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새곡'의 해석, 핵심소개, 장르적 특징, 작가소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출새곡'의 해석, 핵심소개, 장르적 특징, 작가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핵심정리

2. 작가 소개

3. 장르적 특징

4. 현대어 풀이

5. 작품 해설

6.문학적 의의

본문내용

<고전 시가 강독>
출새곡(出塞曲)
1. 핵심정리
작자: 조우인
연대: 조선 광해군 때
갈래: 가사 (기행가사, 유배가사)
형식: 3·4조, 2·3조, 4·4조, 2·4조
주제: 임지에 이르는 여정과 그 곳에서의 생활 그리고 간신에 대한 불만과 임금에 대한 충심
2. 작가 소개
조우인<曺友仁. 1561(명종16) ~ 1625(인조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익(汝益), 호는 매호(梅湖), 이재(齋)이다. 1621년에는 제술관으로 있으면서 고궁이 황적유폐함을 보고 감회일장을 지어 광해군의 잘못을 풍자하였다가 필화를 입어 3년간 옥고를 치르고, 인조의 등극으로 풀려나 상주의 매호에서 은거하며 여생을 마쳤다. 시·서예·음악에 뛰어나 삼절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그의 가사집 《이재영언齋詠言》에는 <매호별곡>, <자도사>, <관동속별곡>,<출새곡> 등 4편의 가사작품이 실려 전한다. <출새곡>은 1616년 가을에 경성부사로 제수되어 이듬해 봄에 변방의 산천풍토와 봄놀이를 두루 즐긴 뒤, 서울의 흥인문을 떠나 임지인 경성에 다다르기까지의 노정에서 얻은 견문, 임지에서의 춘유, 변방목민관의 고독감 등을 노래한 기행가사이다. 저술로는 문집《이재집》과 가사집 《이재영언》이 있다.
3. 장르적 특징
<출새곡>은 대개 3·4조와 4·4조로 간결하면서도 함축미를 지닌 기행가사의 형식을 지니고 내용은 작자가 유배라고도 볼 수 있는 좌천을 겪으면서 쓴 씁쓸함이 배어있어 유배가사라 할 수 있다. 기행가사는 여행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 등을 쓴 가사이고 유배가사는 귀양살이를 소재로 한 또는 그곳에서 지은 가사이다. 그러나 유배가사는 유배지로 오가는 동안의 견문이나 유배지에서의 생활상 등 기행가사적 성격을 띠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당쟁과 사화가 치열하였던 조선 봉건 전제사회의 시대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배생활은 시조나 가사를 막론하고 그들에게 문학작품을 창작하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4. 현대어 풀이
본문
현대어 풀이
01 北方 二十餘州(북방 이십여주)예
鏡城(경성)이 門戶(문호)러니
02 治兵(치병) 牧民(목민)을
날을 맛겨 보내시니
03 罔極(망극) 聖恩(성은)을
갚플 일이 어려웨라
04 書生事業(서생사업)은
翰墨(한묵)인가 너기더니
05 白首臨邊(백수임변)이
진실노 意外(의외)로다
06 仁政殿(인정전) 拜辭(배사)하고
칼흘 집고 도라 셔니
07 萬里關河(만리관하)의 一身(일신)을
다 닛괘라
08 興仁門(흥인문) 니라
綠陽(녹양)의 을 니
09 銀漢(은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1.15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