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조사]국내 차음료시장 분석 및 '17차' 마케팅전략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조사]국내 차음료시장 분석 및 '17차' 마케팅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기업 및 제품 소개
2. 환경분석
1) 소비자분석
2) 경쟁시장분석
3. SWOT 분석
1) 강점(Strength)
2) 약점(Weakness)
3) 기회(Opportunity)
4) 위협(Threat)
4. STP 분석
1) 세분화 전략(Segmentation)
2) 표적화 전략(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5. 4P분석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6. 17차의 현재 상황
1) 2009 SWOT 분석
2) PLC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원과 489억 원을 기록하며 건전한 수익성을 나타내고 있다. 남양유업은 지난 44년간 단 한 번의 적자 없이 매년 10%이상의 꾸준한 성장을 기록해 왔다. 97년 5만 원대였던 주가가 현재 90만원을 넘어섰다. 외환위기 이후 다른 기업들이 자금난으로 고전할 때 남양유업은 기존의 차입금(180억 원)까지 모두 갚아 명실 공히 ‘무차입경영’의 원조기업이 됐다. 남양유업은 다른 기업들이 문어발 확장을 시도할 때도 실속 경영을 통해 작지만 탄탄한 기업으로 내실을 다져왔다. 제품의 다양화는 추진하되 사업의 다각화는 철저히 배제시켰다. 매출이 늘어나면 그만큼 매년 설비투자에만 수백억 원씩 투자했고, 적극적인 설비투자는 비용절감 및 불량률 감소, 품질향상으로 이어지며 다시 매출이 신장되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냈다. ‘분유업계의 선두주자’라는 타이틀을 40년 넘게 이어가고 있는 남양유업은 지난해 ‘몸이 가벼워지는 17차 의 성공을 기점으로 종합식품업체로 도약하고 있다.
2) 제품소개
- 17차의 성공
년도
17차의 성장 내용
2005, 3월
남양유업에서 출시
2005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하면서 빅히트 상품 반열

매출: 약 100억 원
2006
편의점 판매통계 12위
2007
남양유업 전체 매출액의 14.8% 차지 (1천 200억 원)
2008
우수기업우수상품 선정, 우수브랜드 대상

월평균 1500만개 판매

스포츠칸 광고 우수상
\'몸이 가벼워지는 시간 17차\'는 2005년 남양유업에서 출시되었다. 출시 초기에 150만개가 팔리면서 약 20억 원의 매출을 얻었고, 2005년 약 100억 원, 2006년에는 약 11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출시 1년도 안 되어 차 음료시장에서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하면서 빅히트 상품 반열에 올랐다. 2006년에는 편의점 판매통계 12위를 기록했다. 2007년에는 남양유업 전체 매출액의 14.8%를 차지하면서 약 1천 200억 원의 매출을 얻어냈는데, 이는 남양유업에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감안하면, 17차의 판매가 남양유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2008년 11월 조사에 따르면, 월평균 1500만개를 판매하고 있다.
2008년 2월, 남양유업과 \'몸이 가벼워지는 시간 17차\'는 우수기업, 우수상품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상반기에 우수브랜드 대상도 차지했다. 전지현을 광고 모델로 한 17차 광고는 2008년 스포츠칸 광고대상에서 우수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렇듯 남양유업의 \'17차\'는 출시초기부터 현재까지 우수한 판매량을 보이면서 동시에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다양한 수상기록을 남겼다.
2. 환경 분석
1) 소비자 분석
이 당시 한국사회에는 웰빙 열풍이 불어 건강한 다이어트와 피부미용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져 있었다. 특히 젊은 여성들이 건강하고 날씬한 몸매와 피부 관리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건강을 위해 예전에 선호하던 커피나 탄산음료를 과감히 버리고 대신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곡물 음료와 녹차 음료와 같은 건강 음료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당시 차 시장에서 \'보성녹차\'가 강세를 보였지만 사람들은 녹차의 떫은맛을 꺼려하는 경향을 보였고 보다 부드러운 맛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음료시장에서 생수를 사먹는 데 있어서는 물은 돈을 주고 마시기 아깝다는 인식이 존재했다. 소비자들은 사용량과 사용상황에 구애받지 않은 다양한 용량과 포장을 원하였고, 짧고 부르거나 기억하기 쉬운 상표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경쟁시장 분석
‘17차’의 경쟁시장으로 넓게는 차 음료, 생수, 탄산음료, 주스, 커피시장이 있겠다.
\'17차\'제품을 개발할 당시 웰빙 트랜드로 인하여 건강을 컨셉으로한 음료가 음료시장에서 많이 출시되고 있었다. 그 중 차 음료시장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며, 2005년 전체 차 음료 시장은 986억 원으로서 2004년 500억 원 보다 30%나 증가한 규모를 보였다. 이러한 차 시장에서도 녹차시장은 80% 으로서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그 중 동원F&B의 \'보성녹차\'가 35%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렇듯 이 당시 \'17차\'의 경쟁시장으로서는 차시장이, 그 중에서도 \'보성녹차\'가 중요한 경쟁 상대였다.
국내 녹차음료 시장점유율 1위인 보성녹차의 성공비결을 살펴보면, 96년 음료업계 중 최초로 녹차음료 시장에 뛰어들었다는 ‘First Mover’란 컨셉으로써 브랜드 포지셔닝시키며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인식시켰고, 나아가 녹차특산 재배지로 유명한 전남 보성 브랜드를 브랜드네이밍에 도입하는 탁월한 전략을 펼쳤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Product Leadership을 갖기 위해 100% 국내산 보성 녹차 잎만을 사용했다는 점이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심어줬고, 180ML 유리병/ 175ML캔/210ML캔/350ML PET용기, 1.5L PET용기 등 경쟁사와 차별적인 다양한 용량의 패키지제품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폭을 넓힌 것도 성공을 위한 차별적인 접근이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출시 이후, 자칫 소홀하기 쉬운 지속적인 브랜드마케팅 그리고, 집중적인 제품 R&D를 통해 오늘날의 ‘동원 보성녹차’ 브랜드를 구축하였다. 동원 보성녹차는, 전남보성에서 재배한 녹차 잎만을 사용해 만들었다. 소비자의 76%가 녹차 하면 ‘보성’을 떠올리고 87%가 보성 산 녹차 잎이 다른 지역보다 우수하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를 배경으로 수성을 자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혼합차시장으로서 \'하늘보리\'도 중요한 경쟁사였다. \'하늘보리\'는 혼합 곡물차로서 청정지역 160m의 지하 암반수와 100% 국산 보리, 옥수수, 현미를 원료로 사용하고 칼로리와 당, 카페인이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3.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es
0kcal의 건강한 다이어트 음료
17가지 성분을 이상적인 비율로 혼합하는 기술력
떫은 맛 해소해 부드러운 맛으로 녹차음료와 차별화
8가지의 다양한 용량과 포장용기
표적층을 20~30대 여성으로 좁게 잡음
유제품을 생산해오던 남양유업의 브랜드 이미지
Opportunities
Threats
웰빙트렌드 (건강분야의 소비욕구)
혼합차 시장의 부재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6.1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