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컨벤션산업의 정의
(2)국내 컨벤션산업의 현황
(3)컨벤션산업의 문제점
3.결론
2.본론
(1)컨벤션산업의 정의
(2)국내 컨벤션산업의 현황
(3)컨벤션산업의 문제점
3.결론
본문내용
를 마련하여, 대규모 관광객 유치를 유발함으로써 관광관련 업체들에게 새로운 수익창출을 통한 이익을 제공한다. 즉, 개최지역의 세계화를 진전시킴과 동시에 지역경제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등 국제행사가 수반하는 파급효과는 실로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컨벤션은 자원의존적이 아닌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산업이기 때문에 그 잠재력이 남다르다. 한국의 컨벤션 산업은 지난 10년동안 많은 노력으로 인해 10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제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한국의 컨벤션유치사업이 앞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려는 노력과 적극적인 홍보를 수반한다면 아시아의 컨벤션 중심지가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 참고도서 참고사이트
www.visitkorea.or.kr 한국관광공사
www.etourkorea.com 관광허브네트워크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www.mct.go.kr 문화관광부
『2004 국제회의 개최현황』한국관광공사, 2004
안경모,김영준 공저『국제회의 실무기획』백산출판사, 1999
김장신『컨벤션 기획 및 실무』팁스윈, 2003
안경모,이광우 공저『국제회의기획경영론』백산출판사, 1999
윤세목『국제회의론』가산출판사, 2002
※ 참고도서 참고사이트
www.visitkorea.or.kr 한국관광공사
www.etourkorea.com 관광허브네트워크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www.mct.go.kr 문화관광부
『2004 국제회의 개최현황』한국관광공사, 2004
안경모,김영준 공저『국제회의 실무기획』백산출판사, 1999
김장신『컨벤션 기획 및 실무』팁스윈, 2003
안경모,이광우 공저『국제회의기획경영론』백산출판사, 1999
윤세목『국제회의론』가산출판사, 2002
소개글