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운
1.1. 음운체계
1.2. 음운 현상
2. 문법, 형태
2.1. 굴절 체계
2.2. 조어론적 특징
3. 어휘, 의미
3.1. 어휘체계
3.2. 어휘 형성사
1.1. 음운체계
1.2. 음운 현상
2. 문법, 형태
2.1. 굴절 체계
2.2. 조어론적 특징
3. 어휘, 의미
3.1. 어휘체계
3.2. 어휘 형성사
본문내용
<동남 방언>
국어방언의 이해
목차
1. 음운
1.1. 음운체계
1.2. 음운 현상
2. 문법, 형태
2.1. 굴절 체계
2.2. 조어론적 특징
3. 어휘, 의미
3.1. 어휘체계
3.2. 어휘 형성사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서 쓰이는, 국어 대방언권의 하나. 도 경계를 기준으로 북부 동남 방언인 경북 방언과 남부 동남 방언인 경남 방언으로 구분함.
1. 음운
1.1. 음운체계
① ㅔ와 ㅐ, ㅡ와 ㅓ, 그리고 ㅅ과 ㅆ의 대립이 지역에 따라 불완전함
② 운소 체계에 있어 성조가 존재
③ 단모음 ㅟ 나 ㅚ 가 이중모음으로 실현(이중모음의 실현 환경은 매우 제한적)
-모음체계
음운 목록 : 일반적으로 6~8모음체계(ㅣ,ㅔ/ㅐ,ㅡ/ㅓ,ㅜ,ㅗ,ㅏ)
상관 대립 체계 : 조음 위치에 따른 [전]:[후] 대립 체계
구개도에 따른 [고]:[저] 대립체계
원순성 유무에 따른 [원순성]:[비원순성] 체계
-북부와 남부의 방언적 차이
ㄱ. ㅔ와 ㅐ의 대립 : 북부 동남 방언 → 대립 없음
남부 동남 방언 → 서남부 지역인 함양, 산청, 하동, 사천, 진양과
거창, 합천, 고성에서 일부 대립.
ㄴ. ㅡ와 ㅓ의 대립 : 북부 동남 방언 → 대립 없음
남부 동남 방언 → 북부 지역인 울진, 봉화, 영풍, 상주, 의성, 김천
등지에서 일부 대립.
ㄷ. 이중모음
*j계 이중모음 : 두 지역 모두 5개
*w계 이중모음 : 북부 동남 방언 → 4개(ㅟ, ㅞ, ㅘ, ㅝ)
남부 동남 방언 → 2개(ㅘ, ㅝ)
*자음 아래에서 단모음화
특히 ㅕ가 어두 음절의 변자음(k, p, m)아래 환경일 때
북부 동남 방언 → ㅣ 로 실현 (깅주(慶州), 미느리(며느리), 빙(甁), 피양(平壤))
남부 동남 방언 → ㅔ 로 실현 (겡주(慶州), 메느리(며느리), 벵(甁), 펭양(平壤))
*ㅟ, ㅚ 가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로 실현
남부 동남 방언 : 서북 지역에서 ㅚ가 모음 아래에서 ㅞ로, 그 외 지역에서 ㅔ로 실현
자음 아래에서 주로 ㅔ(데-(되다), 게럽-(괴롭다)) 또는 ㅗ(고롭-
(괴롭다))로 실현
북부 동남 방언 : ㅚ가 모음 아래에서 이중모음 ㅙ로, 자음 아래에서 ㅐ[E]로 실현
*곁, 옆구리, 겨드랑 : 국어 음운사에서 이중모음 *j의 존재를 알려주는 예들.
이중모음 *j가 *j>ja의 변화 규칙을 적용받았느냐,
*j>j의 변화 규칙을 적용받았느냐에 따라 방언 구획.
-자음 체계
북부와 남부가 거의 방언차를 보이지 않으며 중부 방언과 동일. 경북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동쪽 지역과 경남의 양산, 밀양, 언양 등 동북 지역에는 음소 ㅆ이 존재하지 않음. ㅅ 과 ㅆ의 변별적 기능 유무에 의해 두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분 가능.
-운소 : 고조(H)와 저조(L)를 가지는 방언과 그 외에 저고조(LH)를 더 가지는 방언이 있음. 저고(LH)의 유무에 의해 두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분 가능.
1.2. 음운 현상
[‘ㆍ’의 비음운화]
북부 동남 방언 : 어두 음절에서 ‘ㆍ>ㅏ’의 변화 규칙을 적용.
‘팔(腕), 파리(蠅), 맑-(淸), 밟-’ →팔, 파리/파랭이. 맑-, 밟-
남부 동남 방언 : 양순음 뒤에서 ‘ㆍ>ㅗ’의 변화 규칙을 적용.
