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 결론
*참고문헌
2.본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였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함흥부에 예속되었다. 지도에서 홍원의 위치는 G이다.
32 居山驛(거산역) 디나 드러
侍中臺(시듕대) 올나 안자
거산역과 시중대는 공통적으로 함경도의 흡곡 지역에 있는 지명과 누대의 이름을 말한다. 시중대는 평해의 월송정 대신 이것을 관동팔경 중 하나로 꼽기도 한다.
35 端川(단쳔)을 겨틔 두고
四知軒(디헌)을 자 가니
단천은 함경남도 북동부에 있는 군을 뜻한다. 지도에서 단천의 위치는 H이다. A에서 H까지의 여정으로 보아 조우인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는 길 중 주로 바닷가를 끼고 행차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37 磨雲嶺(마운녕) 채쳐 너머
마곡역(麻谷驛) 을 쉬워
마운령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있는 함경산맥의 한 줄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또한 마곡역은 35행에 등장했던 함경남도 단천의 한 지명을 지칭한다.
40 城津(셩딘) 設鎭(셜딘)이
形勢(형세) 됴커니와
성진은 함경북도 남쪽 끝에 있는 시를 지칭한다. 지도상에서 I로 표시한 부분을 가리킨다. 뒤이어 서술된 셜딘은 ‘성진에 설치된 진영’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숙종 27년(1701)에 설치된 방어영을 뜻한다.
43 白頭山(백두산) 一脈(일맥)이
長白山(
32 居山驛(거산역) 디나 드러
侍中臺(시듕대) 올나 안자
거산역과 시중대는 공통적으로 함경도의 흡곡 지역에 있는 지명과 누대의 이름을 말한다. 시중대는 평해의 월송정 대신 이것을 관동팔경 중 하나로 꼽기도 한다.
35 端川(단쳔)을 겨틔 두고
四知軒(디헌)을 자 가니
단천은 함경남도 북동부에 있는 군을 뜻한다. 지도에서 단천의 위치는 H이다. A에서 H까지의 여정으로 보아 조우인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는 길 중 주로 바닷가를 끼고 행차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37 磨雲嶺(마운녕) 채쳐 너머
마곡역(麻谷驛) 을 쉬워
마운령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있는 함경산맥의 한 줄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또한 마곡역은 35행에 등장했던 함경남도 단천의 한 지명을 지칭한다.
40 城津(셩딘) 設鎭(셜딘)이
形勢(형세) 됴커니와
성진은 함경북도 남쪽 끝에 있는 시를 지칭한다. 지도상에서 I로 표시한 부분을 가리킨다. 뒤이어 서술된 셜딘은 ‘성진에 설치된 진영’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숙종 27년(1701)에 설치된 방어영을 뜻한다.
43 白頭山(백두산) 一脈(일맥)이
長白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