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감각수용체의 특징
1.2 피부감각
1.3 미각과 후각
1.4 전정기관과 평형감각
1.5 귀와 청각
1.6 눈과 시각
1.7 망막
1.8 시각정보의 신경 가공
2.1 생식
2.2 생식의 내분비 조절
2.3 남성의 생식계
2.4 여성의 생식계
2.5 월경주기
2.6 수정, 임신, 출산
1.2 피부감각
1.3 미각과 후각
1.4 전정기관과 평형감각
1.5 귀와 청각
1.6 눈과 시각
1.7 망막
1.8 시각정보의 신경 가공
2.1 생식
2.2 생식의 내분비 조절
2.3 남성의 생식계
2.4 여성의 생식계
2.5 월경주기
2.6 수정, 임신, 출산
본문내용
장 참고
(2) 감수영역과 감각의 명확도
- 감수영역 ; 자극에 의해 뉴런의 흥분발사율이 변화한 피부의 지역
피부에 있는 각 감수영역의 면적은 그 부위에 존재하는 수용체들의 밀도와 반비례
- 2점 접촉역치 - 가벼운 접촉을 담당하는 감수영역의 크기 측정
~ 접촉한 두 점을 서로 떨어진 것으로 지각할 수 잇는 두 점 간의 최소거리.
감수영역 간의 거리 측정 지수!
~활용 예 ; 점자를 읽음 ; 손가락 끝의 2점 접촉역치는 2.5mm보다 약간 작아 점자의 부호들은 종이 위에 2.5mm 떨어진 도드라진 점으로 구성된다.
(3) 측부억제
자극은 가장 크게 접촉된 점에서부터 분명한 경계 없이 점차 사라진다. 하지만 경계가 분명한 단 하나의 접촉이 느껴지는 현상.
예) 청각 - 음정이 다른 소리를 구별함
시각 - 망암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별
후각 - 비슷한 냄새를 뚜렷하게 구별
1.3 미각과 후각
~ 미각과 후각의 수용체는 액체에 녹아 있는 분자들에 반응한다.
(참고)
내수용체 - 내부환경에서의 화학적 변화에 반응하는 화학수용체
외수용체 - 외부환경에서의 화학적 변화에 반응하는 화학수용체
~ 미각수용체 ; 수용액에 녹아 있는 화학물질에 반응
후각수용체 ; 공기 중의 기체분자가 후각점막 내의 점액에 녹아 반응
(1) 미각
① 미각 수용기
- 원통모양의 미뢰
② 미각의 종류와 각각의 미각 성립 과정
미각의 종류 ; 사람이 느낄수 있는 기본 맛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이 네가지 기본 맛이 후각의 영향으로 다양한 맛으로 인식된다. 사람에게는 우마미라는 제5의 특이한 미각수용기가 존재한다.
신맛 ; H+ 때문에 생겨남
짠맛 ; 음식의 Na+나 다른 양이온이 수용기세포를 활성화 시키면 감지
- NaCl에 대한 짠맛의 강도는 매우 높다 ; 짠맛의 정도는 Na+와 결합된 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수용기세포를 활성화시킨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단맛 ; 유기물질, 당
쓴맛 ; 퀴닌 등.
- 가장 민감한 미각. 일반적으로 독성분자들과 관련
③ 미각과 관련된 G-단백질 ; 거스트듀신
단맛과 쓴맛의 모든 감각수용체는 G-단백질을 매개로 하여 작동하지만, G-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된 2차 전령계는 미각 분자에 따라 다르다.
(2) 후각
① 후각수용체 ; 수용체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
② G-단백질 연관 수용체 ~ 증폭 효과로 인해 후각민감성!
1.4 전정기관과 평형감각
<내이>
전정기관(난형낭, 반규관) - 평형감각
달팽이관 - 청각
(1) 전정기관의 감각털세포
- 모세포 ; 변형된 상피세포. 각 세포마다 20~50개의 돌기 가져 모세포라 함
- 부동섬모 ; 세포막 부분으로 둘러싸인 단백질 필라멘트를 포함
- 운동섬모 ; 돌기들 중 진정한 섬모구조
부동섬모들이 운동섬모쪽으로 구부러지면 세포막이 눌려 탈분극되고 이것은 내이의 감각뉴런을 자극한다.
