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청년 독립단(2. 8독립 선언 발표)
2. 사회주의 운동의 대두와 신간회 운동
1) 사회주의 사상 : 1920년대 초기 소수의 지식인, 청년. 학생층 중심 전파 → 사회주의 운동이 본격화 되면서 노동. 농민. 청년. 여성. 형평 운동 전개
2) 민족 유일당 운동 전개 : 신간회 조직,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연합 전선 구축
→ 일제의 탄압, 활동 노선상의 갈등으로 해체
3.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1) 소작 쟁의 : 소작인 조합 중심, 소작료 인하와 소작권 이동 반대(1920년대 전반)→ 농민 조합 주도, 대중적 봉기, 항일 운동으로 발전
2) 노동 운동 : 노동 조합 결성, 노동 쟁의의 전국적 확산, 노동 운동의 대중화(1920년대 중반 이후), 항일 운동의 성격을 띠고 전개
4. 여성 운동과 청년 운동
1) 여성 운동 : 가부장제, 전통적 인습 타파 등의 계몽 운동 → 여성 해방을 계급
해방 . 민족 해방 문제와 연결,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
2) 학생 운동 : 동맹 휴학의 형태로 전개, 시설 개선. 일본인 교사 배척 → 식민지
교육 자체에 대한 반대 운동으로 발전
<3> 현대 사회의 변화
1. 복지 사회의 추구
1) 국가의 수출 지향 정책 추진 : 노약자, 빈곤층, 실업자, 노숙자 등 소외 계층에
대한 관심 미비
2) 정부의 대책 : 사회 보장 제도 마련 - 서민을 위한 생활 보조금 제공, 무주택자를
위한 주택 건설, 고용 보험 및 연금 제도 시행
2. 산업화와 도시화
1) 경제 개발 정책의 추진 : 성장 우선주의, 수출 주도형 경제 개발 → 공해 문제
발생, 농촌 사회의 침체
2) 산업화와 도시화 : 가족 제도 붕괴, 노동자. 실업자 문제 대두
3) 여성의 지위 : 산업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발언권 신장
4. 근. 현대 문화의 흐름
<1> 근대 문화의 발달
1. 근대 문명의 수용
1) 개화 정책 추진 : 동도서기론에 입각, 서양의 과학 기술 수용
2) 근대적 시설
① 교통. 통신 : 전신. 전화. 전등 가설, 우편 제도(우정총국), 전차 운행(한성 전기
회사), 철도 부설(경인. 경부선) → 이권 침탈, 침략목적에 이용
② 의료 : 광혜원(제중원), 경성 의학교, 세브란스 병원 → 국민 보건 향상
③ 건축 : 명동 성당(고딕식), 덕수궁 석조전(르네상스식), 독립문(개선문 모델)
2. 근대 교육과 학문의 보급
1) 교육기관 : 원산학사, 육영공원, 갑오개혁 이후 소학교. 중학교 설립
2) 애국 계몽 운동의 영향 : 사립학교 설립 - 구국 교육 운동, 민족의식 고취
3) 국학 운동 : 계몽 사학(박은식, 신채호), 국문 연구소 설립(지석영, 주시경)
3.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1) 문학 : 신소설(혈의 누, 자유종), 신체시(해에게서 소년에게), 외국 문학 번역
2) 예술계 : 음악 - 창가의 유행, 연극 - 원각사 설립(서양식 극장, 은세계. 치악산 등 공연) 및 민속 가면극 성행, 미술 - 서양식 유화. 전통적인 동양화의 발전
3) 종교계 : 천주교 - 1880년대 선교의 자유 획득. 사회 사업, 개신교 - 교육. 의료사업, 천도교 - 손병희 활동, 불교 - 한용운의 조선 불교 유신론, 대종교 - 나철 과 오기호가 단군 신앙을 기반으로 창시. 항일 운동에 참여
<2>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사 왜곡
1) 민족 말살 정책 : 우민화 교육(황국 신민화), 우리말과 우리 역사 교육 금지
2) 한국사 왜곡 : 식민 사관(타율성론, 정체성론), 조선사 편수회 역사 왜곡
2.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전개
1) 국어 연구 : 조선어 연구회의 한글잡지 발행, 가갸날제정 → 조선어 학회의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제정(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체)
2) 한국사 연구 : 박은식의 혼, 신채호의 낭가 사상, 정인보의 얼 강조
3. 민족 교육 진흥 운동
1) 교육 진흥 노력 : 1920년대 조선 교육회 조직, 민립 대학 설립 운동 전개 → 일제의 방해로 실패, 경성 제국 대학 설립(조선인의 불만 무마 의도)
2) 문맹 퇴치 운동 : 조선 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동아 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4. 일제 강점기의 종교 활동
천도교 - 제2의 3. 1운동 계획. 개벽 잡지 발간, 개신교 - 신사 참배 거부 운동,
