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전증폭기와 비반전증폭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전증폭기와 비반전증폭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Function / Arbitrary Waveform generator)
: Agilent 33220A
1대
2채널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 Lecroy Wave surfer 432
1대
브레드보드
1개
4. 데이터표
< 데이터 -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전증폭기와 비반전증폭기 >
< 데이터 - 반전증폭기 >
Rf
Vout 측정값
이득측정값
이득기대값
%오 차
10㏀
-1V
-1
-1
0%
22㏀
-2.09V
-2.09
-2.2
5.00%
47㏀
-4.47V
-4.47
-4.7
4.89%
100㏀
-9.56V
-9.56
-10
4.40%
4.7㏀
-456mV
-0.456
-0.47
2.98%
1㏀
-119mV
-0.119
-0.1
19.00%
< 데이터 - 비반전증폭기 >
Rf
Vout 측정값
이득측정값
이득기대값
%오 차
10㏀
1.91V
1.91
2
4.50%
22㏀
3.03V
3.03
3.2
5.31%
47㏀
5.38V
5.38
5.7
5.61%
100㏀
10.44V
10.44V
11
5.09%
4.7㏀
1.56V
1.56
1.47
6.12%
1㏀
1.09V
1.09
1.1
0.91%
Data값에 대한 분석(결론)
이번 실험의 목적은 우리가 사용한 741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반전증폭기와 비반전증폭기의 회로의 동작특성 및 배경원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DATA분석에 앞서 반전증폭기와 비반전증폭기의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겠다. 반전증폭기는 입력신호를 <->단자(inverting Input terminal)에 인가하여 출력단자에서 출력신호를 얻는 회로를 말하며, 말 그대로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신호가 반전되어 나오게 된다. 여기서 반전이란 위상반전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결국 입력신호와 180°의 위상차를 가진 출력신호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뒤에서 수식을 통해 살펴보겠지만 반전증폭기의 전압이득은 1보다 작거나 크거나 또는 같게 만들 수 있다. 반면에 비반전증폭기는 입력신호를 <+>단자(noninverting input terminal)에 인가하여 출력신호를 얻는 회로를 말하며, 말 그대로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신호가 반전되지 않고 나오게 된다. 반전되지 않는다는 것은 위상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고, 결국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사이에는 위상차가 없는 동상 신호가 나오게 된다. 또한 뒤에서 수식을 통해 다시 말하겠지만 비반전증폭기의 전압이득은 항상 1보다 크게 된다. 결국 전압이득이 상관없다면 반전 또는 비반전 증폭기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만약 전압이득이 항상 1보다 큰 값을 가져야 한다면 비반전 증폭기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며,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와의 위상관계를 통해 사용되고 있는 회로가 반전증폭기 회로인지 비반전증폭회로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DATA 분석에 들어가 보도록 하겠다. 먼저 그림1과 같이 반전회로를 구성하고 입력신호는 500Hz, 첨두간 전압1V를 인가해 줬으며 오실로스코프의 수평 및 수직 감도는 각각의 파형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6.20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