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폐의 정의
2. 자폐의 원인과 진단
3. 자폐의 분류와 특징
4. 자폐의 치료
5. 자폐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2. 자폐의 원인과 진단
3. 자폐의 분류와 특징
4. 자폐의 치료
5. 자폐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본문내용
정상황에서 좀더 생산적이 되도록 돕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물리적, 신체적 그리고 언어적 형태로 가르친다.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한 반응을 확실히 가르치기 위해 사회의 어려운 측면이 직접적이고도 명확한 이야기 형식으로 제시된다.
제한 없음
사회적 기술과 행동
TEACCH
Eric Schopler Gary Mesibov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자폐 치료 프로그램을 고안키 위해 자폐문화에 대한 이해를 옹호하고 여러 분야가 서로 연관된 폭넓은 참여 철학. 이 프로그램에는 훈련, 연구, 봉사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다.
시각적, 물리적 지원과 구성은 교육적 프로그램에 있어 효과적인 참여원칙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평생
교육적/ 취업 프로그래밍
정신 이론
( Theoy of mind)
Simon Baron - Cohen
다른 사람들의 정신상태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자신을 다른 사람의 입장과 견해, 믿음, 소망, 정서에 대입시켜 봄. 마음읽기 습득
타인의 정서적 의향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무제한
사회 정서적 측면
(Gail J. Richard(2000) . Autism Treatment Methodologies Comparison Chart ; 여문환,2008에서 재인용 )
(4)심리 치료
a. 음악 치료 : 자폐증을 가진 아동들은 인내심을 가지고 가르치면 리듬과 멜로디에 대한 상당한 감을 느끼게 할 수 있고 절대 음감은 다수의 자폐증을 가진 아동에게 있는 듯 보이는데 다른 일반적인 집단에서보다 자폐증을 가진 아동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능력이며 자폐증을 가진 아동은 말보다 음악을 더 잘 이해한다는 특성을 알 수 있다. (Elisa Gagnon, 2008)
음악치료는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서 장애아동의 행동, 인지, 정서 등 여러 가지 음악 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접근법이다 (황은영,2006) 오래전부터 음악치료는 자폐아동의 사회성, 정서 발달을 위해 적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와 교육의 관점에서 현장에서 이들의 필요와 장애 정도에 따라 각 개인의 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또한 사회일원으로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도와주고 있다. 따라서 음악치료는 자폐아동에게 여전히 융통성이 있으며 적응적인 치료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황은영 , 2006)
- 음악에 대한 반응 -
Rimland(1964);정대영 외 (1997)는 자폐학생의 음악적 능력과 흥미는 보편적이므로 특성진단 기준의 하나로 포함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함.
Thaut(1987);정대영 외 (1997)는 자폐소년들이 시각적 자극보다 청각적 음악자극을 더 선호하였으며 이것은 동년배의 정상소년들과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 음악치료가 자폐학생의 치료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 Thaut(1992)-
대/소근육 운동의 향상
집중력 향상
신체인식의 발달
자기인식의 발달
사회적 기술의 발달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
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발달
습관적인 행동을 진정시키거나 다른 방향으로 돌리고 수용될 수 있는 행동으로 유도함
불안이나 짜증내는 것을 줄이고 과잉행동을 감소시킴
감각에 대한 개념을 일깨우고 감각운동과 연결시킴
- 음악치료의 자폐 적용 실제 -
<표 1> 연구 대상 아동의 특성 (김혜온, 허원 1995 음악치료를 통한 자폐아의 행동수정 연구 - 과잉행동)
대상아동
성별
나이
자폐증 최초 진단시기
CARS-T
ERC-A
주요 행동 특성
A
여
9세 3개월
1~3세
36
30
과잉행동 , 반향어, 고립추구,불완전한 응시
B
남
10세 9개월
3~4세
35.5
27
과잉행동, 헛웃음. 반향어. 불완전한 응시
C
남
14세 5개월
3세
50.5
60
언어능력 결핍,반복적 행동습관, 불완전한 응시, 지각의 불일치
<표 2> 음악치료 프로그램 진행표 (김혜온, 허원 1995)
진행단계
회 기
활동내용
준비물
측정사항
예비단계
1~3
아동행동 관찰
자유놀이
