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마취][도포마취][흡입마취][침술마취][전기마취]정맥마취, 도포마취(도포마취 약물과 도포마취의 일반적인 술식), 흡입마취(흡입마취의 특징과 흡입마취의 종류), 침술마취(침술마취의 특징과 침술마취의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맥마취][도포마취][흡입마취][침술마취][전기마취]정맥마취, 도포마취(도포마취 약물과 도포마취의 일반적인 술식), 흡입마취(흡입마취의 특징과 흡입마취의 종류), 침술마취(침술마취의 특징과 침술마취의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정맥마취
1. Chloral hydrate
2. Pentobarbital sodium
3. Thiopental sodium

Ⅲ. 도포마취
1. 도포마취 약물
2. 도포마취의 일반적인 술식
3. 시술시 주의 사항
4. EMLA
5. 임상에서의 사용

Ⅳ. 흡입마취
1. 페포분압에 영향을 미취는 인자
2. 마취제 흡수의 물리적 영향
1) 농도 효과
2) 이차 가스효과
3) 확산성 저산소증
4) 마취의 유도
5) 마취의 유지
3. 이상적인 흡입마취제의 특성
4. 흡입마취제의 독성
1) 만성 독작용
2) 급성 독작용
5. 기체 마취제
1) N2O(Nitrous oxide)
2) Cyclopropane and Ethylene
3) Carbone dioxide(CO2)
6. 휘발성 마취제
1) Ether(Ethyl ether, Diethy Ether)
2) Methoxyflurane
3) Enflurane(Ethrane)
4) Halothane
5) Isoflurane(Forane)
6) Chloroform
7) Ethy chloride, Trichloroethylene

Ⅴ. 침술마취
1. 침술마취의 특징
2. 침술마취의 기전
1) 신경분절 인근 취혈법(method taking point near the segment)
2) 신경분절 원격 취혈법(method taking point on distant segment)
3. 침술마취의 전망

Ⅵ. 전기마취
1.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2. 전자파를 이용한 치성동통 조절
1) 파형
2) 주파수
3) 극성(polarity)
4) 전원(power)
5) 제어판(controls)
6) 전극(electrode)
7) 환자의 선택
8) 적응증