(2) 난형낭과 구형낭
- 이석(탄산칼슘 결정체)기관
- 각각 털세포와 지지세포로 구성된 청반을 가진다
난형낭은 수평가속에 민감하고, 구형낭은 수직가속에 민감하다. 전진가속 동안에 이석막은 모세포의 뒤로 쳐지게 되어 난형낭의 섬모들은 뒤로 밀린다. 엘리베이터를 탈 때도 마찬가지!
(3) 반규관
- 직각으로 교차된 세 개의 관에 림프가 들어있고, 이 림프의 유동에 따라 감각세포가 흥분한다.
- 측반규관 ; 몸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후반규관 ; 옆 재주넘기를 할 때
전반규관 ; 공중제비 돌 때 자극
=> 각각의 회전각을 감각한다
1.5 귀와 청각
소리 → 고막 → 중이 이소골 → 달팽이 난원창 막 → 달팽이 림프 내 압력파 → 기저막의 진동 → 감각털세포 돌기 구부러짐 → 활동전위 생성 → 뇌 → 소리
(1) 외이
- 귓바퀴 + 외이도
- 음파를 고막으로 전달하는 역할
(2) 중이
- 고막, 와우각, 추골, 침골, 등골의 3개 중이 이소골.
- 추골은 고막에 부착되어 이어 고막의 진동이 추골과 침골을 경유해 등골로 전달된다. 등골은 와우의 난원창에 부착되어 이어서 고막의 진동에 대한 반응으로 난원창이 진동한다!
- 고막의 진동이 3개의 뼈에 의해 전달되는 것은 방어 기능의 하나!
(3) 달팽이 ; 전정기관과 함께 내이를 구성!
ⓐ 전정계 ; 난원창의 진동을 고실계로
ⓑ 고실계 ; 기저막을 진동시킴
ⓒ 달팽이관 ; 3회전. 내림프가 들어있음
- 전정막의 움직임은 청각에 직접 기여하지 않지만, 기저막의 움직임은 음조 구별의 중심!
서로 다른 음파의 진동수는 기저막의 서로 다른 부위를 최대로 진동시키는데, 음파 의 진동수가 높을수록 등골에 더 가까운 부위의 기저막이 최대로 진동한다.
(4) 나선기관(코르티기관)
나선기관 ; 기저막, 감각뉴런, 시냅스 이루는 감각털세포, 피개막 / 기능적단위
- 섬모들이 기울어질 때 양이온이 나와 탈분극을 일으킴
-속털세포 ; 기저막의 길이 따라 한줄로 배열
바깥털세포 ; 여러줄로 배열(달팽이의 기저측 회전에서는 세줄, 중간 회전에서는 네줄, 첨부의 회전에서는 다섯줄로 배열) / 입체섬모가 피개막에 끼워져있다.
-음조 구별 ; 소리의 고저에 따라 기저막 진행파의 정점을 이루는 부위가 다르다.
고음 ~ 기저부 가까운 부위에서 최대로 진동
저음 ~ 첨부 쪽으로 먼 부위에서 최대로 진동
1.6 눈과 시각
<눈의 구조> -참고 ; http://kimsline.egloos.com/4055826
(1) 굴절
굴절이란 ? 빛이 밀도가 다른 매질로 들어갈 때 꺾이는 현상
- 공기와 각막의 경계면에서 굴절률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빛은 각막에서 굴절한다.
- 경계면의 곡률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 망막에 맺히는 상은 상하 좌우가 반대!
(2) 원근조절
원근조절? 눈과 사물간의 거리가 변할 때 망막상에 초점이 유지되게 하는 능력
- 모양체 근의 수축 ; 사물이 눈 가까이로 이동
모양체 근의 이완 ; 사물이 눈에서 먼곳으로 이동
(3) 시력
시력 ; 상의 명료함. 시각 시스템이 가깝게 떨어진 두 점을 구별하는 능력
<근시와 원시>
근시 ; 상의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기 때문에 글자가 흐리게 보임
안구가 길어 나타남
오목렌즈로 교정
원시 ; 수정체의 초점거리가 망막의 거리보다 길어 흐리게 q임
상의 초점은 망막 뒤에
(2) 감수영역과 감각의 명확도
- 감수영역 ; 자극에 의해 뉴런의 흥분발사율이 변화한 피부의 지역
피부에 있는 각 감수영역의 면적은 그 부위에 존재하는 수용체들의 밀도와 반비례
- 2점 접촉역치 - 가벼운 접촉을 담당하는 감수영역의 크기 측정
~ 접촉한 두 점을 서로 떨어진 것으로 지각할 수 잇는 두 점 간의 최소거리.
