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적 사항
Ⅱ. 간호력
1. 활동과 휴식 욕구
2. 산소 욕구
3.영양과 배설욕구
4. 안전과 안정욕구
Ⅲ. 질병에 대한 설명
1. 병리, 생리학
2. 일반적 임상증상
3. 사례환자의 질병과정
4. 수술(검사)일 및 수술(검사)명 등
5. 기타치료
Ⅳ. 경구, 비경구 투약 및 수분전해질 공급
Ⅴ. 진단검사
Ⅵ. 간호과정
Ⅱ. 간호력
1. 활동과 휴식 욕구
2. 산소 욕구
3.영양과 배설욕구
4. 안전과 안정욕구
Ⅲ. 질병에 대한 설명
1. 병리, 생리학
2. 일반적 임상증상
3. 사례환자의 질병과정
4. 수술(검사)일 및 수술(검사)명 등
5. 기타치료
Ⅳ. 경구, 비경구 투약 및 수분전해질 공급
Ⅴ. 진단검사
Ⅵ. 간호과정
본문내용
장궤양, 미란성 위염, 역류성 식도염 지혈 및 자각증상의 개선, 위 생검 출혈 시의 지혈.
②용법/용량 : 1회 1-3g, 1일 3-4회 공복에 경구투여
③부작용 : 변비, 설사
* APN 증상 완화
-CFPX : Cephalosporins ( 세팔로스포린계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
①효능/효과 : 모낭염(농포성 여드름 포함), 종기, 옹종, 연조직염, 림프관(절)염, 화농성 손발톱주위염, 피하농양, 감염성죽종, 만성기관지염, 신우신염, 방광염, 임균성요도염, 바토린선염, 바토린선 농양, 중이염, 부비동염, 치주조직염, 치관주위염, 악염 등
②용법/용량 : 성인 - 1회 100mg(중증시 1회 200mg) 1일 2회 식후 경구투여
③부작용 :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발열, 림프절 종창, 관절통, 구역, 구토, 설사, 묽은 변, 위통, 복통,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호산구 증가, 백혈구 감소, 빌리루빈 상승, BUN, 혈중크레아티닌 상승 등
④금기사항 : 본제에 의한 shock의 경험자
⑤주의 : 세펨계 항생물질에 대해 과민증, 페니실린계 과민반응, 알레르기 체질 또는 가족력, 신장애, 경구섭취가 부적당인, 비경구영양 투여인, 고령자등
Ⅴ. 진단검사
● 05월 14일 검사 : 일반혈액검사/ 심장검사실/ 흉부, 복부/ 혈액응고검사/ 일반 화학검사/ 요검사/ 분변 및 기생충 검사/ 면역 혈청 검사/ 일반 미생물 검사
<검사 결과>
결과 수치
이상 여부
WBC
6.6
-
RBC
3.18
▽0.72
Hb
9.9
▽1.1
Hct
29.4
▽6.6
PCT
0.137
▽0.009
MPV
7.7
▽0.1
neutrophil
75.4
△1.4
lymphocyte
17.3
▽1.7
ESR
70
△50
1. 일반혈액검사
→ neutrophil(중성구), ESR등의 증가는 급성 신우신염으로 감염증상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PT
12.0
PT INR
1.07
aPTT
28.0
2. 혈액응고 검사 → 이상 없음
Glucose
123
△13
Calcium
8.3
▽0.1
Phosphorus
2.4
▽0.2
Albumin
3.5
▽0.5
ALP
115
△5
K
3.2
▽0.4
3. 일반화학검사
CRP
14.3
△13.5
4. 면역혈청검사
→ CRP은 급성 염증반응이 있을 때 수치가 올라간다. 정상수치는 1미만이며 급성 염증반응으로 수치가 높아진 걸 볼 수 있다.
● 05월 16일 검사 : 일반혈액검사/ 요검사/ 응급검사/ 면역혈청검사
● 05월 17일 검사 : 응급검사
● 05월 18일 검사 : 일반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요검사/ 요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 05월 19일 검사 : 척추(요천추)
● 05월 20일 검사 : MRI
Ⅵ. 간호과정
1. 관련자료
* Subject Data(주관적 자료)
①“춥다. 이불 좀 더 가져다 달라.”
②“예민한 신경이 아니지만 나이가 들면서 잠이 잘 오지 않으며 밤 12시에서 새벽 2시정도에 잠이 들고 아침 6시전에 일어난다. 잠을 별로 못 잔다.”
③“예전엔 그렇지 않았는데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다. 조금씩 나온다.”
④남편은 돌아가시고 입원 전에는 혼자 집에서 지낸다. 자신이 입원한 이유가 허리와 다리가 아파서이다.