자연스러운 교실환경
-ERC-A
-CARS-T
-음악치료 진단평가
-이석 횟수와 눈맞춤 횟수 (제3회)
도입단계
4~5
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자유놀이
리듬악기 제시와 자유연주
녹음기와 녹음테이프
리듬악기(큰북, 작은북, 템버린, 케스터네츠,트라이앵글)
-이석 횟수
-눈맞춤 횟수
6~8
리듬악기 연주-연구자 연주, 아동은 관찰과 연주 시도-악기 명칭과 연주법 익히기-자유연주
상동
상동
전개단계
9~13
메아리 연주 -아동이 연주하면 연구자는 같은 악기 혹은 다른 악기로 리듬 모방-아동이 연주하면 연구자는 화음 또는 박자를 맞춰 조화를 이루는 연주
연구자의 연주(노래)를 아동이 따라하기
연주(노래)와 함께 언어적 자극: 이름 부르기, 신체부위, 지시어 수행 등
위의 준비물에 가락악기 첨가(실로폰, 리코더, 오르간, 피아노)
-이석횟수
-눈맞춤 횟수
14~15
자유연주
음악에 맞춰 움직이기
음악 들으며 화면 구성하기
위의 준비물에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필, 색종이, 풀, 가위 , 잡지, 화보 등
상동
종합단계
16~18
자유연주
함께 연주하기
함께 노래부르기
9~13회와 동일
-이석 횟수
-눈맞춤 횟수
-음악치료 진단평가
<표 3>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중 이석 횟수(김혜온, 허원 1995)
아동/회기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A
19
12
12
7
6
8
2
6
3
1
1
1
1
1
B
18
4
4
5
4
2
2
1
2
2
0
C
3
2
2
2
3
2
1
0
2
2
0
0
<표 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아의 눈맞춤 횟수에 끼친 효과 분석(김혜온, 허원 1995)
아동/회기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A
7
8
13
10
10
12
13
15
19
22
24
24
24
26
B
5
7
6
10
14
13
15
14
16
16
18
C
6
11
6
8
8
13
16
20
14
17
23
22
결론>>(김혜온, 허원 1995)1. 음악치료 프로그램 활동 중 이석횟수 감소와 눈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한 반응을 확실히 가르치기 위해 사회의 어려운 측면이 직접적이고도 명확한 이야기 형식으로 제시된다.
제한 없음
사회적 기술과 행동
TEACCH
Eric Schopler Gary Mesibov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자폐 치료 프로그램을 고안키 위해 자폐문화에 대한 이해를 옹호하고 여러 분야가 서로 연관된 폭넓은 참여 철학. 이 프로그램에는 훈련, 연구, 봉사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다.
시각적, 물리적 지원과 구성은 교육적 프로그램에 있어 효과적인 참여원칙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평생
교육적/ 취업 프로그래밍
정신 이론
( Theoy of mind)
Simon Baron - Cohen
다른 사람들의 정신상태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자신을 다른 사람의 입장과 견해, 믿음, 소망, 정서에 대입시켜 봄. 마음읽기 습득
타인의 정서적 의향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무제한
사회 정서적 측면
(Gail J. Richard(2000) . Autism Treatment Methodologies Comparison Chart ; 여문환,2008에서 재인용 )
(4)심리 치료
a. 음악 치료 : 자폐증을 가진 아동들은 인내심을 가지고 가르치면 리듬과 멜로디에 대한 상당한 감을 느끼게 할 수 있고 절대 음감은 다수의 자폐증을 가진 아동에게 있는 듯 보이는데 다른 일반적인 집단에서보다 자폐증을 가진 아동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능력이며 자폐증을 가진 아동은 말보다 음악을 더 잘 이해한다는 특성을 알 수 있다. (Elisa Gagnon, 2008)
음악치료는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서 장애아동의 행동, 인지, 정서 등 여러 가지 음악 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접근법이다 (황은영,2006) 오래전부터 음악치료는 자폐아동의 사회성, 정서 발달을 위해 적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와 교육의 관점에서 현장에서 이들의 필요와 장애 정도에 따라 각 개인의 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또한 사회일원으로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도와주고 있다. 따라서 음악치료는 자폐아동에게 여전히 융통성이 있으며 적응적인 치료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황은영 , 2006)
- 음악에 대한 반응 -
Rimland(1964);정대영 외 (1997)는 자폐학생의 음악적 능력과 흥미는 보편적이므로 특성진단 기준의 하나로 포함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함.