감수영역 간의 거리 측정 지수!
~활용 예 ; 점자를 읽음 ; 손가락 끝의 2점 접촉역치는 2.5mm보다 약간 작아 점자의 부호들은 종이 위에 2.5mm 떨어진 도드라진 점으로 구성된다.
(3) 측부억제
자극은 가장 크게 접촉된 점에서부터 분명한 경계 없이 점차 사라진다. 하지만 경계가 분명한 단 하나의 접촉이 느껴지는 현상.
예) 청각 - 음정이 다른 소리를 구별함
시각 - 망암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별
후각 - 비슷한 냄새를 뚜렷하게 구별
1.3 미각과 후각
~ 미각과 후각의 수용체는 액체에 녹아 있는 분자들에 반응한다.
(참고)
내수용체 - 내부환경에서의 화학적 변화에 반응하는 화학수용체
외수용체 - 외부환경에서의 화학적 변화에 반응하는 화학수용체
~ 미각수용체 ; 수용액에 녹아 있는 화학물질에 반응
후각수용체 ; 공기 중의 기체분자가 후각점막 내의 점액에 녹아 반응
(1) 미각
① 미각 수용기
- 원통모양의 미뢰
② 미각의 종류와 각각의 미각 성립 과정
미각의 종류 ; 사람이 느낄수 있는 기본 맛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이 네가지 기본 맛이 후각의 영향으로 다양한 맛으로 인식된다. 사람에게는 우마미라는 제5의 특이한 미각수용기가 존재한다.
신맛 ; H+ 때문에 생겨남
짠맛 ; 음식의 Na+나 다른 양이온이 수용기세포를 활성화 시키면 감지
- NaCl에 대한 짠맛의 강도는 매우 높다 ; 짠맛의 정도는 Na+와 결합된 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수용기세포를 활성화시킨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단맛 ; 유기물질, 당
쓴맛 ; 퀴닌 등.
- 가장 민감한 미각. 일반적으로 독성분자들과 관련
③ 미각과 관련된 G-단백질 ; 거스트듀신
단맛과 쓴맛의 모든 감각수용체는 G-단백질을 매개로 하여 작동하지만, G-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된 2차 전령계는 미각 분자에 따라 다르다.
(2) 후각
① 후각수용체 ; 수용체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
② G-단백질 연관 수용체 ~ 증폭 효과로 인해 후각민감성!
1.4 전정기관과 평형감각
<내이>
전정기관(난형낭, 반규관) - 평형감각
달팽이관 - 청각
(1) 전정기관의 감각털세포
- 모세포 ; 변형된 상피세포. 각 세포마다 20~50개의 돌기 가져 모세포라 함
- 부동섬모 ; 세포막 부분으로 둘러싸인 단백질 필라멘트를 포함
- 운동섬모 ; 돌기들 중 진정한 섬모구조
부동섬모들이 운동섬모쪽으로 구부러지면 세포막이 눌려 탈분극되고 이것은 내이의 감각뉴런을 자극한다.
(2) 난형낭과 구형낭
- 이석(탄산칼슘 결정체)기관
- 각각 털세포와 지지세포로 구성된 청반을 가진다
난형낭은 수평가속에 민감하고, 구형낭은 수직가속에 민감하다. 전진가속 동안에 이석막은 모세포의 뒤로 쳐지게 되어 난형낭의 섬모들은 뒤로 밀린다. 엘리베이터를 탈 때도 마찬가지!
(3) 반규관
- 직각으로 교차된 세 개의 관에 림프가 들어있고, 이 림프의 유동에 따라 감각세포가 흥분한다.
- 측반규관 ; 몸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후반규관 ; 옆 재주넘기를 할 때
전반규관 ; 공중제비 돌 때 자극
=> 각각의 회전각을 감각한다
1.5 귀와 청각
소리 → 고막 → 중이 이소골 → 달팽이 난원창 막 → 달팽이 림프 내 압력파 → 기저막의 진동 → 감각털세포 돌기 구부러짐 → 활동전위 생성 → 뇌 → 소리
(1) 외이
- 귓바퀴 + 외이도
- 음파를 고막으로 전달하는 역할
(2) 중이
- 고막, 와우각, 추골, 침골, 등골의 3개 중이 이소골.
