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언브레이커블 - 선과 악에 관하여 *
- 목차 -
1. 선과 악
2. 나이트 M. 샤말란
3. 영화 '언브레이커블'
1) 영화의 시작
2) 동부선 177호의 사고
3) 초대장
4) 선과 악의 시작
5) 영웅의 발견
6) 자각
7) 시작
8) 드러난 진실
4. 단면에서 양면으로
1) 영웅과 악당
2) 선과 악의 양면성
3) 하나로부터 시작된 둘, 그 사이에서의 인간
4) 선과 악의 오래된 역사
5. 동전의 양면이론
- 목차 -
1. 선과 악
2. 나이트 M. 샤말란
3. 영화 '언브레이커블'
1) 영화의 시작
2) 동부선 177호의 사고
3) 초대장
4) 선과 악의 시작
5) 영웅의 발견
6) 자각
7) 시작
8) 드러난 진실
4. 단면에서 양면으로
1) 영웅과 악당
2) 선과 악의 양면성
3) 하나로부터 시작된 둘, 그 사이에서의 인간
4) 선과 악의 오래된 역사
5. 동전의 양면이론
본문내용
깨어난 곳은 다름 아닌 병원이다. 주인공의 바로 옆방에 많은 의사들이 한 환자에게 매달려 있다. 그 중 한명이 깨어난 주인공을 보고, 그에게 다가가 신기한 눈으로 쳐다보면 이것저것 물어보는데, 주인공은 그 이유를 묻는다. 열차가 탈선했는데, 살아남은 생존자는 주인공 한명뿐이었고(이 말을 해줄 때쯤 그나마 살아있던 또 한명의 생존자가 죽는다) 털끝하나 다친 곳이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렇게 병원에서 나온 주인공을 아내와 조셉이 반긴다. 조셉은 주인공과 아내의 손을 잡도록 해주지만, 조셉이 돌아섰을 때 주인공과 아내는 자연스럽게 손을 놓는다. 여기서 다시 한 번 주인공과 아내의 상태를 암시하고 있다.
3) 초대장
주인공은 동부선 177호 사고자 추도식에 참석하고 나서 집에 돌아가기 위해서 차로 향한다. 그러다 차의 앞 유리에 놓여있는 편지를 한 장 발견한다. 그 편지 표면에는 한정판 화랑이라는 문구와 함께, 안에 ‘평생 동안 몇 번이나 병에 걸렸습니까?’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이에 문득 궁금해진 주인공은 회사에 출근하였을 때, 경리에게 반장님이 오시면 자신이 병가를 몇 번 내었었냐고 물어봐달라고 부탁한다. 그 날 오후 퇴근할 무렵 반장은 월급 올려달라고 시위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라면서 40달러 올려준다고 말한다. 이에 주인공이 의아해하자 반장은 주인공이 5년 동안 단 한 번도 병가를 낸 적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 이 얘길 들은 주인공은 그날 집에 가서 아내에게 심각하게 물어본다. 하지만 아내는 잘 기억하지 못한다.
4) 선과 악의 시작
영화에서 잠시 시간을 거슬러 또 다른 주인공인 엘라이자의 어린 시절로 되돌아간다. 유리 선생이라고 불릴 정도로 뼈가 선천적으로 허약한 엘라이자는 또 다시 팔이 부러지고 나서는 다시는 나가지 않을 것을 결심한다. 그에 엘라이자의 어머니는 영웅이 나오는 만화책을 조건으로 밖에 나갈 것을 요구하며, 그때를 시점으로 엘라이자는 선과 악을, 그리고 그것의 구조에 대해 접하게 된다.
