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BOD, COD, TN(총질소), TP(총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O, BOD, COD, TN(총질소), TP(총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S(부유물질

2. DO(BOD)

3. COD

4. TN(총질소)

5. TP(총인)

본문내용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 혼액, 인산염인표준액 (0.005mg P/ml))
5. 실험 방법 및 과정
-시료의 전처리-
① 시료 50ml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과황산칼륨용액( 4W/V%) 10ml를 넣는다.
② 마개를 닫고 흔들어 섞은 다음 고압증기멸균기에 넣고 가열한다
③ 약 120℃가 될 때부터 30분간 가열하고 꺼내어 방냉한다.
-검량선의 작성 -
① 인산염인 표준액 (0.005mg P/ml) 50ml, 10ml, 15ml, 20ml를 취하여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표선을 채운다.
② 이 액을 25ml씩 취하여 각각 비커에 넣는다.
③ 시료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인의 양과 흡광도와의 관계선을 작성한다.
-시험방법-
① 전처리한 시료의 상등액 25ml를 취하여 비커에 옮긴다.
② 여기에 몰리브덴산암모늄 아스코르빈산 혼액 2ml를 넣어 섞은 다음 15분간 방치한다.
③ 이 용액의 일부를 층장 10nm 흡수셀에 옮겨 검액으로 한다.
④ 따로 물 50ml를 취하여 시료의 전처리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바탕시험액으로 한다.
⑤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하여 880nm에서 검액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⑥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총인의 양을 구하여 농도를 산출한다.
6. 실험 결과 및 고찰
인산염인 표준액
(0.005 mg/ml)
0
5ml
10ml
15ml
20ml
인의양(mg)
0
0.00625
0.01250
0.01875
0.02500
흡광도(ABS)
0
0.20300
0.29200
0.42500
0.58300
검량선 작성시 인의 양과 흡광도와의 관계선을 나타내야 하므로 인산염인 표준액(0.005mgP/ml) 5ml, 10ml, 15ml, 20ml를 각각 양(mg)으로 환산한다. 그리고 100ml 중에 25ml를 취하여 시험하였으므로 1/4를 곱해준다.
r 값은 각 값과 선의 거리를 제곱하여 모두 더한 후 나온 값으로 r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선 일치도가 높아진다. 우리 조는 r 값이 0.987로 나왔으므로 어느 정도 정확한 검량선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래프의 식 y=22.208x+0.023에 시료(분수대물)의 흡광도 측정 결과인 0.063ABS를 대입하면 시료 안에 존재하는 인의 양을 구할 수 있다.
y = 22.208x + 0.023
0.063= 22.208x + 0.023
22.208x=0.04
x = 0.0018 (mg)
이렇게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인의 양을 총 인(mg/l)을 구하는 계산식에 대입하면 농도를 산출 할 수 있다.
* 총 인 계산
: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인의 양(mg)
: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인의 양(mg) -0.0018 (mg)
1. 실험제목: 총 질소(TN) 측정
2. 실험일시: 5월 ~ 5월 일
3. 실험원리: 시료중 질소화춥물을 알칼리성 과황산칼륨의 존재하에 120℃에서 유기물과 함께 분해하여 질산이온으로 산화시킨 다음 산성에서 자외부 흡광도를 측정하여 질소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정량범위는 0.005~0.05mg N이며 표준편차는 10~3%
4. 실험준비물:
광전광도계 또는 광전분광광도계, 고압증기멸균기, 삼각플라스크, 비커, 피펫, 피펫필러, 메스실린더, 용량플라스크
시료(분수대 물), 시약( 알카리성과황산칼륨, 염산(1+16), 질산성질소표준액(0.02mg NO-N/ml), 염산(1+500)
5. 실험 방법 및 과정
-시료의 전처리-
① 시료 50ml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알칼리성과황산칼륨용액 10ml를 넣는다.
② 마개를 닫고 흔들어 섞은 다음 고압증기멸균기에 넣고 가열한다(약 120℃)가 될 때부터 30분간 가열하고 꺼내어 방냉한다.
-검량선의 작성 -
① 질산성질소표준액(0.02mg NO-N/ml) 0ml, 4ml, 7ml, 10ml를 취하여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표선을 채운다.
② 이 액을 25ml씩 취하여 각각 비커에 넣고 염산(1+500) 5ml를 넣는다.
③ 시료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질소의 양과 흡광도와의 관계선을 작성한다.
-시험방법-
① 전처리한 시료의 상등액을 취하여 유리섬유 여지(GF/C)로 여과하고 25ml를 취하여 비커에 옮긴다.
② 여기에 염산(1+16) 5ml를 넣어 PH 2~3으로 한다.
③ 이 용액의 일부를 층장 10nm 흡수셀에 옮겨 검액으로한다.
④ 따로 물 50ml를 취하여 시료의 전처리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바탕시험액으로 한다.
⑤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하여 220nm에서 검액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⑥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질소의 양을 구하여 시료의 총질소 농도를 산출한다.
6. 실험 결과 및 고찰
검량선 작성시 질소의 양과 흡광도와의 관계선을 나타내야 하므로 질산성질소 표준액(0.02 mgNO-N/ml) 0ml, 4ml, 7ml, 10ml를 각각 양(mg)으로 환산한다. 그리고 100ml 중에 25ml를 취하여 시험하였으므로 1/4를 곱해준다.
질산성질소 표준액 (0.02mg NO3-N/ml)
0ml
4ml
7ml
10ml
질산성질소의 양 (mg)
0
0.020
0.035
0.050
흡광도 (ABS)
0
0.186
0.330
0.462
r 값은 각 값과 선의 거리를 제곱하여 모두 더한 후 나온 값으로 r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선과 점들 간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설명된다. 우리 조는 r 값이 0.9998로 나왔으므로 어느 정도 정확한 검량선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래프의 식 y=9.2767x+0.001에 시료(분수대물)의 흡광도 측정 결과인 0.237ABS를 대입하면 시료 안에 존재하는 인의 양을 구할 수 있다.
y = 9.2767x + 0.001
0.237 = 9.2767x + 0.001
9.2767x = 0.236
x 0.025 (mg)
이렇게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질소의 양을 총 질소(mg/l)을 구하는 계산식에 대입하면 농도를 산출 할 수 있다.
* 총 질소 계산
: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인의 양(mg)
: 전처리에 사용한 시료량(ml)
: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인의 양(mg) -0.025(mg)
: 전처리에 사용한 시료량(ml) -50(ml)
참고
물환경정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weis/

키워드

수질,   DO,   용존산소,   SS(부유물질),   COD,   TN,   TP
  • 가격2,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6.2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