‘팔(腕), 파리(蠅), 맑-(淸), 밟-’ →폴, 포리/포랭이,
국어방언의 이해
목차
1. 음운
1.1. 음운체계
1.2. 음운 현상
2. 문법, 형태
2.1. 굴절 체계
2.2. 조어론적 특징
3. 어휘, 의미
3.1. 어휘체계
3.2. 어휘 형성사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서 쓰이는, 국어 대방언권의 하나. 도 경계를 기준으로 북부 동남 방언인 경북 방언과 남부 동남 방언인 경남 방언으로 구분함.
1. 음운
1.1. 음운체계
① ㅔ와 ㅐ, ㅡ와 ㅓ, 그리고 ㅅ과 ㅆ의 대립이 지역에 따라 불완전함
② 운소 체계에 있어 성조가 존재
③ 단모음 ㅟ 나 ㅚ 가 이중모음으로 실현(이중모음의 실현 환경은 매우 제한적)
-모음체계
음운 목록 : 일반적으로 6~8모음체계(ㅣ,ㅔ/ㅐ,ㅡ/ㅓ,ㅜ,ㅗ,ㅏ)
상관 대립 체계 : 조음 위치에 따른 [전]:[후] 대립 체계
구개도에 따른 [고]:[저] 대립체계
원순성 유무에 따른 [원순성]:[비원순성] 체계
-북부와 남부의 방언적 차이
ㄱ. ㅔ와 ㅐ의 대립 : 북부 동남 방언 → 대립 없음
남부 동남 방언 → 서남부 지역인 함양, 산청, 하동, 사천, 진양과
거창, 합천, 고성에서 일부 대립.
ㄴ. ㅡ와 ㅓ의 대립 : 북부 동남 방언 → 대립 없음
남부 동남 방언 → 북부 지역인 울진, 봉화, 영풍, 상주, 의성, 김천
등지에서 일부 대립.
ㄷ. 이중모음
*j계 이중모음 : 두 지역 모두 5개
*w계 이중모음 : 북부 동남 방언 → 4개(ㅟ, ㅞ, ㅘ, ㅝ)
남부 동남 방언 → 2개(ㅘ, ㅝ)
*자음 아래에서 단모음화
특히 ㅕ가 어두 음절의 변자음(k, p, m)아래 환경일 때
북부 동남 방언 → ㅣ 로 실현 (깅주(慶州), 미느리(며느리), 빙(甁), 피양(平壤))
남부 동남 방언 → ㅔ 로 실현 (겡주(慶州), 메느리(며느리), 벵(甁), 펭양(平壤))
*ㅟ, ㅚ 가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로 실현
남부 동남 방언 : 서북 지역에서 ㅚ가 모음 아래에서 ㅞ로, 그 외 지역에서 ㅔ로 실현
자음 아래에서 주로 ㅔ(데-(되다), 게럽-(괴롭다)) 또는 ㅗ(고롭-
(괴롭다))로 실현
북부 동남 방언 : ㅚ가 모음 아래에서 이중모음 ㅙ로, 자음 아래에서 ㅐ[E]로 실현
*곁, 옆구리, 겨드랑 : 국어 음운사에서 이중모음 *j의 존재를 알려주는 예들.
이중모음 *j가 *j>ja의 변화 규칙을 적용받았느냐,
*j>j의 변화 규칙을 적용받았느냐에 따라 방언 구획.
-자음 체계
북부와 남부가 거의 방언차를 보이지 않으며 중부 방언과 동일. 경북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동쪽 지역과 경남의 양산, 밀양, 언양 등 동북 지역에는 음소 ㅆ이 존재하지 않음. ㅅ 과 ㅆ의 변별적 기능 유무에 의해 두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분 가능.
-운소 : 고조(H)와 저조(L)를 가지는 방언과 그 외에 저고조(LH)를 더 가지는 방언이 있음. 저고(LH)의 유무에 의해 두 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분 가능.
1.2. 음운 현상
[‘ㆍ’의 비음운화]
북부 동남 방언 : 어두 음절에서 ‘ㆍ>ㅏ’의 변화 규칙을 적용.
‘팔(腕), 파리(蠅), 맑-(淸), 밟-’ →팔, 파리/파랭이. 맑-, 밟-
남부 동남 방언 : 양순음 뒤에서 ‘ㆍ>ㅗ’의 변화 규칙을 적용.
‘팔(腕), 파리(蠅), 맑-(淸), 밟-’ →폴, 포리/포랭이,
추천자료
남북한의 언어이질화와 그 극복 방안에 대하여
비교종교와 불교연구의 상관관계 ( 불교학 )
외환위기의 전개과정과 외환위기의 교훈(경제위기, imf구제금융, 한국경제)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남과 북의 언어차이
영어 발달사 (고대영어와 현대영어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머릿속으로 아동 미술이 “쏙쏙”(아동미술관련 사이트 조사)
세계화, 그 흐름 속으로 - '불타는 세계'를 읽고
대만의 상거래문화
[실과교육][실과교과서][실과교육 구성][실과교과서 내용][기능학습]실과교육의 본질, 실과교...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崔致遠)」 연구 ―「최치원」이 갖는 전기소설(傳奇小說)...
호치민
한국 언어 과학 - 통신언어의 언어학적 특성
북한의 언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