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만 그때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대륙을 움직일만한 거대한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었기에 몽상수준의 가설에 머물러 있었다.
물론 베게너가 증거 없이 대륙이동을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 베게너는 자신의 탐사결과를 종합해 지형학적, 지질학적, 기후학적, 고생물학적 증거들을 제시하며 주장을 펼쳤지만 사람들은 그때마다 대륙이 서로 들어맞는다는 베게너의 주장을 직관에 의한 그림 짜맞추기일 뿐이라며 비웃었다.
하지만 1950년대와 60년대에 결쳐 해양지각이 확장을 일으킨다는 헤스의 \'해저확장설\'이 나오고, 맨틀의 대류작용이 지각을 움직인다는 가설이 호응을 얻어나갔다. 이와 함께 해저에 남아있는 지구가 자기장의 흔적인 이른바 \'고지자기\'를 측정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대륙이동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발표되면서 대륙이동설은 점점 학설로 굳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대륙이동설과 해저확장설을 포함한 광범위한 내용을 가진 \'판구조론\'-지구가 10여개의 지판으로 나눠져 있으며, 이 판들이 서서히 움직이면서 거대한 대륙을 끌거나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지구표면이 변한다.-이 정립되면서 베게너의 위상은 완전히 뒤바뀌게 됐다. 대륙 짜맞추기는 몽상이 아니라 오히려 예술가적인 감각이었다고 평가받기에 이르렀다.
<3>이론 발전
대륙이동설은 과거 뜨겁게 논쟁되어왔었다. 대륙이동설은 오늘날 지구물리학계에 정설처럼 돼있지만 베거너가 이론을 제시한 그시기에는 학계에선 거의 공상적인 이론으로 취급받았다. 학자들간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그때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대륙을 움직일만한 거대한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었기에 몽상수준의 가설에 머물러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1950년대초 많은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논쟁은 다시 불붙었다.
특히 4가지부분 사실들이 판구조 이론을 뒷받쳐준다.
1. 울퉁불퉁하고 새로운 대양저의 발견
2. 지자기역전 반복의 확인
3. 해저 확장가설 발생과 해양지각의 주기(나이)
4. 세계적으로 지진과 화산활동이 해구와 해저산맥을 따라 집중적으로 발생되는점
대양저 지도제작..
우리 지구표중 2/3가 바다로 덮혀 있다. 19세기이전에는, 외양(먼바다)의 깊이에 관련해서는 대단히 추측적인면이 강했고(측정방법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사람들이 생각하기를 바다 밑바닥은 비교적 평탄할거라고 생각했다. 16세기 초 일부 용감한 항해사들은 직접 줄을 바다 밑바닥에 던져서 수심측정을 감행했는데 깊이수치는 상당히 다룰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느 일반적으로 믿었던만큼 대양저가 평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다음세기동안의 해양탐사는 우리의 대양저에 관한 지식을 대단히 넓혀 주었다. 우리는 지금 거의 모든 대륙의 지질학적 과정이 직간접적으로 해양지각과 관련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대서양, 카리브해에서 고전적인방법으로 수심측량을 해왔었다. 그러던 것이 현대적이라 할만큼 수심 측정방법은 19세기에 이르러 급격히 발전되었다. 1855년에 미 해군 Matthew Maury가 중앙 대서양 해저에 산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드러낸 수심측정차트를 발간했다. 이 사실은 후에 해저케이블 조사선에 의해 확인이 되었다. 1차세계대전후의 대양저사진은 정밀해졌는데 음향측심기기를 이용한 (초기의 소나시스템) 수심을 측정하기 시작했다. 방법은간단한다. 바다위의 배밑바닥에서 음파를 발생시키고 해저에 다시 되돌아온 음파를 되받아 시간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수심을 측정한 결과 그시대 사람들의 생각만큼 해양저는 평탄하지않고 훨씬 울퉁불퉁한편 이었다. 이런 음향측심방법으로 확실하게 알수있는점이 있었는데 . 중앙대서양에 연속적이면서 거친 해저산맥이 존재한다는사실을 추측할수 있었다.
1947년에 미국 지진학자들은 아틀란티스선 조사에서 대서양 바닥 퇴적층 을 발견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두껍지않고 얇았다. 학자들은 사전에 해양은 최소한 40억년이전에 생성되었다고 믿었었다. 그래서 퇴적층은 매우 두꺼울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조사했을때는 생각보다 얇게 나왔는데 왜일까?
이에대한 해답은 후에 더 많은 조사를 통해 판구조론에 관한 이론에 중요한 사실을 제공해준다.
