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임산부마취의 위험성
Ⅲ. 임산부마취의 태아에 대한 영향
1. 태아에 대한 약제의 영향
1) 흡입마취제
2) 산소와 탄산가스
3) 진통제
4) 항생제
2. 태아의 산소포화도의 유지
3. 산모의 탄산가스분압과 pH
Ⅳ. 임산부마취의 부작용
1. General consideration about pregnant women & fetus
1) general side
2) maternal mortality
2. 임산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신마취와 관련된 합병증
1) Aspiration of gastric contents
2) Difficult or failed intubation
3) Awareness during general anesthesia
3. 임산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분마취와 관련된 합병증
Ⅴ. 임산부마취의 바람직한 방법
1. 부위마취
2. 전신마취
참고문헌
Ⅱ. 임산부마취의 위험성
Ⅲ. 임산부마취의 태아에 대한 영향
1. 태아에 대한 약제의 영향
1) 흡입마취제
2) 산소와 탄산가스
3) 진통제
4) 항생제
2. 태아의 산소포화도의 유지
3. 산모의 탄산가스분압과 pH
Ⅳ. 임산부마취의 부작용
1. General consideration about pregnant women & fetus
1) general side
2) maternal mortality
2. 임산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신마취와 관련된 합병증
1) Aspiration of gastric contents
2) Difficult or failed intubation
3) Awareness during general anesthesia
3. 임산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분마취와 관련된 합병증
Ⅴ. 임산부마취의 바람직한 방법
1. 부위마취
2. 전신마취
참고문헌
본문내용
. 왜냐하면 태반을 관류하는 혈액에서 산소함량이 감소되었고 태반혈관이 수축되었기 때문이다. 태반혈관의 수축은 저산소증에 의해 증가된 혈장 catecholamine 때문이다. 산모의 동맥산소분압을 증가시키면 태아에게 전달되는 산소의 양이 아주 높은 수준까지 증가된다.
3. 산모의 탄산가스분압과 pH
태아의 동맥혈탄산가스분압은 산모의 동맥혈탄산가스분압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산모의 과탄산증은 직접적으로 태아에게 산증을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약산의 탄산가스증가는 태아에게 해롭지 않겠지만 두드러진 호흡성산증은 실질적인 자궁혈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산모의 호흡성 그리고 대사성 알카리증은 제대혈관의 수축과 산모의 산소-혈색소해리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산모의 혈액에서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친화성을 증가시켜서 태아의 산소포화도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자궁-태반혈류는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다.
① 자궁근의 긴장도 증가
② 산모의 혈압감소
③ 자궁-태반혈관의 수축
산모의 자궁-태반혈관은 정상상태에서 최대로 확장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자동조절기능이 없으므로 산모의 혈압감소는 태아의 저산소증을 직접적으로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승압제들은 산모의 순환계의 상태와 사용되어지는 약제의 특징에 따라 자궁-태반혈류에 서로 다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승압제를 이용해 관류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자궁혈관수축작용과 관련되어 자궁혈류의 감소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norepineohrine, methoxamine 그리고 metaraminol과 같은 주로 α-adrenergic작용이 있는 승압제들은 직적 혈관수축과 자궁근의 긴장도의 증가에 의해서 자궁-태반혈류의 큰 감소를 초래한다. 동물실험에서 ephedrine과 같은 승압제는 α-adrenergic작용뿐만 아니라 β-adrenergic작용도 있어서 척추마취나 경막외 마취중의 저혈압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을 때 자궁혈류를 증가시킨다.