천주교 - 만주에서 의민단 조직, 대종교 - 중광단 조직(→북로 군정서), 불교 - 민족 교육 운동에 이바지, 원불교 - 박중빈 창시. 개간과 저축 운동. 생활 개선 및 새 생활 운동 전개
5. 일제 강점기의 문예 활동
1) 문학 활동 : 근대 문학 개척(이광수, 최남선), 민족 의식 표현(한용운, 김소월, 염상섭) → 1920년대 중반 신경향파 문학 대두 → 1930년대 순수 문학의 경향 →
일제 말기 항일 의식과 민족 정서 표현(이육사, 윤동주)
2) 문예 : 음악 - 안익태(애국가, 한국 환상곡). 윤극영(반달). 홍난파(봉선화),
미술 - 안중식(동양화). 고희동과 이중섭(서양화),
연극 - 토월회와 극예술 연구회(근대 연극 발전), 영화 - 나운규(아리랑)
<3> 현대 문화의 동향
1. 현대의 교육
1) 교육 제도 : 미국식 제도 도입(6. 3. 3. 4학제), 홍익 인간의 교육 이념
2) 변천 : 이승만 정부의 교육 기관 증설 → 4. 19 혁명 이후 교육 민주화 운동 →
박정희 정부의 교육 중앙 집권화와 관료적 통제 강화 → 1980년대 국민 정신
교육 강조 → 1990년대 창의력과 시민 의식 육성
2. 현대의 사상과 종교
1) 사상의 흐름 : 1950년대 반공주의 우위 → 1960. 1970년대 반공주의 이념에 근대 화 이념 가세,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중시 → 1980년대 냉전 체제의 해체와 함께
통일의 기운 고양
2) 종교 활동 : 1970년대 이후 민주화 운동에 기여
3. 현대의 문화 활동과 과학 기술의 발전
1) 문학계의 동향 : 6. 25 전쟁 이후 순수 문학 주류 → 1960년대 문화의 대중화,
참여 문학론 대두 → 1970년대 민족 문학론, 민중 문학 운동 대두 → 1980년대
이후 문화 향유층의 확대, 다양한 문화 추구 경향
2) 과학 기술의 발전 : 한국 과학 기술 연구소(KIST) 설립(1966년)
2. 사회주의 운동의 대두와 신간회 운동
1) 사회주의 사상 : 1920년대 초기 소수의 지식인, 청년. 학생층 중심 전파 → 사회주의 운동이 본격화 되면서 노동. 농민. 청년. 여성. 형평 운동 전개
2) 민족 유일당 운동 전개 : 신간회 조직,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연합 전선 구축
→ 일제의 탄압, 활동 노선상의 갈등으로 해체
3.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1) 소작 쟁의 : 소작인 조합 중심, 소작료 인하와 소작권 이동 반대(1920년대 전반)→ 농민 조합 주도, 대중적 봉기, 항일 운동으로 발전
2) 노동 운동 : 노동 조합 결성, 노동 쟁의의 전국적 확산, 노동 운동의 대중화(1920년대 중반 이후), 항일 운동의 성격을 띠고 전개
4. 여성 운동과 청년 운동
1) 여성 운동 : 가부장제, 전통적 인습 타파 등의 계몽 운동 → 여성 해방을 계급
해방 . 민족 해방 문제와 연결,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
2) 학생 운동 : 동맹 휴학의 형태로 전개, 시설 개선. 일본인 교사 배척 → 식민지
교육 자체에 대한 반대 운동으로 발전
<3> 현대 사회의 변화
1. 복지 사회의 추구
1) 국가의 수출 지향 정책 추진 : 노약자, 빈곤층, 실업자, 노숙자 등 소외 계층에
대한 관심 미비
2) 정부의 대책 : 사회 보장 제도 마련 - 서민을 위한 생활 보조금 제공, 무주택자를
위한 주택 건설, 고용 보험 및 연금 제도 시행
2. 산업화와 도시화
1) 경제 개발 정책의 추진 : 성장 우선주의, 수출 주도형 경제 개발 → 공해 문제
발생, 농촌 사회의 침체
2) 산업화와 도시화 : 가족 제도 붕괴, 노동자. 실업자 문제 대두
3) 여성의 지위 : 산업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발언권 신장
4. 근. 현대 문화의 흐름
<1> 근대 문화의 발달
1. 근대 문명의 수용
1) 개화 정책 추진 : 동도서기론에 입각, 서양의 과학 기술 수용
2) 근대적 시설
① 교통. 통신 : 전신. 전화. 전등 가설, 우편 제도(우정총국), 전차 운행(한성 전기
회사), 철도 부설(경인. 경부선) → 이권 침탈, 침략목적에 이용
② 의료 : 광혜원(제중원), 경성 의학교, 세브란스 병원 → 국민 보건 향상
③ 건축 : 명동 성당(고딕식), 덕수궁 석조전(르네상스식), 독립문(개선문 모델)
2. 근대 교육과 학문의 보급
1) 교육기관 : 원산학사, 육영공원, 갑오개혁 이후 소학교. 중학교 설립
2) 애국 계몽 운동의 영향 : 사립학교 설립 - 구국 교육 운동, 민족의식 고취
3) 국학 운동 : 계몽 사학(박은식, 신채호), 국문 연구소 설립(지석영, 주시경)
3.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1) 문학 : 신소설(혈의 누, 자유종), 신체시(해에게서 소년에게), 외국 문학 번역
2) 예술계 : 음악 - 창가의 유행, 연극 - 원각사 설립(서양식 극장, 은세계. 치악산 등 공연) 및 민속 가면극 성행, 미술 - 서양식 유화. 전통적인 동양화의 발전