1950년대에 와서 해양탐사기회가 많았다. 많은 나라에서 해양 조사를 함으로서 자료가 모이고 이것은 거대한 대양저에 거대한 산맥들이 둘러싸고 있음을 발견하게된다.
거대한 해저 산맥을 중양 해령이라고 부른다. (50.000 킬로미터보다 길고 800킬로미터 교차된) 지각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있는 형태가 마치 야구공과 비슷하다. 해저에서 위로 지구전체의 중앙해령이 4.500 미터 상승한다면 미국의 알래스카의 McKinley 산을 제외하고 모든산들이 그늘질것이다. 만약 우리별 지구의 표면 정밀 사진을 찍는다면 수면 아래서는 중앙해령이 우리별의 표면에서 제일 두드러진 부분을 나태낼 것이다.
<중앙해령의 위치분포>
자기 줄무늬와 극의 역전...
1950년대 시작하면서 학자들은 2차세계대전동안 사용했던 잠수함을이용새 자기 측정을 시작했다. 바다 밑바닥에서 이상 자기 변화가 인식되었다. 예상치 못하게도 이발견은 전혀 놀라운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현무암(철이 풍부하며 화성작용으로 대양저를 형성하는)은 자성을 띠는 광물을 포함하고 있다. 마그마에서 화성암이 분출할 때 화성암내에 포함된 자성광물이 큐리온도 이하에서 자화 된다. 이를 열잔류자기라 한다. 1906년 프랑스의 Btunhes과 일본의 Motonari Matuyama는 어느 용암이 현재의 지자기의 자극이 방향과 반대로 자화된 사실을 발견하여 이를 역자기라 하였다. 현재의 자화방향과 일치하는 경우를 정자기라 한다.
분출시기가 다른 여러 용암층에서 자화 방향을 측정한 결과 무수히 자극이 역전된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같은 사실은 용암뿐만 아니라 퇴적암에서도 같은 현상이 조사되었다. 퇴적물 입자 내의 자성광물은 퇴적지에서 퇴적될대 그당시 지구의 자화 방향에 따라 자화 되어 퇴적된후 속성작용으로 퇴적암이 된다. 이를 퇴적잔류자기라 한다. 남미 대륙과 아프리카대륙이 여러 지질시대에 형성된 암석의 자화 방향 측정에서 자극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자극이 이동하는 커브가 두 대륙에서 유사한 패턴으로 얻어져 대
물론 베게너가 증거 없이 대륙이동을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 베게너는 자신의 탐사결과를 종합해 지형학적, 지질학적, 기후학적, 고생물학적 증거들을 제시하며 주장을 펼쳤지만 사람들은 그때마다 대륙이 서로 들어맞는다는 베게너의 주장을 직관에 의한 그림 짜맞추기일 뿐이라며 비웃었다.
하지만 1950년대와 60년대에 결쳐 해양지각이 확장을 일으킨다는 헤스의 \'해저확장설\'이 나오고, 맨틀의 대류작용이 지각을 움직인다는 가설이 호응을 얻어나갔다. 이와 함께 해저에 남아있는 지구가 자기장의 흔적인 이른바 \'고지자기\'를 측정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대륙이동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발표되면서 대륙이동설은 점점 학설로 굳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대륙이동설과 해저확장설을 포함한 광범위한 내용을 가진 \'판구조론\'-지구가 10여개의 지판으로 나눠져 있으며, 이 판들이 서서히 움직이면서 거대한 대륙을 끌거나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지구표면이 변한다.-이 정립되면서 베게너의 위상은 완전히 뒤바뀌게 됐다. 대륙 짜맞추기는 몽상이 아니라 오히려 예술가적인 감각이었다고 평가받기에 이르렀다.
<3>이론 발전
대륙이동설은 과거 뜨겁게 논쟁되어왔었다. 대륙이동설은 오늘날 지구물리학계에 정설처럼 돼있지만 베거너가 이론을 제시한 그시기에는 학계에선 거의 공상적인 이론으로 취급받았다. 학자들간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그때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대륙을 움직일만한 거대한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었기에 몽상수준의 가설에 머물러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1950년대초 많은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논쟁은 다시 불붙었다.
특히 4가지부분 사실들이 판구조 이론을 뒷받쳐준다.
1. 울퉁불퉁하고 새로운 대양저의 발견
2. 지자기역전 반복의 확인
3. 해저 확장가설 발생과 해양지각의 주기(나이)
4. 세계적으로 지진과 화산활동이 해구와 해저산맥을 따라 집중적으로 발생되는점
대양저 지도제작..