- 추골은 고막에 부착되어 이어 고막의 진동이 추골과 침골을 경유해 등골로 전달된다. 등골은 와우의 난원창에 부착되어 이어서 고막의 진동에 대한 반응으로 난원창이 진동한다!
- 고막의 진동이 3개의 뼈에 의해 전달되는 것은 방어 기능의 하나!
(3) 달팽이 ; 전정기관과 함께 내이를 구성!
ⓐ 전정계 ; 난원창의 진동을 고실계로
ⓑ 고실계 ; 기저막을 진동시킴
ⓒ 달팽이관 ; 3회전. 내림프가 들어있음
- 전정막의 움직임은 청각에 직접 기여하지 않지만, 기저막의 움직임은 음조 구별의 중심!
서로 다른 음파의 진동수는 기저막의 서로 다른 부위를 최대로 진동시키는데, 음파 의 진동수가 높을수록 등골에 더 가까운 부위의 기저막이 최대로 진동한다.
(4) 나선기관(코르티기관)
나선기관 ; 기저막, 감각뉴런, 시냅스 이루는 감각털세포, 피개막 / 기능적단위
- 섬모들이 기울어질 때 양이온이 나와 탈분극을 일으킴
-속털세포 ; 기저막의 길이 따라 한줄로 배열
바깥털세포 ; 여러줄로 배열(달팽이의 기저측 회전에서는 세줄, 중간 회전에서는 네줄, 첨부의 회전에서는 다섯줄로 배열) / 입체섬모가 피개막에 끼워져있다.
-음조 구별 ; 소리의 고저에 따라 기저막 진행파의 정점을 이루는 부위가 다르다.
고음 ~ 기저부 가까운 부위에서 최대로 진동
저음 ~ 첨부 쪽으로 먼 부위에서 최대로 진동
1.6 눈과 시각
<눈의 구조> -참고 ; http://kimsline.egloos.com/4055826
(1) 굴절
굴절이란 ? 빛이 밀도가 다른 매질로 들어갈 때 꺾이는 현상
- 공기와 각막의 경계면에서 굴절률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빛은 각막에서 굴절한다.
- 경계면의 곡률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 망막에 맺히는 상은 상하 좌우가 반대!
(2) 원근조절
원근조절? 눈과 사물간의 거리가 변할 때 망막상에 초점이 유지되게 하는 능력
- 모양체 근의 수축 ; 사물이 눈 가까이로 이동
모양체 근의 이완 ; 사물이 눈에서 먼곳으로 이동
(3) 시력
시력 ; 상의 명료함. 시각 시스템이 가깝게 떨어진 두 점을 구별하는 능력
<근시와 원시>
근시 ; 상의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기 때문에 글자가 흐리게 보임
안구가 길어 나타남
오목렌즈로 교정
원시 ; 수정체의 초점거리가 망막의 거리보다 길어 흐리게 q임
상의 초점은 망막 뒤에
추천자료
[조사자료] 컨벤션지원기관과 시설업체의 현황 총망라,컨벤션업체,컨벤션교육기관,컨벤션지원...
[금융제도론]금융기관의 경영원칙, 금융기관의 관리에 있어 ALM모형과 VAR모형의 의의, 기능 ...
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기관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
[기록물관리법]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기록물관리법, 공공기록물관리법)의 제정배경...
[병리, 소화기관, 심혈관계질환, 간내결석증, CHV(개허피스바이러스)감염증]소화기관의 병리,...
[기록관리, 기록관리기관]기록관리와 기록관리기관, 기록관리와 기록관리기구, 기록관리와 기...
[정책평가론]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제도의 문제점과 향후개선 및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제도...
[부모교육] 영유아교육기관의 선택기준에 대해 쓰시고 부모로써, 교사로써 어떠한 교육 기관...
부모들이 질 높은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구체적으로 설명 : 유아교육...
(유아교육개론-B형)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종류,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역별 교재교구에 대하...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D] 영유아교육기관과 지역사회 연계에 대해 서술하시오(지역사회...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문출처표기, ...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장으로서 유아관리 과정을 계획하시오 [원아모집 ...
노인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기관을 살펴보고 그 기관의 교육방법을 분석한 후 평생학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