 것으로 요구하여 모든 학생의 서명을 받게 한다든지, 임의로 한 학생을 선택해서 자신들의 과제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다든지 해서 모든 구성원이 그 과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수행하였는지를 점검한다. 다음으로 보상을 통한 방식은 과제를 끝낸 후에 개인적 시험을 치루어서 소집단 전체 점수에 반영하거나 특정한 기준에 도달한 구성원의 수에 따라 보상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구성원 간에 긍정적인 목표 상호의존성을 구조화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우리의 운명은 너에게 달려있다\'와 \'우리가 어떻게 너를 도울 수 있겠니?\'하는 두가지 생각을 갖게 만든다.
⑨ 개별적 책무성의 구조화(structuring individual accountability)
개인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들이 과제를 완성하도록 돕지 못하고, 개인에게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지 못한다면 진정한 협동학습이 아니다. 개인은 자신의 과제는 물론 다른 구성원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있다. 교사는 이를 위해서 교사는 임의로 한 집단의 한 개인을 지적해서 질문을 하거나 다른 구성원의 활동을 점검하게 하거나 집단을 평가할 때 임의의 한 구성원의 성적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개별적 책무성을 강조한다.
⑩ 집단간 협동의 구조화(structuring intergroup cooperation)
집단내의 협동학습의 긍정적 결과는 집단 사이의 협동에서도 확장될 수 있다. 한 소집단이 자신들의 과제를 다 끝냈을 때 다른 집단의 활동을 도와줄 수 있다.
⑪ 성취의 기준 설명(explaining criteria for success)
교사는 학생이 성취해야 할 절대적 기준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그래서 학생이 다른 학생의 목표를 파괴하면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집단에 따라 성취 목표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주간이나 월별로 목표의 점진적인 상향 조정을 하여 구체적으로 학생의 진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⑫ 바람직한 행동의 상세화(specifying desired behavior)
협동 학습 활동에서 바람직한 행동들을 학생들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자신이 속한 소집단에 머물러있기\', \'낮은 목소리로 말하기\', \'차례를 기다리기\', \'동료들의 이름을 불러 대화하기\'등과 같이 초보적인 행동 규칙에서 부터, \'어떻게 정답을 찾았는지 설명하기\', \'이전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관련시키기\', \'자료를 이해하고 동료들이 도출한 정답에 동의하기\', \'동료들을 격려하기\', \'동료들이 발표하는 것을 잘 듣기\', \'다수의 압력이 아니라 논리로 동료를 설득하기\', \'사람을 비판하지 말고 주장을 비판하기\'등의 규칙들이 상세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⑬ 학생의 행동을 모니터하기(monitoring students\' behavior)
협동학습에서 학생이 학습활동을 하는 동안 교사는 학생이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제대로 협동 할동을 하는지를 알기 위해 관찰을 해야 한다. 수업 시간이 길 때에는 체계적 관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계적인 관찰은 \'집단목표에 기여하는 아이디어를 말하기\', \'질문하기\', \'느낌을 표현하기\', \'적극적으로 듣기\', \'아이디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표현하기\', \'격려하기\', \'참여를 독려하기\', \'요약하기\', \'이해했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농담으로 긴장풀기\', \'집단 활동의 방향 제시하기\' 등의 점검 목록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 좋다. 때로는 학생을 관찰자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단순한 점검을 하도록한다.
⑭ 과제 지원(providing task assistance)
교사는 학생의 활동을 모니터하면서 수업의 과정을 명확하게 하고, 할당된 과제를 완수하는데 중요한 과정과 전략을 개관하고, 질문에 답하고, 필요한 과제 수행 기능을 가르쳐야 한다. 이때 교사는 구체적인 표현을 통해서 바람직한 행동과 긍정적 전이를 촉진시켜야 한다.
⑮ 개입을 통한 협력적 기능 가르치기(intervening to teach collaborative skills)
교사는 모니터를 하는 가운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필요하다고 생각될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09.06.02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