우리 지구표중 2/3가 바다로 덮혀 있다. 19세기이전에는, 외양(먼바다)의 깊이에 관련해서는 대단히 추측적인면이 강했고(측정방법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사람들이 생각하기를 바다 밑바닥은 비교적 평탄할거라고 생각했다. 16세기 초 일부 용감한 항해사들은 직접 줄을 바다 밑바닥에 던져서 수심측정을 감행했는데 깊이수치는 상당히 다룰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느 일반적으로 믿었던만큼 대양저가 평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다음세기동안의 해양탐사는 우리의 대양저에 관한 지식을 대단히 넓혀 주었다. 우리는 지금 거의 모든 대륙의 지질학적 과정이 직간접적으로 해양지각과 관련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대서양, 카리브해에서 고전적인방법으로 수심측량을 해왔었다. 그러던 것이 현대적이라 할만큼 수심 측정방법은 19세기에 이르러 급격히 발전되었다. 1855년에 미 해군 Matthew Maury가 중앙 대서양 해저에 산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드러낸 수심측정차트를 발간했다. 이 사실은 후에 해저케이블 조사선에 의해 확인이 되었다. 1차세계대전후의 대양저사진은 정밀해졌는데 음향측심기기를 이용한 (초기의 소나시스템) 수심을 측정하기 시작했다. 방법은간단한다. 바다위의 배밑바닥에서 음파를 발생시키고 해저에 다시 되돌아온 음파를 되받아 시간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수심을 측정한 결과 그시대 사람들의 생각만큼 해양저는 평탄하지않고 훨씬 울퉁불퉁한편 이었다. 이런 음향측심방법으로 확실하게 알수있는점이 있었는데 . 중앙대서양에 연속적이면서 거친 해저산맥이 존재한다는사실을 추측할수 있었다.
1947년에 미국 지진학자들은 아틀란티스선 조사에서 대서양 바닥 퇴적층 을 발견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두껍지않고 얇았다. 학자들은 사전에 해양은 최소한 40억년이전에 생성되었다고 믿었었다. 그래서 퇴적층은 매우 두꺼울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조사했을때는 생각보다 얇게 나왔는데 왜일까?
이에대한 해답은 후에 더 많은 조사를 통해 판구조론에 관한 이론에 중요한 사실을 제공해준다.
1950년대에 와서 해양탐사기회가 많았다. 많은 나라에서 해양 조사를 함으로서 자료가 모이고 이것은 거대한 대양저에 거대한 산맥들이 둘러싸고 있음을 발견하게된다.
거대한 해저 산맥을 중양 해령이라고 부른다. (50.000 킬로미터보다 길고 800킬로미터 교차된) 지각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있는 형태가 마치 야구공과 비슷하다. 해저에서 위로 지구전체의 중앙해령이 4.500 미터 상승한다면 미국의 알래스카의 McKinley 산을 제외하고 모든산들이 그늘질것이다. 만약 우리별 지구의 표면 정밀 사진을 찍는다면 수면 아래서는 중앙해령이 우리별의 표면에서 제일 두드러진 부분을 나태낼 것이다.
<중앙해령의 위치분포>
자기 줄무늬와 극의 역전...
1950년대 시작하면서 학자들은 2차세계대전동안 사용했던 잠수함을이용새 자기 측정을 시작했다. 바다 밑바닥에서 이상 자기 변화가 인식되었다. 예상치 못하게도 이발견은 전혀 놀라운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현무암(철이 풍부하며 화성작용으로 대양저를 형성하는)은 자성을 띠는 광물을 포함하고 있다. 마그마에서 화성암이 분출할 때 화성암내에 포함된 자성광물이 큐리온도 이하에서 자화 된다. 이를 열잔류자기라 한다. 1906년 프랑스의 Btunhes과 일본의 Motonari Matuyama는 어느 용암이 현재의 지자기의 자극이 방향과 반대로 자화된 사실을 발견하여 이를 역자기라 하였다. 현재의 자화방향과 일치하는 경우를 정자기라 한다.
분출시기가 다른 여러 용암층에서 자화 방향을 측정한 결과 무수히 자극이 역전된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같은 사실은 용암뿐만 아니라 퇴적암에서도 같은 현상이 조사되었다. 퇴적물 입자 내의 자성광물은 퇴적지에서 퇴적될대 그당시 지구의 자화 방향에 따라 자화 되어 퇴적된후 속성작용으로 퇴적암이 된다. 이를 퇴적잔류자기라 한다. 남미 대륙과 아프리카대륙이 여러 지질시대에 형성된 암석의 자화 방향 측정에서 자극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자극이 이동하는 커브가 두 대륙에서 유사한 패턴으로 얻어져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