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상업적 장르영화 ? - SF란 범주
2-1. SF영화의 정의와 계보
2-2. SF영화만이 가지는 그 독특한 특징
3. SF영화가 가지는 '우회로'
3-1. SF, 세상을 들여다보는 또 하나의 창
3-2. SF영화의 주요소재가 가지는 담론
3-3. 장르영화가 은유하는 세계와 우회로 <디스트릭트9>
4. 문화비판의 유형으로 살펴본 SF영화의 의미와 한계점
4-1. 영화로 본 문화비판의 유형, 확장단계
4-2. 철학적 문화비판 - SF영화의 한계점
5. 결론
2. 상업적 장르영화 ? - SF란 범주
2-1. SF영화의 정의와 계보
2-2. SF영화만이 가지는 그 독특한 특징
3. SF영화가 가지는 '우회로'
3-1. SF, 세상을 들여다보는 또 하나의 창
3-2. SF영화의 주요소재가 가지는 담론
3-3. 장르영화가 은유하는 세계와 우회로 <디스트릭트9>
4. 문화비판의 유형으로 살펴본 SF영화의 의미와 한계점
4-1. 영화로 본 문화비판의 유형, 확장단계
4-2. 철학적 문화비판 - SF영화의 한계점
5. 결론
본문내용
약하다. 올바른 문화 비판이 변화된 세계 속에 문화의 반성과정을 탐구고 반성을 스스로 전개시켜 나가야 한다고 했을 때 한국 SF영화의 반성적 고찰은 향후 영화라는 문화철학의 정립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이 든다.
한국의 SF영화는 손가락으로 셀 수 있는 정도로 미약하다. <천군>(2007), <지구를 지켜라>(2003), <내추럴 시티>(2003), <로스트 메모리즈>(2001) 정도로 살펴볼 수 있는데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없다, 한국 SF영화가 발전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가장 빈번하게 올라오는 것은 아무래도 자본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해운대>나 <국가대표>등의 블록버스터 급의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하고 제작되어지는 상황으로 파악해 볼 때 자본만의 문제로 넘어가기에는 무언가 다른 요인이 있다 판단된다.
한국의 SF장르가 취약한 이유, 그것은 담론화의 실패 때문이 아닐까 한다. 영화는 현실과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50년대 60년대 헐리우드 SF영화가 타자에 대한 무의식적 공포와 억압이 투영된 것으로 읽힐 수 있는 것처럼, SF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세계관과 그 속에 담겨있는 사회적 의미는 사회적인 징후적 독해가 가능한 사례를 제공해준다. 담론이라는 용어는 사회 내에서 개인들의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과정 그리고 결과를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용어이며 의미를 만들어내고 재생산하는 사회적 과정 중에 하나이다. SF영화를 통해 드러나는 영화적 담론 그리고 그 영화에 대한 독해는 현실과 미래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관시킴으로서 관객에게 SF영화의 박진성을 강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매트릭스>(1999)의 현실과 가상공간의 의미를 기존의 사이버펑크 장르에서 한걸음 나아가 사이버스페이스 속 자아가 곧 현실의 나라는 역설적인 의미를 게임 공간의 확장으로 만들어 놓은 것은 SF가 현실의 담론을 어떻게 만들어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 중에 하나이다. 이는 기존의 공고했던 체계를 다시 한 번 사유하게 만드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담론화의 과정은 한국의 SF가 고민해야 하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SF는 이를 전혀 구현하지 못한다. <내추럴시티>의 불법 사이보그 제거요원인 R은 <블레이드 러너>가 보여주는 인간존재자체에 대한 의문과 사이보그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요원과 사이보그와의 단순한 멜로로 전락해버렸다. 기억과 정체성의 문제는 사회적 의제와 사회적 담론화의 좋은 제제임에도 불구하고 CG와 공간을 드러내기 위한 세트, 이미지, 그리고 스펙터클에만 몰입했다. 물신화라고 표현되는 시각화 장면 이후 관객은 현실과의 어떤 연관성을 찾아내기가 혼란스럽고 액션장면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뿐이었다. 이와 같은 설정과 영화적 한계로 인해 한국 SF영화라는 새로운 장르에 대한 기대치는 있으나 결과적으로 실패함과 더불어 SF영화제작의 기피로 나타났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90년대 이후 한국 SF영화의 경향성 연구 :한국적 SF영화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박창선, 동국대대학원, 2007, pp.54~57.