Ⅳ. 임산부마취의 부작용
1. General consideration about pregnant women & fetus
1) general side
임신기간동안의 마취에 대해서 이해하고 적절한 마취와 수술을 시행하려면 임산부의 생리와 모체, 태아의 생리학적, 약물학적 효과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수술기간동안 태아에 미칠 수 있는 위험의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마취제 자체는 매우 안전할 경우에도 수술과 마취가 모체와 태아에게 유해할 수 있다. 그 주된 원인은 hypoxia와 hypotension이다. 태반의 gas교환은 심혈관계의 변화에 의해서 불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hyperventilation이나 hypoventilation과 같은 폐기능의 변화에 의해서도 나쁘게 작용할 수 있다. 아직 무슨 약제나 마취기술이 다른 것보다 안전하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정상 범위에서 심박출량과 혈압, 환기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태아의 위험은 hypothermia나 hypotension이 일어났을 때 증가한다. 전신마취의
3. 산모의 탄산가스분압과 pH
태아의 동맥혈탄산가스분압은 산모의 동맥혈탄산가스분압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산모의 과탄산증은 직접적으로 태아에게 산증을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약산의 탄산가스증가는 태아에게 해롭지 않겠지만 두드러진 호흡성산증은 실질적인 자궁혈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산모의 호흡성 그리고 대사성 알카리증은 제대혈관의 수축과 산모의 산소-혈색소해리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산모의 혈액에서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친화성을 증가시켜서 태아의 산소포화도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자궁-태반혈류는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다.
① 자궁근의 긴장도 증가
② 산모의 혈압감소
③ 자궁-태반혈관의 수축
산모의 자궁-태반혈관은 정상상태에서 최대로 확장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자동조절기능이 없으므로 산모의 혈압감소는 태아의 저산소증을 직접적으로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승압제들은 산모의 순환계의 상태와 사용되어지는 약제의 특징에 따라 자궁-태반혈류에 서로 다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승압제를 이용해 관류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자궁혈관수축작용과 관련되어 자궁혈류의 감소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norepineohrine, methoxamine 그리고 metaraminol과 같은 주로 α-adrenergic작용이 있는 승압제들은 직적 혈관수축과 자궁근의 긴장도의 증가에 의해서 자궁-태반혈류의 큰 감소를 초래한다. 동물실험에서 ephedrine과 같은 승압제는 α-adrenergic작용뿐만 아니라 β-adrenergic작용도 있어서 척추마취나 경막외 마취중의 저혈압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을 때 자궁혈류를 증가시킨다.
Ⅳ. 임산부마취의 부작용
1. General consideration about pregnant women & fetus
1) general side
임신기간동안의 마취에 대해서 이해하고 적절한 마취와 수술을 시행하려면 임산부의 생리와 모체, 태아의 생리학적, 약물학적 효과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수술기간동안 태아에 미칠 수 있는 위험의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마취제 자체는 매우 안전할 경우에도 수술과 마취가 모체와 태아에게 유해할 수 있다. 그 주된 원인은 hypoxia와 hypotension이다. 태반의 gas교환은 심혈관계의 변화에 의해서 불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hyperventilation이나 hypoventilation과 같은 폐기능의 변화에 의해서도 나쁘게 작용할 수 있다. 아직 무슨 약제나 마취기술이 다른 것보다 안전하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정상 범위에서 심박출량과 혈압, 환기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태아의 위험은 hypothermia나 hypotension이 일어났을 때 증가한다. 전신마취의
추천자료
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접근권
수정 및 태아발달에 대하여
임신시 증상과 주의점
10대 임신의 문제점
장애인복지법률 및 전달체계
우리나라 임신모들은 임신 중 어떤경험을 하는가 ?
모자보건법
출산준비교육과 분만법
물질남용 간호 중재 흡연 음주 여성 대상자 간호
태교의 음식등 종류별 소개
[여성흡연][피부미용][담배회사][여성흡연 피해][여성흡연 사례]여성흡연의 실태, 여성흡연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발달의 이해 - 태내기와 신생아기의 특성 및 발달과업 (임신단계...
태교 요가~
생활주기영양학 2017년+건강한 임신을 위한 가임기 및 임신부의 올바른 영양관리 방법을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