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방언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남방언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운
1.1. 음운체계
1.2. 음운 현상
2. 문법, 형태
2.1. 굴절 체계
2.2. 조어론적 특징
3. 어휘, 의미
3.1. 어휘체계
3.2. 어휘 형성사

본문내용

<동남 방언>
국어방언의 이해
목차
1. 음운
1.1. 음운체계
1.2. 음운 현상
2. 문법, 형태
2.1. 굴절 체계
2.2. 조어론적 특징
3. 어휘, 의미
3.1. 어휘체계
3.2. 어휘 형성사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서 쓰이는, 국어 대방언권의 하나. 도 경계를 기준으로 북부 동남 방언인 경북 방언과 남부 동남 방언인 경남 방언으로 구분함.
1. 음운
1.1. 음운체계
① ㅔ와 ㅐ, ㅡ와 ㅓ, 그리고 ㅅ과 ㅆ의 대립이 지역에 따라 불완전함
② 운소 체계에 있어 성조가 존재
③ 단모음 ㅟ 나 ㅚ 가 이중모음으로 실현(이중모음의 실현 환경은 매우 제한적)
-모음체계
음운 목록 : 일반적으로 6~8모음체계(ㅣ,ㅔ/ㅐ,ㅡ/ㅓ,ㅜ,ㅗ,ㅏ)
상관 대립 체계 : 조음 위치에 따른 [전]:[후] 대립 체계
구개도에 따른 [고]:[저] 대립체계
원순성 유무에 따른 [원순성]:[비원순성] 체계
-북부와 남부의 방언적 차이
ㄱ. ㅔ와 ㅐ의 대립 : 북부 동남 방언 → 대립 없음
남부 동남 방언 → 서남부 지역인 함양, 산청, 하동, 사천, 진양과
거창, 합천, 고성에서 일부 대립.
ㄴ. ㅡ와 ㅓ의 대립 : 북부 동남 방언 → 대립 없음
남부 동남 방언 → 북부 지역인 울진, 봉화, 영풍, 상주, 의성, 김천
등지에서 일부 대립.
ㄷ. 이중모음
*j계 이중모음 : 두 지역 모두 5개
*w계 이중모음 : 북부 동남 방언 → 4개(ㅟ, ㅞ, ㅘ, ㅝ)
남부 동남 방언 → 2개(ㅘ, ㅝ)
*자음 아래에서 단모음화
특히 ㅕ가 어두 음절의 변자음(k, p, m)아래 환경일 때
북부 동남 방언 → ㅣ 로 실현 (깅주(慶州), 미느리(며느리), 빙(甁), 피양(平壤))
남부 동남 방언 → ㅔ 로 실현 (겡주(慶州), 메느리(며느리), 벵(甁), 펭양(平壤))
*ㅟ, ㅚ 가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로 실현
남부 동남 방언 : 서북 지역에서 ㅚ가 모음 아래에서 ㅞ로, 그 외 지역에서 ㅔ로 실현
자음 아래에서 주로 ㅔ(데-(되다), 게럽-(괴롭다)) 또는 ㅗ(고롭-
(괴롭다))로 실현
북부 동남 방언 : ㅚ가 모음 아래에서 이중모음 ㅙ로, 자음 아래에서 ㅐ[E]로 실현
*곁, 옆구리, 겨드랑 : 국어 음운사에서 이중모음 *j의 존재를 알려주는 예들.
이중모음 *j가 *j>ja의 변화 규칙을 적용받았느냐,
*j>j의 변화 규칙을 적용받았느냐에 따라 방언 구획.
-자음 체계
북부와 남부가 거의 방언차를 보이지 않으며 중부 방언과 동일. 경북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동쪽 지역과 경남의 양산, 밀양, 언양 등 동북 지역에는 음소 ㅆ이 존재하지 않음. ㅅ 과 ㅆ의 변별적 기능 유무에 의해 두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분 가능.
-운소 : 고조(H)와 저조(L)를 가지는 방언과 그 외에 저고조(LH)를 더 가지는 방언이 있음. 저고(LH)의 유무에 의해 두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분 가능.
1.2. 음운 현상
[‘ㆍ’의 비음운화]
북부 동남 방언 : 어두 음절에서 ‘ㆍ>ㅏ’의 변화 규칙을 적용.
‘팔(腕), 파리(蠅), 맑-(淸), 밟-’ →팔, 파리/파랭이. 맑-, 밟-
남부 동남 방언 : 양순음 뒤에서 ‘ㆍ>ㅗ’의 변화 규칙을 적용.
‘팔(腕), 파리(蠅), 맑-(淸), 밟-’ →폴, 포리/포랭이,
  • 가격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1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