5) 영웅의 발견
초대장을 받은 데이비드 던은 ‘한정판 화랑’으로 조셉과 함께 직접 찾아간다. 거기서 데이비드 던은 엘라이자를 만나게 되고, 엘라이자는 자신이 접한 영웅을 다루는, 좀 더 근본적으로는 선과 악에 대해 다루는 만화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만화란 단순히 읽고 즐기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산물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자기가 어떤 병을 앓고 있으며, 자신과 같은 존재가 있다면 분명 절대 다치지 않는 존재가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데이비드 던에게 아픈 적은 언제인지, 다친 적은 있는지 자세하게 물어보게 된다. 이에 데이비드 던이 젊은 시절에 겪은 교통사고로 풋볼을 그만두었다는 말하였고, 엘라이자는 가능성은 있지만 허점투성인 가능성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던은 그것조차 믿지 않는다
며칠 뒤 데이비드 던이 일하는 곳으로 엘라이자가 찾아가고, 두 사람간의 대화 도중에, 경기 관람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던 어떤 한 남자와 데이비드 던이 부딪히게 된다. 순간 데이비드 던은 멈칫했고, 직장동료에게 몸수색 할 것을 지시한다. 이런 상황에 엘라이자는 이유를 물었고, 데이비드 던은 저 사람이 무기를 갖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으며, 진정으로 무기를 가지고 있다면 돌아갈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자 정말 그 남자는 잠시 뒤 은근슬쩍 대열에서 이탈해 돌아갔고, 이에 놀란 엘라이자는 데이비드 던에게 평소에 느끼는 그런 부류의 직감에 대해서 자세하게 물어보면서 영웅들의 공통적 특성인 특수 능력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던은 믿지 않고, 엘라이자 곁을 나온다. 차안으로 돌아온 엘라이자는 우연히 대열에서 이탈한 그 남자를 발견하게 되고 뒤쫓게 된다. 그를
3) 초대장
주인공은 동부선 177호 사고자 추도식에 참석하고 나서 집에 돌아가기 위해서 차로 향한다. 그러다 차의 앞 유리에 놓여있는 편지를 한 장 발견한다. 그 편지 표면에는 한정판 화랑이라는 문구와 함께, 안에 ‘평생 동안 몇 번이나 병에 걸렸습니까?’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이에 문득 궁금해진 주인공은 회사에 출근하였을 때, 경리에게 반장님이 오시면 자신이 병가를 몇 번 내었었냐고 물어봐달라고 부탁한다. 그 날 오후 퇴근할 무렵 반장은 월급 올려달라고 시위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라면서 40달러 올려준다고 말한다. 이에 주인공이 의아해하자 반장은 주인공이 5년 동안 단 한 번도 병가를 낸 적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 이 얘길 들은 주인공은 그날 집에 가서 아내에게 심각하게 물어본다. 하지만 아내는 잘 기억하지 못한다.
4) 선과 악의 시작
영화에서 잠시 시간을 거슬러 또 다른 주인공인 엘라이자의 어린 시절로 되돌아간다. 유리 선생이라고 불릴 정도로 뼈가 선천적으로 허약한 엘라이자는 또 다시 팔이 부러지고 나서는 다시는 나가지 않을 것을 결심한다. 그에 엘라이자의 어머니는 영웅이 나오는 만화책을 조건으로 밖에 나갈 것을 요구하며, 그때를 시점으로 엘라이자는 선과 악을, 그리고 그것의 구조에 대해 접하게 된다.
5) 영웅의 발견
초대장을 받은 데이비드 던은 ‘한정판 화랑’으로 조셉과 함께 직접 찾아간다. 거기서 데이비드 던은 엘라이자를 만나게 되고, 엘라이자는 자신이 접한 영웅을 다루는, 좀 더 근본적으로는 선과 악에 대해 다루는 만화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만화란 단순히 읽고 즐기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산물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자기가 어떤 병을 앓고 있으며, 자신과 같은 존재가 있다면 분명 절대 다치지 않는 존재가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데이비드 던에게 아픈 적은 언제인지, 다친 적은 있는지 자세하게 물어보게 된다. 이에 데이비드 던이 젊은 시절에 겪은 교통사고로 풋볼을 그만두었다는 말하였고, 엘라이자는 가능성은 있지만 허점투성인 가능성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던은 그것조차 믿지 않는다
며칠 뒤 데이비드 던이 일하는 곳으로 엘라이자가 찾아가고, 두 사람간의 대화 도중에, 경기 관람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던 어떤 한 남자와 데이비드 던이 부딪히게 된다. 순간 데이비드 던은 멈칫했고, 직장동료에게 몸수색 할 것을 지시한다. 이런 상황에 엘라이자는 이유를 물었고, 데이비드 던은 저 사람이 무기를 갖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으며, 진정으로 무기를 가지고 있다면 돌아갈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자 정말 그 남자는 잠시 뒤 은근슬쩍 대열에서 이탈해 돌아갔고, 이에 놀란 엘라이자는 데이비드 던에게 평소에 느끼는 그런 부류의 직감에 대해서 자세하게 물어보면서 영웅들의 공통적 특성인 특수 능력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던은 믿지 않고, 엘라이자 곁을 나온다. 차안으로 돌아온 엘라이자는 우연히 대열에서 이탈한 그 남자를 발견하게 되고 뒤쫓게 된다. 그를
추천자료
현실 속의 영화, 영화 속의 현실
[영화분석]포스트모더니즘과 블래이드러너
영화 초콜릿의 기호학적 해석 및 감상문
영화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보고.....
영화 - 개와 늑대사이의 시간을 보고....
사회철학 개혁의 선구자, 하버마스
디스트릭트9으로 본 SF영화의 특징
[공자][공자 철학][공자 정명사상][공자 정치사상][공자 개혁론][공자 禮(예)][공자와 군자][...
[존 듀이][교육철학][교육이론][교과][경험과 교육]존 듀이의 생애, 존 듀이의 교육철학, 존 ...
(현대의서양문화A형)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철학분야...
피타고라스의 철학 이해 - 『The hours』와 연관하여
‘매트릭스’가 전달하는 철학함 -
상담치료와 철학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을 중심으로한 철학상담 교안
[감상문] 영화 her-인간과 로봇의 사랑은 가능할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