참고문헌

본문내용

% lidocaine gel을 같은 20분 동안 도포하였을 경우 benzocaine이 placebo effect 이외에는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고 말하고 있고, Clinical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2 topical anesthetics for pain caused by needle sticks and scaling and root planing 이라는 논문 역시 probing이나 scaling, root planing 시에 benzocaine gel 보다는 bioadhesive matrix를 이용한 lidocaine delivery system이 훨씬 우수한 동통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물론 연구 대상이나 방법, 약물의 농도 및 도포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benzocaine보다는 lidocaine의 효능이 더 높다는 것이 공통의 의견이다.
Ⅳ.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근대 마취과 영역에서 주종을 이루는 방법이며 가장 조절성이 풍부하고 안전한 과학적인 마취 방법이다. 흡입마취제는 주로 가스상태나 휘발성 마취제를 증발시킨 증기상태로 흡입되므로 마취제의 강도, 분압, 마취제가 혈액이나 조직에 흡수되는 상태 등 세 가지 인자들의 상호 관계에 의하여 마취가 신속하고 안전하느냐가 결정되는 것이다. MCA(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 - 흡입마취제가 마취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폐포내의 마취제 최소 농도.
1. 페포분압에 영향을 미취는 인자
환기량, 폐포가스와 정맥혈액간 압력의 차이, 심박출량의 증가 마취제 용해도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다.
2. 마취제 흡수의 물리적 영향
1) 농도 효과
흡입되는 가스의 농도가 높을수록 폐포내 가스의 농도는 빨리 증가한다(환기의 증가작용, 농축작용).
2) 이차 가스효과
두 가지 마취제를 동시에 투여시 일어나는 현상이다. 흡수가 잘 되고 고농도로 존재하는 마취제가 폐에 가는 환기량을 촉진함과 동시에 다른 마취가스의 폐포내 가스를 상대적으로 빨리 상승시켜서 마취유도를 촉진시키는 현상이다. 0.5% halothane + 70% N2O 은 0.5% halothane + 10% N2O 보다 체내흡수가 더욱 빨라지며 N2O가 고농도일수록 마취제의 흡수가 촉진됨. 따라서 저농도의 마취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일차가스를 고농도로 사용하게 된다.
3) 확산성 저산소증
이것은 N2O를 사용하여 마취를 유지하였다가 마취가 끝나면 폐포 모세혈액에서 페포로 N2O가 빨리 확산되어 산소 결핍증이 일어나기 때문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N2O가 배설될 때까지 hypoxemia 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여야 한다.
3) 마취제 강도
* 휘발성 마취제의 증기압
* 흡입마취제의 비등점, 증기압 및 MCA
* 흡입마취제의 고무와 혈액내의 용해도
4) 마취의 유도
정맥마취제 단기간 작용하는 barbiturate 등을 사용한다. MCA 의 5 배를 사용한다. 마취유도를 신속하게 한다. 저농도는 마취유도 지연, 흥분기의 유발, 환축관리의 어려움 등의 합병증과 부작용이 생긴다. 마취유도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순환허탈, 기도 또는 호흡기의 장해. 호흡의 억제, 기도폐쇄, 호흡이상과 폐질환, 기침과 후두경련, 점액과 타액분비, 구토물 흡인이 있다.
5) 마취의 유지
환자의 상태를 잘 관찰(동공반사, 심박수, 혈압, 호흡의 변화, 체온) 수술시야를 관찰(수술창의 혈액색조, 출혈량의 양상, 근육의 강직, 복강내압의 변화)
3. 이상적인 흡입마취제의 특성
작용시간이 신속하고 작용기간의 조절이 용이하다. 심도가 쉽게 판단되고 조절이 용이하다. 환자에게 투여가 용이하고 여러 기관에 생리적 변화가 없을 것이다. 불활성으로 생체에서 대사되지 않고 약 자체나 대사물이 인체에 독성이 없을 것이다. 안전범위가 넓고 근육이완 작용이 좋으며 진통효과가 크고 화학적으로 안전성이 높고 비 가연성으로 보관이 용이할 것이다.
4. 흡입마취제의 독성
1) 만성 독작용
세포의 강한 원형질성 독성, 골수과립구의 세포분활억제(N2O), 백혈구운동과 식작용억제(halothane), 자연유산율의 증가, 선천성 기형, 변이 유전자 유발, 암 유발성이 증가한다.
2) 급성 독작용
간장(chloroform, cyclopropane, fluroxene, halothane methoxyflurane, enflurane, isoflurane), 신장(methoxyflurane), 생식선(N2O, halothane), 조혈계(N2O, halothane)가 있다.
5. 기체 마취제
1) N2O(Nitrous oxide)
무색, sweet-tasting, 비자극성, 공기보다 1.53 배 무겁다. 제조방법은 2NO + Fe → FeO + N2O/ NH4NO3 를 약 250℃ 에서 가열하여 생산한다. 개에서 72 시간 부작용 없이 마취가 가능하다. 마취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80% 농도를 공급하여야 한다. N2O 마취시에 죽음을 초래하는 것은 불충분한 O2 때문이며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15% O2를 포함하여야 한다. N2O 단독사용은 잘하지 않으며 N2O:O2(4:1--1:1)혼합가스는 다른 휘발성마취제와 함께 사용시에 유용하다. 진통효과가 좋고 무해하기 때문에 작은 양의 휘발성 마취제와 혼합하여 사용시에 마취제의 절약도 가져오며 2 차 가스 효과도 생긴다. 마취전 진정제는 meperdine, fentanyl, oxymorphone 사용한다. N2O:O2(3:1--1:1)는 barbiturate 마취후에 마취유지에 적합하다. Ketamine, xylazine과 이 들의 혼합액 마취시에서도 유용하다.
2) Cyclopropane and Ethylene
폭발성과 인화성 있다. 폐포환기 억제, 기관지 수축작용, 심근 수축력 감소, 부정맥, 신장의 혈류량 감소, 3. 동물 마취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3) Carbone dioxide(CO2)
실험동물에 사용한다.
6. 휘발성 마취제
1) Ether(Ethyl ether, Diethy Ether)
자극성의 냄새, 무색, 휘발성 강하다. 가연성, 폭발성, 공기보다 2.6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7.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