하지만 이후 <괴물>의 흥행과 <박쥐>등의 호평으로 보았을 때 담론의 형성과 더불어 내러티브상의 의미체계를 공고히 할 경우에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SF영화 장르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디스트릭트9>을 보면서 인간이 보여줄 수 있는 상상력의 위대함에 대해 다시금 경탄했었다. 껍데기를 벗겨내면 마치 현실세상을 보는 듯한 은유적인 표현은 영화를 보고난 이후에서 한참동안 영화를 곱씹게 했었다. 게다가 연말의 최대 흥행작인 <아바타>역시도 나비족과 자연에 대한 경외라는 문제제기로 생각할 거리를 만들어주며 다시 한 번 극장으로 발걸음을 잡아끌었다.
이렇게 어떤 장르보다도 공포와 SF가 매력적인 이유는 ‘상상력’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이들은 ‘상상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상력 안에 저마다의 담론을 만들어낸다. 사고의 끄트머리를 잡아서 또 다른 사유로 전환이 가능하게 해주는 SF영화, 데카르트 식의 직선적인 사고로는 더 이상의 삶의 방향을 찾으려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SF영화가 가지는 우회로적인 문화접근은 우리에게 삶의 의미를 제기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는데 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다시 돌봄으로써 우리의 세계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때문에 다른 영화장르보다 철학적 의미를 더 많이 함축하고 그것을 우리가 쉽사리 발견해 맥이 빠지지 않도록 잘 포장하는 것이 SF영화가 하는 주요 노력인 것이고 이 같은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우리는 영화라는 문화를 통해,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에서 언급했듯이 아직 담론화와 내러티브가 약한 우리나라의 SF영화의 발전이 있다면 후에는 한국판 <디스트릭트9>을 기대볼 수 있지 않을까.
* 참고문헌
『우리시대의 문화코드, 영상예술』, 이형관, 신서원, 2003,
『SF의 법칙』, 고장원, 살림, 2008,
『보이는 세계는 진짜일까?』, 조용현, 우물이 있는 집, 2006,
『SF부족들의 새로운 문학혁명, SF의 탄생과 비상』, 임종기, 책세상, 2004,
『하이테크 시대의 SF영화』, 김진우, 한나래, 1995,
『SF의 이해』, 로버트 스콜즈, 에릭 라프킨, 평민사, 1994,
『SF의 이해』, 로버트 스콜즈, 에릭 라프킨, 평민사, 1994,
『문화철학이란 무엇인가』, 랄프 콘너스만, 이상엽 옮김, 북코리아, 2006,
『영화의 이해』, 루이스 자네티, 현암사, 1987
「'유토피아적 가상‘을 통해 본 현대 문화의 의미」, 진석환, 범한철학 제50집, 2008
「SF영화 세트 디자인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SF 영화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디스토피아적 표현방식에 관하여」, 김태은, 홍익대학교, 2002,
「90년대 이후 한국 SF영화의 경향성 연구 :한국적 SF영화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박창선, 동국대대학원, 2007,
「<디스트릭트9> 21세기형 SF를 보여주마.」, 김용언, 씨네21, 2009.10.22
「<디스트릭트9> 가슴 벅찬 원형의 매력」, 배명훈, 씨네21, 2009.10.22
한국의 SF영화는 손가락으로 셀 수 있는 정도로 미약하다. <천군>(2007), <지구를 지켜라>(2003), <내추럴 시티>(2003), <로스트 메모리즈>(2001) 정도로 살펴볼 수 있는데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없다, 한국 SF영화가 발전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가장 빈번하게 올라오는 것은 아무래도 자본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해운대>나 <국가대표>등의 블록버스터 급의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하고 제작되어지는 상황으로 파악해 볼 때 자본만의 문제로 넘어가기에는 무언가 다른 요인이 있다 판단된다.
