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출처: 아키모토 에이치,「미국 경제의 역사」참조
전쟁을 중재하고 베트남전에서 발을 빼게 된다. 미군 철수 3개월만에 베트남은 베트콩의 손에 의해 점령당해지게 된다. 이유야 어떻든간에 미군이 철수함으로 인해 패배 하였고 여기에서 미국의 경제적 이득면을 보는 군사적 행동을 다시 한번 볼수가 있었다.
여기에 1973년 세계적으로 오일쇼크가 일어나게 된다. 증산국들의 OPEC의 결성과 생산의 감축으로 유가는 천정부지로 뛰게 되었고 소비자 물가의 상승 실업률 의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 미국은 스태그 플레이션 경기침체와 동시에 인플레이션이라는 유례없는 경제적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이후 1980년대의 레이건 집권기에서는 레이거노믹스(reagenimics)를 실시하게 된다. 세금을 줄여서 경제활동을 고취시킨다는 취지였지만 이는 국가재정의 적자와 경상수지의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른바 쌍둥이 적자에 빠져 허우적댔다.
나. 걸프전
1990년대에 이르러서도 국가의 재정난은 여전하였다. 당시 미국은 전형적인 침체기를 걷고 있었고 기업들은 위기를 맞으면서 Down-sizing 즉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라 직장을 잃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런시기에 중동에서 걸프전이 발발하였다. 후세인이 이끄는 이라크 정부가 석유생산량을 늘리는 쿠웨이트에게 산유증가에 따른 피해액 150억불 지급과 차관금 100억불 면제를 요구 하였지만 쿠웨이트는 거절을 하게 된다. 이에 1990년 8월에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침공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쿠웨이트를 돕기로 결심을 하게 된다.
미국이 걸프전에 참가하게 된 이유를 크게 2가지로 나누자면 석유값의 안정과 일정량 석유의 확보이고 군수산업과의 관계였이다. 오일 쇼크의 경험이 있었던 미국은 걸프전참전은 산유국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가 들어있었던것이였다. 이라크 또한 제2위의 원유생산국을 정치적으로 종속시킴으로써 석유이용의 우위권과 유가의 안정의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두 번째는 군수산업과 관련한 이유이다.
소련관의 냉전시대에 급속도로 발전한 Military-industrial complex에 위기가 닥치게 된다. 하지만 이때 발생한 걸프전은 Military-industrial complex 에게는 좋은기회였다 재래식무기를 팔아버리고 일자리 창출과 무기재고의 소비는 미국의 경제적 측면에서 좋은 기회였기에 미국은 즉각적으로 참전을 하게 된다. 걸프전으로 인해 유가는 $40에서 $20으로 떨어
출처: 아키모토 에이치,「미국 경제의 역사」참조
전쟁을 중재하고 베트남전에서 발을 빼게 된다. 미군 철수 3개월만에 베트남은 베트콩의 손에 의해 점령당해지게 된다. 이유야 어떻든간에 미군이 철수함으로 인해 패배 하였고 여기에서 미국의 경제적 이득면을 보는 군사적 행동을 다시 한번 볼수가 있었다.
여기에 1973년 세계적으로 오일쇼크가 일어나게 된다. 증산국들의 OPEC의 결성과 생산의 감축으로 유가는 천정부지로 뛰게 되었고 소비자 물가의 상승 실업률 의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 미국은 스태그 플레이션 경기침체와 동시에 인플레이션이라는 유례없는 경제적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이후 1980년대의 레이건 집권기에서는 레이거노믹스(reagenimics)를 실시하게 된다. 세금을 줄여서 경제활동을 고취시킨다는 취지였지만 이는 국가재정의 적자와 경상수지의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른바 쌍둥이 적자에 빠져 허우적댔다.
나. 걸프전
1990년대에 이르러서도 국가의 재정난은 여전하였다. 당시 미국은 전형적인 침체기를 걷고 있었고 기업들은 위기를 맞으면서 Down-sizing 즉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라 직장을 잃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런시기에 중동에서 걸프전이 발발하였다. 후세인이 이끄는 이라크 정부가 석유생산량을 늘리는 쿠웨이트에게 산유증가에 따른 피해액 150억불 지급과 차관금 100억불 면제를 요구 하였지만 쿠웨이트는 거절을 하게 된다. 이에 1990년 8월에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침공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쿠웨이트를 돕기로 결심을 하게 된다.
미국이 걸프전에 참가하게 된 이유를 크게 2가지로 나누자면 석유값의 안정과 일정량 석유의 확보이고 군수산업과의 관계였이다. 오일 쇼크의 경험이 있었던 미국은 걸프전참전은 산유국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가 들어있었던것이였다. 이라크 또한 제2위의 원유생산국을 정치적으로 종속시킴으로써 석유이용의 우위권과 유가의 안정의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두 번째는 군수산업과 관련한 이유이다.
소련관의 냉전시대에 급속도로 발전한 Military-industrial complex에 위기가 닥치게 된다. 하지만 이때 발생한 걸프전은 Military-industrial complex 에게는 좋은기회였다 재래식무기를 팔아버리고 일자리 창출과 무기재고의 소비는 미국의 경제적 측면에서 좋은 기회였기에 미국은 즉각적으로 참전을 하게 된다. 걸프전으로 인해 유가는 $40에서 $20으로 떨어
추천자료
아편전쟁에 관한 일고찰
남북전쟁(1861 – 1865)
전쟁과 평화(부제:최고 권력자에 의한 평화)
[인문과학] 펠로폰네소스전쟁
한국전쟁형성의 이해
한국전쟁 종전 협상 과정에서 포로협상에 관한 양측의 현실적 입장
청일.러일전쟁을 통해 군국주의로 가게 되는 일본의 모습을 살펴보시오.
[냉전시대][냉전시대 기원][한반도냉전시대 시작][한국전쟁][한반도냉전시대 전개][한반도냉...
전쟁사 - 제 1차 세계대전
자원전쟁(원유를 중심으로)
[태평양][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태평양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태평양과 아시아태평...
[일본사회][좌파정당]일본사회와 좌파정당, 일본사회와 노사관계, 일본사회와 비정규노동, 일...
청러일전쟁이 조선에 미친 영향
지금 세계는 수급의 불일치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경기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