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현황과 문제점 실태 나아갈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현황과 문제점 실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사노동


Ⅰ. 이론적 배경
1. 가사노동의 의미
2. 가사노동의 가치
3. 가사노동분담 관련 가설
4. 가사노동의 변화

Ⅱ.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현황과 문제점
1.가사노동현황

Ⅲ. 가사분담의 실태
1. 여성이 가사노동의 주체가 된 배경
2. 가사분담의 필요성
3. 과거의 가사분담
4. 자녀들의 가사분담
5. 현재의 가사분담

Ⅳ. 가사노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현재 가사노동의 문제점
2. 양성성
3. 가사노동의 참여유도 방법

본문내용

참여는 부족하기만 하다.
◎ 2005년 9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2천 304만 8천명 가운데 여성 취업자는 970만 6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중 여성의 비율은 42.1%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40대 여성의 비중은 11.2%로 20대 남성(8.4%)과 50대 남성(9.6%)보다 높아 전체 취업자 10명 가운데 1명 이상이 40대 여성(연합뉴스, 2005. 10. 24)이라는 통계청의 통계결과를 통해서도 산업화시대의 성역할 분리가 시장노동에서는 더 이상 고정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의 남편의 역할분담은 아직도 미미하다.
◎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로부터 자유롭고 싶어 하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ㆍ개인적 요인 - 가사노동 기술의 절대적 부족, 가사노동을 노동으로 여기지 않는 개인적 태도,
가사노동에 대한 선호도 등
ㆍ사회적 요인 - 가사노동을 여성의 일이라고 여기는 성별계층화와 이에 의해 이루어진 사회 경제구조
2. 양성성
◎ 양성성 개념은 성역할에 따른 고정적인 역할분담, 즉 남성은 생계부양자이며 경제적 수단의 책임자이고 여성은 자녀 양육과 보호 및 가사일은 전담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한 인성을 형성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1970년도에 미국에서 등장하여 1980년도에우리나라에 도입된 이 개념은 30-40대 이하 남성들에게 교육되었다. 17세-39세 사이에 남녀 300명(남성 150명, 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한 ‘2004년 우리 시대 남녀의 조용한 혁명’이라는 제일기획의 보고서에 의하면 남성의 66.7%, 여성의 57.3%가 ‘양성형’으로 분류되었다고 한다(한겨례 2004년, 12월 26일자).
◎ 양성성은 한국인 성인 남녀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여성부에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80%가 아빠가 입안일을 할 수도 있다고 답한만큼 양성평등의식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겨례 2005년 4월 20일자)
3. 가사노동의 참여유도 방법
◎gAbdel-Ghany와 Nichols(1983)는 취업부부의 가사노동 분담을 연구한 결과 성역할태도가 가사노동분담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밝혔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남편 혹은 부인의 성역할태도가 근대적일수록 가사노동분담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참여에는 부인의 취업여부, 가사노동 수행능력, 성역할태도, 연령,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쳤다. 부인이 취업한 경우, 자신이 가사노동을 잘 수행한다고 여길수록, 성역할태도가 근대적 성향을 지닐수록,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사에 많이 참여했다.
◎ 성역할태도가 근대적일수록 가사에 많은 참여를 한 결과는 앞으로 기혼남성뿐 아니라 미혼남성들도 근대적 성역할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기혼남성의 가사노동 참여에 가사노동 수행능력이 높을수록 가사노동참여가 많아짐으로 보아 기혼남성들이 가사노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이들을 격려하고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7.16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