* Object Data(객관적 자료)
⑤몸을 덜덜 떨며 이불을 뒤집어 쓰고 인상을 찌푸림. 홍조가 있음.
체온이 높음. [05.14 - 38.7℃][05.15 - 37.3℃][05.16 - 37.8℃][05.17 - 38.0℃][05.18 - 37.1℃][05.19 - 37.1℃]
⑥평상시에 자주 화장실을 감. 18일 오후 경에는 삼십분에 1번씩 150cc, 200cc정도 소변을 봄. 밤중에도 소변을 보러 자주 화장실에 가기 때문에 자주 깸.
⑦V/S : [BP - 110/60] [P - 88회] [R - 24회] [BT - 38.7℃]로 빈맥, 호흡수 증가가 나타남.
neutrophil
75.4
△1.4
ESR
70
△50
CRP
14.3
△13.5
⑧검사 결과
→염증반응으로 증가되는 결과가 나옴
⑨보청기를 꼈지만 청력이 좋지 않아 질문에 대한 이해가 조금 떨어짐
2. 간호진단
◆염증반응으로 인한 고체온(근거자료 : ①⑤⑦⑧)
◆소변양상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근거자료 : ②③⑥)
◆정보부족과 관련된 재발예방의 지식부족(근거자료 : ④⑨)
◆면역기능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근거자료 : ⑧)
3. 간호목표, 결과기준
◆일주일 이내로 발열 증상 없이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밤사이 배뇨하러 가는 3회에서 1회로 횟수가 줄어든다.
◆퇴원하기 전까지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인식이 있다.
◆퇴원 전까지 면역검사결과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4. 중재
◆-체온을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체온이 오르는 것은 염증반응의 1차적 징후일 수 있으 므로 자주 측정하여 체온이 높을 경우 의사에게 notify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ice bag을 적용한다.(fever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잠자기 전 수분섭취를 줄인다.(밤사이 배뇨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환자의 배뇨양상을 관찰한다.(변화가 있을 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질병에 관해 교육한다.(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알음으로써 추후 재발을 예방한다.)
-퇴원 후 자가 관리를 교육한다.(재발 하여 나타나는 영구적인 신장 손상을 예방한다.)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한다.(영양을 보충해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방문객을 제한하고 안정을 취한다.(감염의 위험성을 낮춘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해 감염위험성을 사정한다.(빈맥, 호흡수 증가, 체온상승 등의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5. 평가
감염은 14일 이상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치유된다.(전과하여 평가하지 못함.)
면역검사 결과의 수치가 정상이다.(전과하여 평가하지 못함.)
전과하기 전 마지막 fever 37.1℃이며 chilling없음. 입원당시보다 상태 많이 호전.
입원당시보다 통증이 없다고 말씀하심.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Ⅱ - 현문사
성인간호학 실습 지침서 -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한강성심병원 EMR 간호 기록지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②용법/용량 : 1회 1-3g, 1일 3-4회 공복에 경구투여
③부작용 : 변비, 설사
* APN 증상 완화
-CFPX : Cephalosporins ( 세팔로스포린계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
①효능/효과 : 모낭염(농포성 여드름 포함), 종기, 옹종, 연조직염, 림프관(절)염, 화농성 손발톱주위염, 피하농양, 감염성죽종, 만성기관지염, 신우신염, 방광염, 임균성요도염, 바토린선염, 바토린선 농양, 중이염, 부비동염, 치주조직염, 치관주위염, 악염 등
②용법/용량 : 성인 - 1회 100mg(중증시 1회 200mg) 1일 2회 식후 경구투여
③부작용 :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발열, 림프절 종창, 관절통, 구역, 구토, 설사, 묽은 변, 위통, 복통,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호산구 증가, 백혈구 감소, 빌리루빈 상승, BUN, 혈중크레아티닌 상승 등
④금기사항 : 본제에 의한 shock의 경험자
⑤주의 : 세펨계 항생물질에 대해 과민증, 페니실린계 과민반응, 알레르기 체질 또는 가족력, 신장애, 경구섭취가 부적당인, 비경구영양 투여인, 고령자등
Ⅴ. 진단검사
● 05월 14일 검사 : 일반혈액검사/ 심장검사실/ 흉부, 복부/ 혈액응고검사/ 일반 화학검사/ 요검사/ 분변 및 기생충 검사/ 면역 혈청 검사/ 일반 미생물 검사
<검사 결과>
결과 수치
이상 여부
WBC
6.6
-
RBC
3.18
▽0.72
Hb
9.9
▽1.1
Hct
29.4
▽6.6
PCT
0.137
▽0.009
MPV
7.7
▽0.1
neutrophil
75.4
△1.4
lymphocyte
17.3
▽1.7
ESR
70
△50
1. 일반혈액검사
→ neutrophil(중성구), ESR등의 증가는 급성 신우신염으로 감염증상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PT
12.0
PT INR
1.07
aPTT
28.0
2. 혈액응고 검사 → 이상 없음
Glucose
123
△13
Calcium
8.3
▽0.1
Phosphorus
2.4
▽0.2
Albumin
3.5
▽0.5
ALP
115
△5
K
3.2
▽0.4
3. 일반화학검사
CRP
14.3
△13.5
4. 면역혈청검사
→ CRP은 급성 염증반응이 있을 때 수치가 올라간다. 정상수치는 1미만이며 급성 염증반응으로 수치가 높아진 걸 볼 수 있다.