한국의 SF장르가 취약한 이유, 그것은 담론화의 실패 때문이 아닐까 한다. 영화는 현실과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50년대 60년대 헐리우드 SF영화가 타자에 대한 무의식적 공포와 억압이 투영된 것으로 읽힐 수 있는 것처럼, SF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세계관과 그 속에 담겨있는 사회적 의미는 사회적인 징후적 독해가 가능한 사례를 제공해준다. 담론이라는 용어는 사회 내에서 개인들의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과정 그리고 결과를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용어이며 의미를 만들어내고 재생산하는 사회적 과정 중에 하나이다. SF영화를 통해 드러나는 영화적 담론 그리고 그 영화에 대한 독해는 현실과 미래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관시킴으로서 관객에게 SF영화의 박진성을 강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매트릭스>(1999)의 현실과 가상공간의 의미를 기존의 사이버펑크 장르에서 한걸음 나아가 사이버스페이스 속 자아가 곧 현실의 나라는 역설적인 의미를 게임 공간의 확장으로 만들어 놓은 것은 SF가 현실의 담론을 어떻게 만들어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 중에 하나이다. 이는 기존의 공고했던 체계를 다시 한 번 사유하게 만드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담론화의 과정은 한국의 SF가 고민해야 하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SF는 이를 전혀 구현하지 못한다. <내추럴시티>의 불법 사이보그 제거요원인 R은 <블레이드 러너>가 보여주는 인간존재자체에 대한 의문과 사이보그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요원과 사이보그와의 단순한 멜로로 전락해버렸다. 기억과 정체성의 문제는 사회적 의제와 사회적 담론화의 좋은 제제임에도 불구하고 CG와 공간을 드러내기 위한 세트, 이미지, 그리고 스펙터클에만 몰입했다. 물신화라고 표현되는 시각화 장면 이후 관객은 현실과의 어떤 연관성을 찾아내기가 혼란스럽고 액션장면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뿐이었다. 이와 같은 설정과 영화적 한계로 인해 한국 SF영화라는 새로운 장르에 대한 기대치는 있으나 결과적으로 실패함과 더불어 SF영화제작의 기피로 나타났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90년대 이후 한국 SF영화의 경향성 연구 :한국적 SF영화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박창선, 동국대대학원, 2007, pp.54~57.
하지만 이후 <괴물>의 흥행과 <박쥐>등의 호평으로 보았을 때 담론의 형성과 더불어 내러티브상의 의미체계를 공고히 할 경우에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SF영화 장르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디스트릭트9>을 보면서 인간이 보여줄 수 있는 상상력의 위대함에 대해 다시금 경탄했었다. 껍데기를 벗겨내면 마치 현실세상을 보는 듯한 은유적인 표현은 영화를 보고난 이후에서 한참동안 영화를 곱씹게 했었다. 게다가 연말의 최대 흥행작인 <아바타>역시도 나비족과 자연에 대한 경외라는 문제제기로 생각할 거리를 만들어주며 다시 한 번 극장으로 발걸음을 잡아끌었다.