Thaut(1987);정대영 외 (1997)는 자폐소년들이 시각적 자극보다 청각적 음악자극을 더 선호하였으며 이것은 동년배의 정상소년들과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 음악치료가 자폐학생의 치료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 Thaut(1992)-
대/소근육 운동의 향상
집중력 향상
신체인식의 발달
자기인식의 발달
사회적 기술의 발달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
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발달
습관적인 행동을 진정시키거나 다른 방향으로 돌리고 수용될 수 있는 행동으로 유도함
불안이나 짜증내는 것을 줄이고 과잉행동을 감소시킴
감각에 대한 개념을 일깨우고 감각운동과 연결시킴
- 음악치료의 자폐 적용 실제 -
<표 1> 연구 대상 아동의 특성 (김혜온, 허원 1995 음악치료를 통한 자폐아의 행동수정 연구 - 과잉행동)
대상아동
성별
나이
자폐증 최초 진단시기
CARS-T
ERC-A
주요 행동 특성
A
여
9세 3개월
1~3세
36
30
과잉행동 , 반향어, 고립추구,불완전한 응시
B
남
10세 9개월
3~4세
35.5
27
과잉행동, 헛웃음. 반향어. 불완전한 응시
C
남
14세 5개월
3세
50.5
60
언어능력 결핍,반복적 행동습관, 불완전한 응시, 지각의 불일치
<표 2> 음악치료 프로그램 진행표 (김혜온, 허원 1995)
진행단계
회 기
활동내용
준비물
측정사항
예비단계
1~3
아동행동 관찰
자유놀이
자연스러운 교실환경
-ERC-A
-CARS-T
-음악치료 진단평가
-이석 횟수와 눈맞춤 횟수 (제3회)
도입단계
4~5
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자유놀이
리듬악기 제시와 자유연주
녹음기와 녹음테이프
리듬악기(큰북, 작은북, 템버린, 케스터네츠,트라이앵글)
-이석 횟수
-눈맞춤 횟수
6~8
리듬악기 연주-연구자 연주, 아동은 관찰과 연주 시도-악기 명칭과 연주법 익히기-자유연주
상동
상동
전개단계
9~13
메아리 연주 -아동이 연주하면 연구자는 같은 악기 혹은 다른 악기로 리듬 모방-아동이 연주하면 연구자는 화음 또는 박자를 맞춰 조화를 이루는 연주
연구자의 연주(노래)를 아동이 따라하기
연주(노래)와 함께 언어적 자극: 이름 부르기, 신체부위, 지시어 수행 등
위의 준비물에 가락악기 첨가(실로폰, 리코더, 오르간, 피아노)
-이석횟수
-눈맞춤 횟수
14~15
자유연주
음악에 맞춰 움직이기
음악 들으며 화면 구성하기
위의 준비물에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필, 색종이, 풀, 가위 , 잡지, 화보 등
상동
종합단계
16~18
자유연주
함께 연주하기
함께 노래부르기
9~13회와 동일
-이석 횟수
-눈맞춤 횟수
-음악치료 진단평가
<표 3>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중 이석 횟수(김혜온, 허원 1995)
아동/회기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A
19
12
12
7
6
8
2
6
3
1
1
1
1
1
B
18
4
4
5
4
2
2
1
2
2
0
C
3
2
2
2
3
2
1
0
2
2
0
0
<표 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아의 눈맞춤 횟수에 끼친 효과 분석(김혜온, 허원 1995)
아동/회기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A
7
8
13
10
10
12
13
15
19
22
24
24
24
26
B
5
7
6
10
14
13
15
14
16
16
18
C
6
11
6
8
8
13
16
20
14
17
23
22
결론>>(김혜온, 허원 1995)1. 음악치료 프로그램 활동 중 이석횟수 감소와 눈
추천자료
(특수교육) 장애인의 교육권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사범/법학] 유아특수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특수교육학 개론 논제19-24
특수교육학 개론 논제13-18
[사회과학] 유아특수교육의 중요성
[특수아교육 (A+완성)]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저해요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특수아교육 (A+완성)] 장애아동 통합교육과정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문제점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특수교육의 이론과 실제 - 통합교육의 현주소
특수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사이버대학] 유아특수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음악치료의 특성과 과정 및 방법과 효과
유아특수교육 의의, 필요성, 정의
[특수아교육4A]정신지체(지적장애),학습장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정서 및 행동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