3) 종교계 : 천주교 - 1880년대 선교의 자유 획득. 사회 사업, 개신교 - 교육. 의료사업, 천도교 - 손병희 활동, 불교 - 한용운의 조선 불교 유신론, 대종교 - 나철 과 오기호가 단군 신앙을 기반으로 창시. 항일 운동에 참여
<2>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사 왜곡
1) 민족 말살 정책 : 우민화 교육(황국 신민화), 우리말과 우리 역사 교육 금지
2) 한국사 왜곡 : 식민 사관(타율성론, 정체성론), 조선사 편수회 역사 왜곡
2.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전개
1) 국어 연구 : 조선어 연구회의 한글잡지 발행, 가갸날제정 → 조선어 학회의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제정(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체)
2) 한국사 연구 : 박은식의 혼, 신채호의 낭가 사상, 정인보의 얼 강조
3. 민족 교육 진흥 운동
1) 교육 진흥 노력 : 1920년대 조선 교육회 조직, 민립 대학 설립 운동 전개 → 일제의 방해로 실패, 경성 제국 대학 설립(조선인의 불만 무마 의도)
2) 문맹 퇴치 운동 : 조선 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동아 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4. 일제 강점기의 종교 활동
천도교 - 제2의 3. 1운동 계획. 개벽 잡지 발간, 개신교 - 신사 참배 거부 운동,
천주교 - 만주에서 의민단 조직, 대종교 - 중광단 조직(→북로 군정서), 불교 - 민족 교육 운동에 이바지, 원불교 - 박중빈 창시. 개간과 저축 운동. 생활 개선 및 새 생활 운동 전개
5. 일제 강점기의 문예 활동
1) 문학 활동 : 근대 문학 개척(이광수, 최남선), 민족 의식 표현(한용운, 김소월, 염상섭) → 1920년대 중반 신경향파 문학 대두 → 1930년대 순수 문학의 경향 →
일제 말기 항일 의식과 민족 정서 표현(이육사, 윤동주)
2) 문예 : 음악 - 안익태(애국가, 한국 환상곡). 윤극영(반달). 홍난파(봉선화),
미술 - 안중식(동양화). 고희동과 이중섭(서양화),
연극 - 토월회와 극예술 연구회(근대 연극 발전), 영화 - 나운규(아리랑)
<3> 현대 문화의 동향
1. 현대의 교육
1) 교육 제도 : 미국식 제도 도입(6. 3. 3. 4학제), 홍익 인간의 교육 이념
2) 변천 : 이승만 정부의 교육 기관 증설 → 4. 19 혁명 이후 교육 민주화 운동 →
박정희 정부의 교육 중앙 집권화와 관료적 통제 강화 → 1980년대 국민 정신
교육 강조 → 1990년대 창의력과 시민 의식 육성
2. 현대의 사상과 종교
1) 사상의 흐름 : 1950년대 반공주의 우위 → 1960. 1970년대 반공주의 이념에 근대 화 이념 가세,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중시 → 1980년대 냉전 체제의 해체와 함께
통일의 기운 고양
2) 종교 활동 : 1970년대 이후 민주화 운동에 기여
3. 현대의 문화 활동과 과학 기술의 발전
1) 문학계의 동향 : 6. 25 전쟁 이후 순수 문학 주류 → 1960년대 문화의 대중화,
참여 문학론 대두 → 1970년대 민족 문학론, 민중 문학 운동 대두 → 1980년대
이후 문화 향유층의 확대, 다양한 문화 추구 경향
2) 과학 기술의 발전 : 한국 과학 기술 연구소(KIST) 설립(1966년)
추천자료
- 바른생활 교과서 분석
-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 문화 재생산 이론
- 과학 교과서에 관하여
- 고등학교 교과서속의 고전작가와 교육의 실상
-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3종 분석
- 중학 과학 교과서의 구성과 특징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A+추천 레포트★★★★★]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음운 관련 단원의 몇 가지 문제점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음운 관련 단원의 몇 가지 문제점
-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소설교육 양상 - 현대소설교육연습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
-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국어 上 - 1. 읽기의 즐거움과 보람 (2) 그 여자네 집
-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황순원의 ‘소나기’을 중심으로
- 쓰기 교과서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