이렇게 어떤 장르보다도 공포와 SF가 매력적인 이유는 ‘상상력’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이들은 ‘상상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상력 안에 저마다의 담론을 만들어낸다. 사고의 끄트머리를 잡아서 또 다른 사유로 전환이 가능하게 해주는 SF영화, 데카르트 식의 직선적인 사고로는 더 이상의 삶의 방향을 찾으려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SF영화가 가지는 우회로적인 문화접근은 우리에게 삶의 의미를 제기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는데 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다시 돌봄으로써 우리의 세계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때문에 다른 영화장르보다 철학적 의미를 더 많이 함축하고 그것을 우리가 쉽사리 발견해 맥이 빠지지 않도록 잘 포장하는 것이 SF영화가 하는 주요 노력인 것이고 이 같은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우리는 영화라는 문화를 통해,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에서 언급했듯이 아직 담론화와 내러티브가 약한 우리나라의 SF영화의 발전이 있다면 후에는 한국판 <디스트릭트9>을 기대볼 수 있지 않을까.
* 참고문헌
『우리시대의 문화코드, 영상예술』, 이형관, 신서원, 2003,
『SF의 법칙』, 고장원, 살림, 2008,
『보이는 세계는 진짜일까?』, 조용현, 우물이 있는 집, 2006,
『SF부족들의 새로운 문학혁명, SF의 탄생과 비상』, 임종기, 책세상, 2004,
『하이테크 시대의 SF영화』, 김진우, 한나래, 1995,
『SF의 이해』, 로버트 스콜즈, 에릭 라프킨, 평민사, 1994,
『SF의 이해』, 로버트 스콜즈, 에릭 라프킨, 평민사, 1994,
『문화철학이란 무엇인가』, 랄프 콘너스만, 이상엽 옮김, 북코리아, 2006,
『영화의 이해』, 루이스 자네티, 현암사, 1987
「'유토피아적 가상‘을 통해 본 현대 문화의 의미」, 진석환, 범한철학 제50집, 2008
「SF영화 세트 디자인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SF 영화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디스토피아적 표현방식에 관하여」, 김태은, 홍익대학교, 2002,
「90년대 이후 한국 SF영화의 경향성 연구 :한국적 SF영화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박창선, 동국대대학원, 2007,
「<디스트릭트9> 21세기형 SF를 보여주마.」, 김용언, 씨네21, 2009.10.22
「<디스트릭트9> 가슴 벅찬 원형의 매력」, 배명훈, 씨네21, 2009.10.22
추천자료
- [방송대 여가와삶]쿵푸팬더의 철학적 의미의 고찰 및 영화감상문
- 고독한 스승(Lean on me) 영화감상문-교육철학 레포트
- 죽은 시인의 사회 감상문(죽은 시인의 사회 영화감상문, 죽은 시인의 사회 감상문, 죽인 시인...
- 인생은 아름다워 감상문(인생은 아름다워 영화감상문, 인생은 아름다워 감상문, 인생은 아름...
- 파리대왕 감상문(파리대왕 영화감상문, 파리대왕 감상문, 파리대왕 독서감상문, 파리대왕 독...
- 시계태엽 오렌지 감상문(시계태엽 오렌지 영화감상문, 시계태엽 오렌지 독후감, 시계태엽 오...
- 포레스트 검프 감상문(포레스트 검프 영화감상문, 포레스트 검프 감상문,포레스트 검프 독후...
- 서부전선 이상없다 감상문(서부전선 이상없다 영화감상문,서부전선 이상없다 감상문, 서부전...
-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감상문(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영화감상문,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
- 시민 케인 감상문 (시민 케인 영화감상문,시민 케인 감상문, 시민 케인 독후감,시민 케인 줄...
- 집으로 감상문 및 분석 (집으로 영화감상문, 집으로 감상문,집으로 줄거리, 집으로 독후감, ...
- 양들의 침묵 감상문(양들의 침묵 영화감상문,양들의 침묵 감상문, 양들의 침묵 독후감,양들의...
- 여인의 향기 감상문(여인의 향기 영화감상문, 여인의 향기 감상문, 여인의 향기 독후감, 여인...
- 쇼생크 탈출 감상문(쇼생크 탈출 영화감상문,쇼생크 탈출 감상문,쇼생크 탈출 독후감, 쇼생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