● 05월 16일 검사 : 일반혈액검사/ 요검사/ 응급검사/ 면역혈청검사
● 05월 17일 검사 : 응급검사
● 05월 18일 검사 : 일반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요검사/ 요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 05월 19일 검사 : 척추(요천추)
● 05월 20일 검사 : MRI
Ⅵ. 간호과정
1. 관련자료
* Subject Data(주관적 자료)
①“춥다. 이불 좀 더 가져다 달라.”
②“예민한 신경이 아니지만 나이가 들면서 잠이 잘 오지 않으며 밤 12시에서 새벽 2시정도에 잠이 들고 아침 6시전에 일어난다. 잠을 별로 못 잔다.”
③“예전엔 그렇지 않았는데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다. 조금씩 나온다.”
④남편은 돌아가시고 입원 전에는 혼자 집에서 지낸다. 자신이 입원한 이유가 허리와 다리가 아파서이다.
* Object Data(객관적 자료)
⑤몸을 덜덜 떨며 이불을 뒤집어 쓰고 인상을 찌푸림. 홍조가 있음.
체온이 높음. [05.14 - 38.7℃][05.15 - 37.3℃][05.16 - 37.8℃][05.17 - 38.0℃][05.18 - 37.1℃][05.19 - 37.1℃]
⑥평상시에 자주 화장실을 감. 18일 오후 경에는 삼십분에 1번씩 150cc, 200cc정도 소변을 봄. 밤중에도 소변을 보러 자주 화장실에 가기 때문에 자주 깸.
⑦V/S : [BP - 110/60] [P - 88회] [R - 24회] [BT - 38.7℃]로 빈맥, 호흡수 증가가 나타남.
neutrophil
75.4
△1.4
ESR
70
△50
CRP
14.3
△13.5
⑧검사 결과
→염증반응으로 증가되는 결과가 나옴
⑨보청기를 꼈지만 청력이 좋지 않아 질문에 대한 이해가 조금 떨어짐
2. 간호진단
◆염증반응으로 인한 고체온(근거자료 : ①⑤⑦⑧)
◆소변양상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근거자료 : ②③⑥)
◆정보부족과 관련된 재발예방의 지식부족(근거자료 : ④⑨)
◆면역기능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근거자료 : ⑧)
3. 간호목표, 결과기준
◆일주일 이내로 발열 증상 없이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밤사이 배뇨하러 가는 3회에서 1회로 횟수가 줄어든다.
◆퇴원하기 전까지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인식이 있다.
◆퇴원 전까지 면역검사결과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4. 중재
◆-체온을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체온이 오르는 것은 염증반응의 1차적 징후일 수 있으 므로 자주 측정하여 체온이 높을 경우 의사에게 notify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ice bag을 적용한다.(fever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잠자기 전 수분섭취를 줄인다.(밤사이 배뇨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환자의 배뇨양상을 관찰한다.(변화가 있을 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질병에 관해 교육한다.(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알음으로써 추후 재발을 예방한다.)
-퇴원 후 자가 관리를 교육한다.(재발 하여 나타나는 영구적인 신장 손상을 예방한다.)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한다.(영양을 보충해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방문객을 제한하고 안정을 취한다.(감염의 위험성을 낮춘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해 감염위험성을 사정한다.(빈맥, 호흡수 증가, 체온상승 등의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5. 평가
감염은 14일 이상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치유된다.(전과하여 평가하지 못함.)
면역검사 결과의 수치가 정상이다.(전과하여 평가하지 못함.)
전과하기 전 마지막 fever 37.1℃이며 chilling없음. 입원당시보다 상태 많이 호전.
입원당시보다 통증이 없다고 말씀하심.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Ⅱ - 현문사
성인간호학 실습 지침서 -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한강성심병원 EMR 간호 기록지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